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세대 비대면 수업 한과목으로 4억5천을 땡기네요

...... 조회수 : 4,680
작성일 : 2025-11-09 16:08:54

공대생들이 들을만한 수업이니 등록금 1000만원

1000만원으로 1년 40학점 들으면

1학점당 25만원

3학점 과목이라면 75만원/1인당

600명 비대면 수강하니 4억 5천

돈벌기 쉽네요.

 

반을 나누어 교수나 강좌수를 늘리거나

3학점에 2억 2천(등록금의50%)정도 

수업일만하다고 수업받는 학생들이 인정할정도는

되어야 할텐데 
아니라면 심각한거에요.

 

기자재도 안들어, 실습도 없어, 공간도 필요없어.

너무하네.

 

교수하나가 9학점 강의 하면 10억 이상 땡기는데

교수 연봉도 매출액에 30%주는 시스템인가?

비대면 수업으로 600명을 땡기네요.

 

연세대도 파보면 재미있는일 많겠다

컨닝에만 촛점을 맞추지 말아요.

 

교양과목도 아니고
ai과목이라면 공대생들 거의 준전공 이상일텐데
학점당 등록금의 최소50% 정도는
반드시 그 수업을 위해 쓰여야 정상으로 보이는데 좀 심하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208773?sid=102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이 수업의 수강생은 600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강생이 많아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중간고사도 지난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는데, 이 과정에서 부정행위가 발생했다. 

 

 

 

 

 

 

 

후속 

이렇게 모아서 연세대가 1등했나봅니다

 

대학교육연구소는 7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4년 사립대 적립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늘어난 연세대는 올해 6548억원으로 지난해(6182억원)보다 365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고려대(342억원), 홍익대(334억원), 한양대(317억원), 이화여대(204억원) 등의 순으로 적립금이 늘었다. 17곳 가운데 호남대(동결)를 제외한 16곳이 올해 등록금을 올렸다. 영남대(5.4%), 수원대(5.3%), 청주대(5.1%), 고려대(5%) 등 대부분이 올해 법정 상한선(5.49%)에 가깝게 등록금을 올렸다.

교육부는 지난해 ‘학교법인 및 사립대학 2025회계연도 예산 편성 및 관리 유의사항’에서 “이월금 및 적립금 비율이 높은 대학의 경우 등록금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지만, 상당수 대학이 이를 외면한 것이다. 대학들은 적립금의 경우 건물 신축을 위한 건축기금 등 지정된 목적이 있어 등록금을 대신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해명하지만, 용처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의 불신이 크다.

IP : 223.38.xxx.28
3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등록금이 수업료
    '25.11.9 4:09 PM (1.239.xxx.246)

    등록금이 수업료로만 쓰이나요....

  • 2. ....
    '25.11.9 4:09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국내에 ai 전공 교수가 거의 없어요

  • 3. ....
    '25.11.9 4:11 PM (223.38.xxx.15)

    국내에 ai 전공 교수가 거의 없어요. 가르칠 교수가 없어요
    외국에서 박사 학위 받아도 한국에 안들어와요.
    처우 차이가 세네 배 차이가 나요.

  • 4. ......
    '25.11.9 4:12 PM (223.38.xxx.159) - 삭제된댓글

    비대면 할거면 해외 유명 능력자들에게 맡겨도 가능하겠어요

  • 5. ....
    '25.11.9 4:14 PM (223.38.xxx.15)

    해외 유명 교수에게 줄 엄청난 강의비 관련 조항이 있겠죠?

  • 6. ......
    '25.11.9 4:16 PM (223.38.xxx.159)

    ai교수 없다는건 핑계고
    비대면이라면
    해외 유명 ai 석학들에게 3학점 수업 요청해도 들어주겠다 싶네요.

  • 7. ......
    '25.11.9 4:17 PM (223.38.xxx.159) - 삭제된댓글

    ai로 각국이 난리인데
    오히려 비대면으로
    해외 ai전문가에게 수업 둘어야 할시기 아닌지

  • 8. ......
    '25.11.9 4:19 PM (223.38.xxx.159)

    ai로 각국이 난리인데
    오히려 비대면으로
    해외 ai전문가에게 수업 들어야 할시기 아닌지

  • 9. 뭐든 싸게
    '25.11.9 4:19 PM (27.1.xxx.17)

    석학도 싸고 공짜로 강의 해준대요? 이런 마인드니 애들이 공대 안가려고 하지요.교수님과 해외 석학의 가치가 거저먹나요? 다들 공짜 너무 좋아하고 날로 먹으려드네요.

