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요즘 90세 넘기는건 흔한일이네요

조회수 : 15,808
작성일 : 2025-10-26 19:54:23

주변에 노령인구가 많이 없어서 막연히 70세쯤 돌아가시나보다 했는데 

요즘 관심 갖고 물어보고 돌아다녀보니

70세면 완전 정정하신단계....완전 노인이라고 하기도 어색 ...

80세도 반은 정정

90세 인데 정정하신 분들도 많네요

IP : 211.235.xxx.133
8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ㅡ
    '25.10.26 7:58 PM (211.217.xxx.96)

    주변만 보고 통계를 내는 오류

  • 2. 80세
    '25.10.26 8:02 PM (1.236.xxx.114)

    선우용녀님 제주도 일본여행 당일치기하고
    86세 전원주님 지방 행사다니시고~

  • 3. 전보다
    '25.10.26 8:08 PM (223.38.xxx.30)

    많아진 듯 해요
    전국노래자랑에서 91세 할아버지가 정정하신 모습으로
    노래 부르시더라구요
    응원하러 나오신 할머니도 아주 정정하시던데요
    부부가 어쩜 그 연세까지 건강한 모습 유지하실까 싶었죠

  • 4. 장수시대...
    '25.10.26 8:13 PM (223.38.xxx.101)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화 사회 진입했잖아요
    주변만 봐도 90세 넘게 사시는 분들 여러분 계세요
    예전보다야 늘어난게 보여요
    우리나라 평균수명도 늘어났잖아요

  • 5. ..
    '25.10.26 8:14 PM (203.229.xxx.110)

    80대에 돌아가시면 아흔도 못살고 아쉽다는 이야기 하기도 해요. 생각보다 자주 들어요.

  • 6. ㅇㅇ
    '25.10.26 8:16 PM (122.36.xxx.84) - 삭제된댓글

    90살은 생각만해도 골치아프네요

  • 7. ..
    '25.10.26 8:18 PM (121.125.xxx.140)

    평균연령이 남자 83세 여자 86세 이거든요. 그 전에 돌아가시는 분들이 꽤 있으니 살아계신분들은 90세 이상 살다가 돌아가시는 거에요

  • 8. ...
    '25.10.26 8:21 PM (223.38.xxx.28) - 삭제된댓글

    평균 연령 보세요
    ..님 맞아요

  • 9. 여기에서 본 자료
    '25.10.26 8:29 PM (221.142.xxx.120)

    2024년 통계청자료라고 본것 같아요.
    80세 생존 30%
    85세는 15%
    90세는 5%

  • 10. ...
    '25.10.26 8:31 PM (210.126.xxx.33)

    시아버지 93세, 시어머니 86세 십니다.
    하루라도 더 살아야 한다시고요.

  • 11. ....
    '25.10.26 8:32 PM (221.150.xxx.22)

    건강수명 70대 까지고 우리가 보는 표본은 생존해서 살아계신 비교적 건강하게 신체활동하는 경우만 보이기 때문이예요. 아프고 거동 힘든 분들은 요양원과 요양병원에 계세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사는 거 같지 않은 삶은 살고 있는거죠.
    성당에 장례미사 문자가 오는데 70~80대 가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90대도 가끔 계시고요. 물론 50~60대도 있죠.
    그거 보니까 통계가 맞더라구요



    70세 생존확률  86%
    75세 생존확률 54%
    80세 생존확률 30%
    85세 생존확률 15%
    90세 생존확률 5%

  • 12. ....
    '25.10.26 8:36 PM (61.43.xxx.178)

    평균연령이 엄청 높네요
    80까지는 사는건 보통이군요

  • 13. 안정정해요
    '25.10.26 8:36 PM (124.49.xxx.188)

    순식간에 돌아가세요
    . 오늘 엄마 발인하고왔어요.. 너무 너무 슬프네요 ㅠㅠ

  • 14. ..
    '25.10.26 8:43 PM (221.139.xxx.54) - 삭제된댓글

    꼬장꼬장 팔팔해 보여도 노인은 노인이예요
    저는 만보 못 걷겠던데 하루 만오천~이만보 걷던 저희 아빠 갑자기 떠나셨어요
    80초에 가셨는데 아빤 90대까지 거뜬하게 사실거랬더니
    그렇게 오래 사는 사람들 생각보다 흔하지 않다고
    주변에 죄다 아프거나 죽었다고
    아빠 지인분들 단체사진을 보시면서 여기 있는 사람 나랑 몇명 빼고 다 죽었다셨어요..
    남자들 수명이 여자보다 더 짧은 거 감안하면 맞아요..
    노인분들이 떠나세요..