  • 10. 아니
    '25.11.9 4:21 PM (114.203.xxx.133)

    600명 강의라니, 이건 너무 한 거 아닌가요.
    교수가 그렇게 없나요??

  • 11. ......
    '25.11.9 4:22 PM (223.38.xxx.159)

    누가 공짜래요?
    50% 2억2천 주고 3학점 짜리 제대로된 수업 요청하면 없겠어요?

  • 12. ......
    '25.11.9 4:31 PM (223.38.xxx.159) - 삭제된댓글

    학점당 등록금의 최소50% 정도는
    반드시 그 수업을위해 쓰여야해요.
    안그러면 강의의 질이 형편없어집니다.

    반을 나누어 교수나 강좌수를 늘리거나
    3학점에 2억 2천정도 수업일만하다고 수업받는 학생들이 인정할정도는 되어야 할텐데
    아니라면 심각한거에요.

  • 13. ....
    '25.11.9 4:32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이라면
    2억2천만원×(6백명÷12)=110억

  • 14. ......
    '25.11.9 4:33 PM (223.38.xxx.159)

    교양과목도 아니고
    ai과목이라면 공대생들 거의 준전공 이상일텐데
    학점당 등록금의 최소50% 정도는
    반드시 그 수업을위해 쓰여야해요.
    안그러면 강의의 질이 형편없어집니다.

    반을 나누어 교수나 강좌수를 늘리거나
    3학점에 2억 2천정도 수업일만하다고 수업받는 학생들이 인정할정도는 되어야 할텐데
    아니라면 심각한거에요.

  • 15. ....
    '25.11.9 4:33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으로 나누면
    2억2천만원×(6백명÷12)=110억 필요하네요.
    학생수 100명으로 하면 13억2천만원 필요하구요

  • 16. ....
    '25.11.9 4:36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으로 나누면
    2억2천만원×12=26억4천만원 필요하네요.
    학생수 100명으로 하면 13억2천만원 필요하구요

  • 17. ....
    '25.11.9 4:37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으로 나누면
    2억2천만원×12=26억4천만원 필요하네요.
    학생수 100명으로 하면 13억2천만원 필요하구요.
    학생수 30명으로 하면 44억원이 한학기 한과목 강의비로 필요해요.

  • 18. ...
    '25.11.9 4:40 PM (223.38.xxx.15)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으로 나누면
    2억2천만원×교수 12명=26억4천만원 필요하네요.
    학생수 100명이면 교수 6명 13억2천만원 필요하고,
    학생수 30명이면 교수 20명으로 44억원이 한학기 한과목 강의비로 필요해요.

  • 19. ...
    '25.11.9 4:43 PM (211.178.xxx.17) - 삭제된댓글

    연세대는 모르겠지만
    학생들이 편하다고 비대면 수업 선호도가 높아서 입문수업등은 저렇게 비대면 하나둘씩 개설하기도 하더라고요.
    학생들 입장에서 꿀강이라고 많이 몰리니 학교에서도 계속 개설.
    사실 비대면 수업 배우는 것도 거의 없고 읽고 쓰는 과제도 대면 수업에 비해 현저히 적고. 학교가 무책임한거에요.

  • 20. ...
    '25.11.9 4:44 PM (211.178.xxx.17)

    연세대는 잘 모르겠지만
    인서울 대학들도 학생들이 편하다고 비대면 수업 선호도가 높아서 입문 수업 등은 저렇게 비대면 하나둘씩 개설하기도 하더라고요.
    학생들 입장에서 꿀강이라고 많이 몰리니 학교에서도 계속 개설.
    사실 비대면 수업 배우는 것도 거의 없고 읽고 쓰는 과제도 대면 수업에 비해 현저히 적고. 학교가 무책임한거에요.

  • 21. 사이버강의
    '25.11.9 4:48 PM (112.172.xxx.223)

    각 대학마다 사이버 강의가 여러개 개설되어 있어요
    교양뿐 아니라 전공과목도요
    여러 이유가 있죠
    인기 강좌 800명 되는 곳도 있는데 이런 수요 해소를 못해서 그렇고
    대형 강의실도 구할수 없거나
    학생들 선호도가 높은것도 있고
    재직자 전형이라고 산업체 연계 학생들 위한 강의도 많고요
    연세대만 그런게 아닌데
    부정행위가 문제이지
    대학 현실을 파악하고 비난을 하세요

  • 22. ......
    '25.11.9 4:56 PM (182.213.xxx.183) - 삭제된댓글

    이래서 연세대가 1둥했구나.

    대학교육연구소는 7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4년 사립대 적립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체 사립대학 274곳 중 184곳(67.2%)이 적립금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들이 보유한 적립금은 11조5644억원으로 전년보다 4287억원(3.8%)이 증가했다. 적립금은 대학이 재정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유보해두거나 남는 이익금을 쌓아두는 회계를 뜻한다.특히 지난해 적립금이 100억원 이상 급증한 학교는 17곳이었다.

    가장 많이 늘어난 연세대는 올해 6548억원으로 지난해(6182억원)보다 365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고려대(342억원), 홍익대(334억원), 한양대(317억원), 이화여대(204억원) 등의 순으로 적립금이 늘었다. 17곳 가운데 호남대(동결)를 제외한 16곳이 올해 등록금을 올렸다. 영남대(5.4%), 수원대(5.3%), 청주대(5.1%), 고려대(5%) 등 대부분이 올해 법정 상한선(5.49%)에 가깝게 등록금을 올렸다.

    교육부는 지난해 ‘학교법인 및 사립대학 2025회계연도 예산 편성 및 관리 유의사항’에서 “이월금 및 적립금 비율이 높은 대학의 경우 등록금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지만, 상당수 대학이 이를 외면한 것이다. 대학들은 적립금의 경우 건물 신축을 위한 건축기금 등 지정된 목적이 있어 등록금을 대신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해명하지만, 용처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의 불신이 크다.

  • 23. ......
    '25.11.9 4:56 PM (182.213.xxx.183) - 삭제된댓글

    이래서 연세대가 1등했구나

    대학교육연구소는 7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4년 사립대 적립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체 사립대학 274곳 중 184곳(67.2%)이 적립금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들이 보유한 적립금은 11조5644억원으로 전년보다 4287억원(3.8%)이 증가했다. 적립금은 대학이 재정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유보해두거나 남는 이익금을 쌓아두는 회계를 뜻한다.특히 지난해 적립금이 100억원 이상 급증한 학교는 17곳이었다. 가장 많이 늘어난 연세대는 올해 6548억원으로 지난해(6182억원)보다 365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고려대(342억원), 홍익대(334억원), 한양대(317억원), 이화여대(204억원) 등의 순으로 적립금이 늘었다. 17곳 가운데 호남대(동결)를 제외한 16곳이 올해 등록금을 올렸다. 영남대(5.4%), 수원대(5.3%), 청주대(5.1%), 고려대(5%) 등 대부분이 올해 법정 상한선(5.49%)에 가깝게 등록금을 올렸다.

    교육부는 지난해 ‘학교법인 및 사립대학 2025회계연도 예산 편성 및 관리 유의사항’에서 “이월금 및 적립금 비율이 높은 대학의 경우 등록금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지만, 상당수 대학이 이를 외면한 것이다. 대학들은 적립금의 경우 건물 신축을 위한 건축기금 등 지정된 목적이 있어 등록금을 대신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해명하지만, 용처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의 불신이 크다.

  • 24. ......
    '25.11.9 4:57 PM (223.38.xxx.28)

    이래서 연세대가 1등했구나.

    대학교육연구소는 7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4년 사립대 적립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체 사립대학 274곳 중 184곳(67.2%)이 적립금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들이 보유한 적립금은 11조5644억원으로 전년보다 4287억원(3.8%)이 증가했다. 적립금은 대학이 재정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유보해두거나 남는 이익금을 쌓아두는 회계를 뜻한다.특히 지난해 적립금이 100억원 이상 급증한 학교는 17곳이었다. 가장 많이 늘어난 연세대는 올해 6548억원으로 지난해(6182억원)보다 365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고려대(342억원), 홍익대(334억원), 한양대(317억원), 이화여대(204억원) 등의 순으로 적립금이 늘었다. 17곳 가운데 호남대(동결)를 제외한 16곳이 올해 등록금을 올렸다. 영남대(5.4%), 수원대(5.3%), 청주대(5.1%), 고려대(5%) 등 대부분이 올해 법정 상한선(5.49%)에 가깝게 등록금을 올렸다.