  • 15. ..
    '25.10.26 8:43 PM (221.139.xxx.54) - 삭제된댓글

    꼬장꼬장 팔팔해 보여도 노인은 노인이예요
    저는 만보 못 걷겠던데 하루 만오천~이만보 걷던 저희 아빠 갑자기 떠나셨어요
    80초에 가셨는데 아빤 90대까지 거뜬하게 사실거랬더니
    그렇게 오래 사는 사람들 생각보다 흔하지 않다고
    주변에 죄다 아프거나 죽었다고
    아빠 지인분들 단체사진을 보시면서 여기 있는 사람 나랑 몇명 빼고 다 죽었다셨어요..
    남자들 수명이 여자보다 더 짧은 거 감안하면 맞아요..
    노인분들은 떠나세요..

  • 16. 부자되다
    '25.10.26 8:43 PM (106.101.xxx.37)

    저 통계보고 놀랬어요 75세 생존률이 54%라니
    90세는 5%생존
    의외네요

  • 17. ...
    '25.10.26 8:44 PM (221.139.xxx.54)

    꼬장꼬장 팔팔해 보여도 노인은 노인이예요
    저는 만보 못 걷겠던데 하루 만오천~이만보 걷던 저희 아빠 갑자기 떠나셨어요
    80초에 가셨는데 아빤 90대까지 거뜬하게 사실거랬더니
    그렇게 오래 사는 사람들 생각보다 흔하지 않다고
    주변에 죄다 아프거나 죽었다고
    아빠 지인분들 단체사진을 보시면서 여기 있는 사람 나랑 몇명 빼고 다 죽었다셨어요..
    남자들 수명이 여자보다 더 짧은 거 감안하면 맞아요..
    노인분들은 갑자기 떠나세요..

  • 18. 평균 수명
    '25.10.26 8:52 PM (223.38.xxx.89)

    평균 수명이 높잖아요

  • 19. 상위10프로
    '25.10.26 8:53 PM (218.48.xxx.143) - 삭제된댓글

    90세까지 살면 상위 10프로죠.

  • 20. 90세 이상
    '25.10.26 9:01 P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챗 지피티 답변

    2020년 이후 대한민국에서 90세 이상 노인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고령사회 진입과 관련된 주요 지표 중 하나로, 향후 사회적·경제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 90세 이상 노인 수 추이 (2020~2023년)

    정확한 연도별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90세 이상 노인 수 (명)
    2020년 약 78만 명
    2021년 약 83만 명
    2022년 약 88만 명
    2023년 약 93만 명


    이는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와 보건복지부의 노인 실태조사 등을 기반으로 한 추정치입니다.

    ???? 향후 전망
    대한민국은 2025년을 기점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90세 이상 노인의 수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특히 2030년대 중반에는 90세 이상 노인 인구가 1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 21. ㅇㅇ
    '25.10.26 9:02 PM (211.110.xxx.44)

    챗 지피티 답변

    2020년 이후 대한민국에서 90세 이상 노인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고령사회 진입과 관련된 주요 지표 중 하나로, 향후 사회적·경제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90세 이상 노인 수 추이 (2020~2023년)
    정확한 연도별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90세 이상 노인 수 (명)
    2020년 약 78만 명
    2021년 약 83만 명
    2022년 약 88만 명
    2023년 약 93만 명

    이는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와 보건복지부의 노인 실태조사 등을 기반으로 한 추정치입니다.

    향후 전망
    대한민국은 2025년을 기점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90세 이상 노인의 수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특히 2030년대 중반에는 90세 이상 노인 인구가 1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 22.
    '25.10.26 9:14 PM (122.36.xxx.84) - 삭제된댓글

    90세이상 인구가 93만명임 태어나는 인구가 34만이라는데
    심각하네요.
    ㅠㅠㅠㅠ광역시급 인구네요. 징글

  • 23. ..
    '25.10.26 9:29 PM (59.9.xxx.163)

    80엔 가는게 복같음

  • 24. 다들
    '25.10.26 9:31 PM (211.48.xxx.45)

    여기 댓글 다신분들도 95세 이상 사실겁니다.
    그렇게 생각하셔야 할것 같아요

  • 25. ..
    '25.10.26 9:37 PM (211.112.xxx.69)

    80 넘기는건 그냥 보통이죠
    양가 부모님, 주변 부모님들 80가까이 되거나 넘으셨은데 80퍼 이상 정정하세요. 활동하시고.
    그래도 그 연세엔 이젠 자식이든 누구든 도움을 필요로 하니 자식 입장에서 부담스럽기도 해요. 안쓰럽기도 하고.