    교육부는 지난해 ‘학교법인 및 사립대학 2025회계연도 예산 편성 및 관리 유의사항’에서 “이월금 및 적립금 비율이 높은 대학의 경우 등록금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지만, 상당수 대학이 이를 외면한 것이다. 대학들은 적립금의 경우 건물 신축을 위한 건축기금 등 지정된 목적이 있어 등록금을 대신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해명하지만, 용처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의 불신이 크다.

  • 25. ....
    '25.11.9 4:57 PM (223.38.xxx.15)

    미국 대학에서 ai 신입 교수가 초봉 4억원이에요.
    한과목 강의비가 대략 5천만원이라고 한다면
    학생수 50명이면 교수 12명이 필요하죠.
    유명교수도 아니고 비대면 미국 신입교수에서 강의 맡긴다고 할 때
    5천만원× 교수 12명=6억원 필요해요.

  • 26. ....
    '25.11.9 5:01 PM (223.38.xxx.15)

    ai교수 없다는건 핑계고
    비대면이라면
    해외 유명 ai 석학들에게 3학점 수업 요청해도 들어주겠다 싶네요.

    ai로 각국이 난리인데
    오히려 비대면으로
    해외 ai전문가에게 수업 들어야 할시기 아닌지

    누가 공짜래요?
    50% 2억2천 주고 3학점 짜리 제대로된 수업 요청하면 없겠어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말이 앞뒤가 안맞아요

  • 27. ......
    '25.11.9 5:06 PM (223.38.xxx.28)

    등록금 4억5천중 50%만 수업료로 사용하면 2억2천정도 가용가능

    지금교수가 2억2천짜리 수업을 가르치고 있다면 논란종결.

    국내 제대로 가르칠 ai전문가 없다 하셨으니
    아니라면 2억2천으로 제대로된
    비대면 600명 짜리 수업을 가르칠 교수를 구하자.
    비대면이니 한국 상주 안해도 되는조건.

    각국마다 ai전문가 모시기 전쟁중인데 배울라면 제대로 배우자입니다.

  • 28. ....
    '25.11.9 5:09 PM (223.38.xxx.15)

    원글님이 대학 세워야 할 듯 ㅎ

  • 29. 그럴거면
    '25.11.9 5:27 PM (59.7.xxx.113)

    그냥 유튜브로 강의 듣고 리포트 써라고 해도 되겠어요. 600명에게 공중으로 뿌리는 비대면 수업

  • 30. 아뮤
    '25.11.9 6:26 PM (61.105.xxx.14)

    연대가 등록금 1위라고 들었는데
    기부금도 많고 학교에 돈 쌓아두면서
    등록금좀 낮추지
    이대도 등록금은 비싸면서
    건물에만 투자하지
    학생들 복지에는 별로 투자를 안하는거 같더라구요

  • 31. ㅇㅇi
    '25.11.9 6:55 PM (1.225.xxx.133) - 삭제된댓글

    AI 업계에 있는데
    한국에서 AI 제대로 가르칠 교수 데려오기 힘들어요
    그래서 포닥도 안한 막 졸업한 교수라도 고용하려고 했다가 실패한 인서울 대학도 있구요

    그리고 대학교수 연봉 인상 안한지 오래되었어요
    그래서 연봉 엄청 낮고, 그래서 안오는 거구요

    저는 진짜 아무것도 모르면서 이렇게 글쓰는 사람보면 한심하더라구요

  • 32. ㅇㅇiii
    '25.11.9 6:56 PM (1.225.xxx.133)

    AI 업계에 있는데
    한국에서 AI 제대로 가르칠 교수 데려오기 힘들어요
    그래서 포닥도 안한 막 졸업한 교수라도 고용하려고 했다가 실패한 인서울 대학도 있구요

    그리고 대학교수 연봉 인상 안한지 오래되었어요
    그래서 연봉 엄청 낮고, 그래서 안오는 거구요

    그리고 님은 교수가 강의만 하는 줄 아나보네요
    교수는 학교 행정도 많고, 학생들 지도도 해야해요
    대학을 안다녀보신건가요

    저는 진짜 아무것도 모르면서 이렇게 글쓰는 사람보면 한심하더라구요

  • 33. ㅇㅇ
    '25.11.9 6:58 PM (169.197.xxx.208)

    교수는 수업 강의만 하는 사람이 아닌데요, 수업만 가르칠 사람은 강사겠죠.
    공대 교수는 랩실 운영하며 석박 키우는 연구도 강의 못지 않게 중요합니다.