  • 26. 저희 엄마
    '25.10.26 9:46 PM (221.153.xxx.127)

    39년생입니다.
    마르고 작은 편이셨던 외활머니가 1986년 86세 돌아가셨어요.
    그때만 해도 장수 하셨다 생각들 했었구요.
    근데 저희 엄마는 젊어서도 퉁퉁한 편이시고 해서 할머니보다 오래 못 사실 줄 알았어요.
    지금 보면 90은 충분히 넘기실 것 같아요.
    친구들 어머니도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다 생존해 계세요.

  • 27. 맞다
    '25.10.26 9:50 PM (14.55.xxx.94)

    맞다 맞어
    못 걷고 아픈 분들은 죄다 요양원 요양병원에 계시니 건강한 노인만 보게 되는 거

  • 28. ㅡㅡㅡ
    '25.10.26 10:12 PM (70.106.xxx.95)

    너무 오래사는것도 힘들어요
    누구 손을 빌어서 사는건 .

  • 29. ㅇㅇ
    '25.10.26 11:01 PM (59.30.xxx.66)

    친정부친은 93세에 돌아가셨고요

    모친은 올해 90세 이신데 운동을 안하시니 기력이 달려요

    식사도 적게 하시고 입맛도 없으시네요

  • 30. 의료환경이
    '25.10.26 11:15 PM (222.119.xxx.18)

    너무 좋아졌죠.
    치아 관절 시력..
    거의 인공..

  • 31. 강냉
    '25.10.26 11:41 PM (222.232.xxx.109)

    통계를 보면 1945년 태어나신 분이 지금 30% 살아계시다는 건데... 그때보다 의료, 영양이나 안전이 비교 안되게 좋아졌죠. 1985년쯤 태어난 사람들은 평균 90살 이상 살듯요. 요샌 60대는 걍 아줌마아저씨 같은 사람 많아요. 80대는 되어야 진짜 노인이구나 싶고

  • 32. 통계
    '25.10.27 1:21 AM (58.236.xxx.72)

    70세 생존확률 86%
    75세 생존확률 54%
    80세 생존확률 30%
    85세 생존확률 15%
    90세 생존확률 5%

    양가 어른 85세 신데 ~~ 와 15프로라

  • 33. 원글님은 몇세?
    '25.10.27 1:26 AM (115.138.xxx.249)

    주변에 노령인구가 많이 없어서 막연히 70세쯤 돌아가시나보다 했는데
    ========================================
    저 65살인데 ㅜㅜ
    5년 남았나요??

  • 34. 장례식장
    '25.10.27 6:04 AM (118.221.xxx.141)

    가보면 70대가 흔치 않아요

  • 35. 글쎄요
    '25.10.27 6:41 AM (222.235.xxx.92)

    저는 평균연령 점점 줄어들꺼라 생각해요
    요즘 노인들은 영양이 부실했지만 운동량이 상당해서 다들 날씬합니다
    요즘 젊은사람들 영양은 충분하겠지만 운동부족 기본이고
    편의점 음식에 스마트폰 달고사는데 성인병으로 생각보다 오래 못살것같아요

  • 36. 제 주변
    '25.10.27 6:45 AM (220.117.xxx.35)

    105세 102세
    정정하세요
    공통점 충치없이 본인 치아
    본인이 직접 밥도 해 드시고 활동하심

  • 37. 100세
    '25.10.27 6:47 AM (220.117.xxx.35)

    8000명 가까이 된다고 함

  • 38.
    '25.10.27 6:48 AM (74.75.xxx.126)

    주위 어른들은 85에서 90사이가 가장 critical한 것 같던데요. 아무리 백세 시대라고 언론에서 떠들어도 90 넘기는 분 잘 못 봤어요. 해외 유명인사를 봐도 그렇고요.