    뭘 좀 알고 쓰던가

  • 34. ㅇㅇ
    '25.11.9 7:00 PM (169.197.xxx.208)

    추가하자면 등록금 더 낮추면 교수 연봉은 누가 맞춰줄건가요? 교수 연봉이 현재 거의 10년 이상 동결상태라 이 사태가 난건데요

    앞뒤가 안맞잖아요

    https://www.mk.co.kr/news/society/11212312
    “쓰러져 가는 연구실서 세계 대학과 경쟁하라니”…등록금 16년 동결의 그림자

  • 35. 해외석학 온라인?
    '25.11.9 7:35 PM (112.172.xxx.223)

    온라인 강의해줄거 같으세요? 강사료 맞춰줄수 있을거 같으세요?
    그 대학들 등록금만 1년에 주립대 5천- 7천만원
    사립대 1억입니다
    등록금 1년에 천만원도 비싸다고 난리면서 교육의 질은 미국대학 수준으로 하라고요?

  • 36. ......
    '25.11.9 7:40 PM (182.213.xxx.183)

    등록금 내역 공개도 못하는 대학들 편을들고 웃기네
    등록금 사용 내역이라도 공개하면서 이야기를 해야지.

    투명하게 공개하면 누가 뭐래요?

  • 37. 정보공시
    '25.11.9 7:49 PM (112.172.xxx.223)

    대학마다 홈페이지에 경영정보 공시가 다 되어 있어요
    대학 홈페이지마다 방문해서 찾아보세요
    투명하게 공개를 안해요?
    학생회가 공개하라고 다 요구합니다
    입시 경영 평가 다 공개되어 있어요
    대학 근처도 안가보신 분인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1735 단체 카톡에서 대답을 안해요 7 카톡왕따 18:49:37 1,068
1771734 헬스장 천국의 계단 너무너무 힘들어요 3 ㅇㅇ 18:49:11 868
1771733 숨이 차는건 무슨과로 가요? 7 ㅁㅁ 18:48:44 1,007
1771732 28기영식이요 어필할거없냐는 질문에 평범한 남자라면 22 28기 18:45:24 1,453
1771731 밤껍질 은 음식물쓰레기? 3 ........ 18:43:03 810
1771730 500억 넘는 국유재산, 매각시 대통령 승인 받아야 6 쥐가곳간을파.. 18:31:43 1,763
1771729 경량 패딩 따뜻한가요 10 .. 18:27:12 1,627
1771728 1일1식의사 70세 현재얼굴 7 18:26:02 3,374
1771727 마이쭈요 6 ..... 18:22:10 652
1771726 엘지는 한국산이고 삼성은 중국산인데 8 인덕션 18:21:57 1,437
1771725 특이한 사람들 많은거 같아요 .... 18:21:22 650
1771724 며느리 형제상 전 안가는데요 42 조문 18:10:37 3,597
1771723 이혼후 재혼한 사람의 자녀(비양육) 혼사 청첩 8 노랑 18:07:44 1,218
1771722 죽음도 그냥 하나의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살았는데 10 18:02:22 1,783
1771721 시댁형님 형제상,시누남편네 형제상 참석하세요? 23 .. 17:57:29 1,903
1771720 이 옷을 꼭사고싶어요 55 ㅇㅇ 17:52:27 4,319
1771719 저의 20대와 40대의 음주후 변화는 무엇일까요? 1 음주와 붓기.. 17:50:17 617
1771718 컴활자격증, 이젠 가산점이나 메리트가 없을까요? 9 Ai가 다 .. 17:48:54 860
1771717 비즈니스호텔 가기가 꺼림칙해요 3 ㅇㅇㅇ 17:34:43 2,378
1771716 가까운 바다 오이도에 왔어요. 5 ㄴㄷㄹ 17:29:37 1,009
1771715 욕실 온풍기 전기요금 많이 나오나요.. 8 겨울 17:29:03 1,341
1771714 누수공사 8 바다 17:22:34 675
1771713 암투병 친동생 장례식장에 누구 하나 안 온 시댁 66 .. 17:14:35 8,366
1771712 60대 부부에게 중국산 고급 찻잔 선물 어떤가요 ? 20 선물 17:12:03 1,535
1771711 운이 다한 터에 살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5 징조 17:11:36 1,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