  • 39. 제 주변에
    '25.10.27 6:54 AM (211.114.xxx.107)

    90전후 노인 아주 많아요. 대충 세어봐도 20명 가까이 되는듯.

    제일 나이 많으신분이 98세인데 70대 간병인과 같이 살고 계세요. 그런데 매일 집 안 마당의 풀을 혼자 다 뽑으시고, 아침 저녁 산책 다니시고, 낮에는 미술관에 다니시면서 그림 감상도 하시고 거기서 그림도 그리신대요. 그리고 한달에 몇번씩 친구분들도 만나시고 친척분들과도 자주 만나 이야기 나누세요.

    저희 엄마와도 종종 만나시는데 경치 좋은 곳에서 같이 식사하고 주변 산책하며 이야기 나누다 돌아오시는데 청력도 좋으시고, 기억력이나 인지력 등도 다 좋으셔서 대화 나누는데 불편함이 전혀 없으시다고...

  • 40. 사랑
    '25.10.27 8:09 AM (125.129.xxx.235)

    노인들 적당히 살았으면 그만 살아야해요
    장수가 정말 큰일.
    자식들은 뭔 죄냐.

  • 41. 그나마
    '25.10.27 8:22 AM (70.106.xxx.95)

    혼자 밥해먹고 거동하고 그럼 괜찮은데
    자식며느리가 데리고 살아야하면서 구십 백살 살면 힘들어요

  • 42. ㅇㅇ
    '25.10.27 8:23 AM (207.244.xxx.81) - 삭제된댓글

    저희 할머니 80중반에 돌아가신 후로는 그래도 80대에 노인 많이 죽는구나 확 와닿던데요
    심장마비로 갑자기 가셨어요. 그리고 돌아가신 후에 생각해보면
    정신도 좀...... 아마 살아계셨으면 1~2년뒤 치매 판정 받으셨을 거 같은..

  • 43. 85세
    '25.10.27 8:29 AM (124.54.xxx.231) - 삭제된댓글

    넘으면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많이 노쇠하시던데요
    그리고 보통은 남자보다 여자가 더 살고
    그 기간을 건강하게 사는게 숙제네요

    뭐 90세 100세 넘어
    건강하신 분들도 있겠지만요

  • 44. ㅇㅇ
    '25.10.27 8:36 AM (118.235.xxx.135)

    제가 1년에 상가집을 30 곳 정도 가는데
    80% 는 9순을 넘기고 돌아가신 분이더라고요
    돈많으면야 백세 인생도 축복이지만, 저같이 돈없는 서민은 솔직히 장수가 재앙인데 ㅠㅠ

  • 45. 부모 오래살아도
    '25.10.27 8:38 AM (223.39.xxx.242)

    부모들 90세 넘게 오래살아도
    자식들은 60~ 70대에 네분이나 돌아가셨어요ㅜㅜ
    가는건 알 수 없어요 진짜ㅜㅜ

  • 46.
    '25.10.27 9:14 AM (61.75.xxx.202)

    삶은 먼저 가신 분들의 희생으로 살아지는 거래요
    작게는 가족일 수 있고 넓게는 세계일 수 있기에
    산다는 것은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야 한대요

  • 47. . . .
    '25.10.27 9:15 AM (175.119.xxx.68)

    그 자식들이 모시다 스트레스 받아서 먼저 죽겠어요
    90세 될때까지 봐야 한다니 끔찍합니다

  • 48. ㄴㄷ
    '25.10.27 9:24 AM (39.7.xxx.243)

    70세 생존확률 86%
    75세 생존확률 54%
    80세 생존확률 30%
    85세 생존확률 15%
    90세 생존확률 5%

    양가 어른 와 15프로라

    2222222222222222222222

    장례 부고 문자옴
    104세

    시골 혼자 사는 어른 봅고 옴
    94세. 워커끌고 1시간씩 걸으심.
    빼짝 마르셔도 잘 걸어다니심
    경도인지장애 수준.

    100세는 넘기실듯 함

  • 49. ㅇㅇ
    '25.10.27 9:48 AM (222.233.xxx.216)

    원글님 많이 어리신가봐요

    막연히 70세에 돌아가시나 했다니요 2

  • 50. 이게
    '25.10.27 10:36 AM (118.235.xxx.167)

    2023년에 90세 이상 노인수 93만 명이었다니
    지금은 100만명도 넘겠네요

  • 51. 흔한일은아님
    '25.10.27 10:47 AM (117.111.xxx.254)

    흔한 일은 아니에요

    여전히 90넘어서 장수하는 건 드문 일입니다.

  • 52. 흔하지않음22
    '25.10.27 11:09 AM (14.35.xxx.114)

    흔하지 않은 것 같아요.

    친정부모님 두분 다 80을 못넘기고 가셨어요. 시어른들 두분 다 80넘었는데, 한 분 치매로 요양원에 한 분은 기력떨어지셔서 예전처럼 밖에 못다녀요.

  • 53. 흔하지않음22
    '25.10.27 11:26 AM (14.35.xxx.114)

    저도 할머니 두분이 다 90넘어서 가시고, 특히 할머니의 언니분은 100세 넘기셔서, 저희 부모님도 당연히 90세까지는 사시겠거니 했어요. 생각보다 80중반 90넘어서까지 건강하게 장수는 드문 일인 것 같아요.

  • 54. 어이구
    '25.10.27 11:45 AM (211.218.xxx.125)

    70대면 정정하긴 하세요. 80대에서 많이 돌아가셨고요, 90이 흔한 건 아니에요.

  • 55. ㅇㅇ
    '25.10.27 12:14 PM (118.235.xxx.220)

    90세 이상이 100만명
    엄청 많네요!

  • 56. 아닌데
    '25.10.27 12:19 PM (58.235.xxx.48)

    75세에 반은 죽는다고 통계가 나오는데요?
    오래사는 사람이 눈에 띄어 그렇지
    보통 그렇게 못 살아요.
    그냥 75세면 내일 죽어도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살아야 함.

  • 57. 저희도
    '25.10.27 12:26 PM (123.142.xxx.26)

    100세 넘기신 분 정정합니다

  • 58. ㅇㅇ
    '25.10.27 1:29 PM (61.80.xxx.232)

    주위에 80후반~ 90후반 은근많아요

  • 59.
    '25.10.27 1:42 PM (220.118.xxx.65)

    남녀 모두 80은 넘기고 가야 좀 살았네..해요.
    80 전에 죽으면 빨리 가는 건 맞아요.

  • 60. ㅇㅇ
    '25.10.27 2:17 PM (116.89.xxx.138)

    치매 친정아버지 88세
    뇌경색왔던 친정모친 82세
    재활 열심히 하시더니 더 정정해진 느낌
    건강검진했는데 혈액검사는 저보다 더 좋아요
    이상소견이 없음

  • 61. ca
    '25.10.27 2:26 PM (39.115.xxx.58)

    정정하면 괜찮은데...
    훅 건강이 꺾이는 기점이 있어요.
    80대 중반 넘어가면 많이들 호호 할아버지 할머니 느낌 나고요.
    몸에 이상도 생기네요.

    정정하고 건강하게 오래사는 것은 좋은 것인데,
    건강을 잃거나 정신을 잃고 장수하는 것은 불행한 일인듯 합니다.

  • 62. .....
    '25.10.27 2:52 PM (175.119.xxx.50)

    전 반대로, 생각보다 일찍들 돌아가시네...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요새 회사 부모님상 보면 60대 후반, 70대, 80대 초반이 많아요.
    나이가 아깝네 싶은 분들 많아서 놀람.

  • 63. less
    '25.10.27 3:29 PM (49.165.xxx.38)

    제 주변친구들 부모님. 양가 부모님. 친척들 보면.
    70세 넘으신 분들 엄청 많은데.. 대부분 정정하심....

    요즘 70대는 다들 정정하세요.. 일다니는분도 많으심.

  • 64. ㅇㅇ
    '25.10.27 3:30 P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75세에 절반쯤은 사망한다,
    실제로 장수하는 노인은 그리 많지 않고,
    장수 확률은 생각 보다 낮다는 분들은

    8090, 100세 이상 노인들이 견뎌낸
    1920, 1930,1940년대의 열악성은 차치하고라도
    1950~1953년 한국전쟁,
    1965~1973년 소위 월남 파병,
    그 여파로 인한 비정상적인 변수 등으로 인한
    질병, 사망 등이
    중위수명 수치를 상당 부분 낮췄을 거라는
    합리적 추론 마저 간과한 거네요.

  • 65. 요즘은
    '25.10.27 3:41 PM (211.46.xxx.113)

    80대 돌아가셔도 빠른것 같아요
    90은 넘어야.....

  • 66. 요즘
    '25.10.27 3:48 PM (125.178.xxx.170)

    장례 연락 오면
    대부분 80대 중반~90 사이더군요.
    실감해요.

    시아버지만 봐도 80대 중반부터 기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게 느껴지고요.

  • 67. 고령사회
    '25.10.27 3:54 P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75세에 절반쯤은 사망한다,
    실제로 장수하는 노인은 그리 많지 않고,
    장수 확률은 생각 보다 낮다는 분들은

    8090, 100세 이상 노인들이 견뎌낸
    1920, 1930,1940년대의 열악성은 차치하고라도
    1950~1953년 한국전쟁,
    1965~1973년 소위 월남 파병,
    그 여파..도 컸을 거구요.

    이런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한 사망, 사고, 질병 등이
    중위수명 수치를 상당 부분 낮췄을 거라는
    합리적 추론 마저 간과한 거네요.

    지금 노인 세대 때는 영유아 사망률도 높았어요.
    중위수명이
    그 모든 역사적 사회적 변수까지 반영된 수치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오래 살 확률은
    님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높다고 보는 게 맞아요.

  • 68. 고령사회
    '25.10.27 3:58 PM (117.111.xxx.157) - 삭제된댓글

    75세에 절반쯤은 사망한다,
    실제로 장수하는 노인은 그리 많지 않고,
    장수 확률은 생각 보다 낮다는 분들은

    8090, 100세 이상 노인들이 견뎌낸
    1920, 1930,1940년대의 열악성은 차치하고라도
    1950~1953년 한국전쟁,
    1965~1973년 소위 월남 파병,
    그 여파..도 컸을 거구요.

    이런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한 사망, 사고, 질병 등이
    중위수명 수치를 상당 부분 낮췄을 거라는
    합리적 추론 마저 간과한 거네요.

    지금 노인 세대 때는 영유아 사망률도 높았어요.
    중위수명이 그 모든 역사적 사회적 변수까지 반영된
    수치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오래 살 확률은
    님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높다고 보는 게 맞아요.

  • 69. ㅇㅇ
    '25.10.27 4:13 PM (117.111.xxx.123) - 삭제된댓글

    75세에 절반쯤은 사망한다,
    실제로 장수하는 노인은 그리 많지 않고,
    장수 확률은 생각 보다 낮다는 분들은

    8090, 100세 이상 노인들이 견뎌낸
    1920, 1930,1940년대의 열악성은 차치하고라도
    1950~1953년 한국전쟁,
    1965~1973년 소위 월남 파병,
    그 여파..도 컸을 거구요.

    이런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한 사망, 사고, 질병 등이
    중위수명 수치를 상당 부분 낮췄을 거라는
    합리적 추론 마저 간과한 거네요.

    지금 노인 세대 때는 영유아 사망률도 높았어요.
    중위수명이 그 모든 역사적 사회적 변수까지 반영된
    수치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 정도 변고까지는 겪지않은 요즘 사람들이
    오래 살 확률은
    님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높다고 보는 게 맞아요.

  • 70. ㅇㅇ
    '25.10.27 4:17 PM (117.111.xxx.123)

    75세에 절반쯤은 사망한다,
    실제로 장수하는 노인은 그리 많지 않고,
    장수 확률은 생각 보다 낮다는 분들은

    8090, 100세 이상 노인들이 견뎌낸
    1920, 1930,1940년대의 열악성은 차치하고라도
    1950~1953년 한국전쟁,
    1965~1973년 소위 월남 파병,
    그 여파..도 컸을 거구요.

    이런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한 사망, 사고, 질병 등이
    중위수명 수치를 상당 부분 낮췄을 거라는
    합리적 추론 마저 간과한 거네요.

    지금 노인 세대 때는 영유아 사망률도 높았어요.
    중위수명이 그 모든 역사적 사회적 변수까지 반영된
    수치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 정도 변고까지는 겪지않은 요즘 사람들이
    오래 살 확률은
    님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높다고 보는 게 맞아요.
    중위수명 수치속 함정도 생각해봐야 돼요.

  • 71. ....
    '25.10.27 4:42 PM (125.141.xxx.75)

    질병과 사고사도 평균 수명 통계에 당연 포함되는거죠
    그걸 왜 배제하나요 똑같은 사람인데

  • 72. ....
    '25.10.27 4:45 PM (125.141.xxx.75) - 삭제된댓글

    90대 까지 사시면 뭐해요 송장처럼 누워만 계시는데
    80후반까지도 날라다니시던 할아버지 90대 넘으시니 침대생활 하세요. 그분이 동네에서도 장수 할배로 가장 유명하셨던 분이예요. 실제로 특히 남성이 90대 넘기는 거 흔하진 않아요. 실버타운에 대부분 할머니들인데 80대에 10에 8명은 돌아가세요. 최상위 실버타운이라 관리 끝판왕인 할머니들만 계셨어요.

  • 73. ....
    '25.10.27 4:46 PM (125.141.xxx.75)

    90대 까지 사시면 뭐해요 송장처럼 누워만 계시는데
    80후반까지도 날라다니시던 할아버지 90대 넘으시니 아예 누워 지내세요. 그분이 동네에서도 장수 할배로 가장 유명하셨던 분이예요. 실제로 특히 남성이 90대 넘기는 거 흔하진 않아요. 실버타운에 대부분 할머니들인데 80대에 10에 8명은 돌아가세요. 최상위 실버타운이라 관리 끝판왕인 할머니들만 계셨어요.

  • 74. ,,,,
    '25.10.27 5:10 PM (218.152.xxx.72) - 삭제된댓글

    70세 생존확률 86%
    75세 생존확률 54%
    80세 생존확률 30%
    85세 생존확률 15%
    90세 생존확률 5%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양가 부모님 중 시어머님 90중반이고
    친정아버지는 70세 전에 돌아 가셨고
    나머지 분들은 80대에 돌아 가셨네요

    위에 댓글 깊히 공감해요

    [삶은 먼저 가신 분들의 희생으로 살아지는 거래요
    작게는 가족일 수 있고 넓게는 세계일 수 있기에
    산다는 것은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야 한대요]

    사는게 막막하고 힘들때 유튜브 보면,미국이나
    영국도 1900년대 초반 서민의 삶 특히 어린아이들도
    노동에 시달리고 (석탁,방직)등
    지금 이시대에 태어난것엉 감사한 마음이 저절로
    들어요. 누가 태어나고 싶어 그시대에 그환경에
    태어났겠어요~~!! 북한만 봐도 그렇고

  • 75. 들꽃처럼 살기
    '25.10.27 5:14 PM (218.152.xxx.72) - 삭제된댓글

    70세 생존확률 86%
    75세 생존확률 54%
    80세 생존확률 30%
    85세 생존확률 15%
    90세 생존확률 5%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양가 부모님 중 시어머님 90중반이고
    친정아버지는 70세 전에 돌아 가셨고
    나머지 분들은 80대에 돌아 가셨네요

    위에 댓글 깊히 공감해요

    [삶은 먼저 가신 분들의 희생으로 살아지는 거래요
    작게는 가족일 수 있고 넓게는 세계일 수 있기에
    산다는 것은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야 한대요]

    사는게 막막하고 힘들때 유튜브 보면,미국이나
    영국도 1900년대 초반 서민의 삶 특히 어린아이들도
    노동에 시달리고 (석탄,방직)등
    지금 이시대에 태어난것에 감사한 마음이 저절로
    들어요. 누가 태어나고 싶어 그시대에 그환경에
    태어났겠어요~~!! 북한만 봐도 그렇고..
    어렸을때 우리집에서 가정부로 일했던 언니들
    오빠하고 몇살차이 안나고 10대 후반의 소녀인데

  • 76. 들꽃처럼 살기
    '25.10.27 5:18 PM (218.152.xxx.72)

    70세 생존확률 86%
    75세 생존확률 54%
    80세 생존확률 30%
    85세 생존확률 15%
    90세 생존확률 5%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양가 부모님 중 시어머님 90중반이고
    친정아버지는 70세 전에 돌아 가셨고
    나머지 분들은 80대에 돌아 가셨네요

    위에 댓글 깊히 공감해요

    [삶은 먼저 가신 분들의 희생으로 살아지는 거래요
    작게는 가족일 수 있고 넓게는 세계일 수 있기에
    산다는 것은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야 한대요]

  • 77. 00
    '25.10.27 5:50 PM (221.145.xxx.152)

    84세까지 정정하시던 시아버지 암으로 일년만에 돌아가시고 친척형부도 80중반에 꺾이시더니 몇개월 못살다 가셨어요 .남자노인분들은 투병기간이 여성노인분 보다 대체로 짧은것 같네요. 친정 큰오빠도 요양병원 입원 4개월만에 가셨지요. 골골90,100세는 할머니들이 많아 보여요.

  • 78. 90넘게 사니
    '25.10.27 6:26 PM (112.167.xxx.92)

    자식이 먼저 죽더이다 주변 친구들도 먼저갔고 자식들도 6070대로 같이 늙어있고 거기다 돈없지 아프지 오래사는게 징글징글 지옥이 되는거

  • 79. wii
    '25.10.27 6:33 PM (14.53.xxx.9)

    아빠가 자식이 늦어 지금 95세 주민등록상은 91세. 87세까지 아주 건강하셨고 89세까지 장거리 여행 다녀오셨어요. 그리고 편찮으셔서 같이 살고 있지만 정신도 멀쩡하시고 다른 문제 크게 없으셔서 100세까지 사셨으면 좋겠다 해요. 아빠가 고통스러우면 가셔도 좋다 생각하지만 견디실 수 있으면 100세까지 같이 계셨으면 합니다.

  • 80. ㅇㅇㅇ
    '25.10.27 6:34 PM (39.125.xxx.53)

    90 넘은 시엄니 짱짱 하십니다.
    100세 찍으실 것 같아요.
    가까운 친구들은 다 돌아가셔서 아무도 없지만, 다행히 자식들이 근처에 살고 있어서 외롭진 않으세요. 운동도 종교활동도 열심히 하시구요.
    형제들도 모두 건강하게 살아 계시고 교류도 활발하십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7905 대략 한달 후면 계엄 1년이네요 3 .... 2025/10/27 546
1767904 주식은 운이고 도박인거 같음 10 .... 2025/10/27 2,661
1767903 치매엄마 답이 없네요. 9 고민 2025/10/27 2,792
1767902 민주 “‘전세 3+3+3 임대차법’ 검토한 바 없어” 12 ... 2025/10/27 1,390
1767901 마대자루에 뚝배기 넣어서 버릴건대요 집에 있던 쌀포대 써도 되나.. 7 ... 2025/10/27 1,103
1767900 쿠폰을 못찾아서 20.000원 날리게 생겼어요ㅠㅠㅋㅋ 6 ... 2025/10/27 1,445
1767899 한덕수 재판부 "11월 중 재판 마치겠다" 8 다행입니다 2025/10/27 816
1767898 주식 코인 등등 8 나도 2025/10/27 1,206
1767897 60대인데 간병보험 드는게 좋겠죠? 3 보험 2025/10/27 1,168
1767896 재테크 잘하려면 정치를 이용하세요 17 ... 2025/10/27 2,587
1767895 26학년도 의대 정시 복수 지원 할 수 있나요? 4 .. 2025/10/27 461
1767894 자식한테 미안하지만…(초등) 7 .. 2025/10/27 2,311
1767893 남편이… (19) 22 에헴 2025/10/27 5,563
1767892 전세제도 폐지, 수도분립, 그리고 8 .. 2025/10/27 1,203
1767891 6세 남아 물건 버리는 비결 있나요? 5 !!! 2025/10/27 624
1767890 잠실 해주냉면 맛있나요? 13 ㅇㅇ 2025/10/27 1,206
1767889 파바 쿠폰 이상하네요. 3 .. 2025/10/27 908
1767888 신소재공학과 전망이 어떤가요?? 11 학과 2025/10/27 1,414
1767887 주식 안하는 분들도 있죠? 24 2025/10/27 3,419
1767886 남편이 갑자기 무인카페 하자고 하네요 25 빠빠시2 2025/10/27 4,626
1767885 카카오톡 최근 파일안보여요 ㅇㅇ 2025/10/27 187
1767884 1월 영국런던 날씨.. 뭐입고 가야되나요 7 여행 2025/10/27 489
1767883 에코프로는 왜 매수가 안되는거죠? 5 .. 2025/10/27 1,677
1767882 초등영어 과외하는데 자존심 상하네요 5 dd 2025/10/27 1,633
1767881 윤민수 이혼은... 15 그런데요 2025/10/27 7,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