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부모들이 자식 공부에 목을 매는데도 왜 이렇게 되었을까

ㅇㅇ 조회수 : 3,803
작성일 : 2025-10-09 07:28:35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2043384

 

영어유치원에 4세고시 7세고시 이런 건 그들만의 세상이라고 넘어가더라도

초등 학부모중에 자식들 과외 안시키는 부모가 없을텐데

학교공부에다 과외까지 마치고 집에오면

부모들이 또 공부해라고 애를 들들 볶는다고 하는데

애들 기초학력 미달이 증가한다는 현상이 이해가 안가네요

 

 

 

 

IP : 210.126.xxx.111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0.9 7:29 AM (59.20.xxx.3)

    초딩 때 무슨 과외를 시켜요?

  • 2. 기초를
    '25.10.9 7:32 AM (59.7.xxx.113)

    충분히 익히지 않았으니까요. 우리 어릴때는 단어를 주고 짧은 글짓기하라는 귀찮은 숙제 받아왔죠. 전과 베끼면서 얼마나 투덜댔던지. 근데 요즘은 기초를 익히는 숙제 안내주죠. 기초과정은 귀로 듣고 눈으로 훑고 지나가죠.

    부모들은 내 아이의 레벨에 신경쓰다보니 아래 단계에서 기초 다지는거 못견뎌해요. 즉 아이의 기초가 부족한데 멱살잡고 끌고 가는거죠. 선행 선행 선행...

  • 3. 빈익빈
    '25.10.9 7:33 AM (83.249.xxx.83)

    부익부..........시키는애들만 시킨다.

  • 4. ㅇㅇ
    '25.10.9 7:40 AM (210.126.xxx.111)

    그런 말 듣긴 했어요
    학력미달인 애를 방과후 공부 시킨다고 남으라고 하면
    학부모가 찾아와서 선생 멱살 잡는다고..
    내 자식 기죽이는 짓 하지 말라는거죠

  • 5. ~~
    '25.10.9 7:40 AM (49.1.xxx.74)

    기본 개념이나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지 않고
    단편적인 걸 쏟아부어 질리게 만들더군요.
    초1이 세상과 우주에 대해 별의별 걸 다 알아요.

  • 6. ㅁㅁ
    '25.10.9 7:44 AM (58.29.xxx.20)

    의외로 아이들 교육에 무관심한 부모 매우 많아요.
    시골로 가면 아직도 많은 부모가 먹고 살기 바빠서 애를 낳아만 놓고 알아서 크는줄 알아요. 공부는 학교 가서 하는줄 알죠. 시골에 무슨 학원이 있겠나요. 어차피 교육열 있어도 못시키죠.
    이 와중에 시키는 집은 더더 시키죠. 도시 학교에선 교사들이 열의가 없어요. 어차피 다 선행하고 왔는줄 알죠. 도시 빈민층 아이들은 이런 애들 옆에서 소외되요. 학교가서 배울줄 알았는데, 사는집 애들은 사교육으로 배우고, 교사는 안가르치고.
    거기다 애들 경쟁 내몰린다고 초1때 하던 받아쓰기 못하게 했죠. 초등때 학력평가 못하게 했죠. 한마디로 시험도 안보니 안봐도 시키는집과 그거라도 안보니 아예 안시키는 집과 더 벌어져요.
    중학교 가도 마찬가지죠. 애들 어렵다고 기초학력 미달자 나온다고 자꾸 이것도 빼서 쉽게, 저것도 빼서 쉽게.. 교과서만 고쳐서 쉽게 만들었죠. 중1에 실시하는 자유학기제도 콜라보~
    이게 다 그 결과에요.

  • 7. 77
    '25.10.9 7:46 AM (219.241.xxx.152) - 삭제된댓글

    지금 세가지

    하나는 공부 체질이 아닌 아이를 공부 시킨다고 되나요?
    욕심이지

    또 하나는 직장맘이 많아서 집에 혼자 있기 그러니 보내는거

    또 하나는 부모욕심

  • 8.
    '25.10.9 7:49 AM (219.241.xxx.152)

    의외로 아이들 교육에 무관심한 부모 매우 많아요.
    시골로 가면 아직도 많은 부모가 먹고 살기 바빠서 애를 낳아만 놓고 알아서 크는줄 알아요. 공부는 학교 가서 하는줄 알죠. 시골에 무슨 학원이 있겠나요. 어차피 교육열 있어도 못시키죠.
    이 와중에 시키는 집은 더더 시키죠. 도시 학교에선 교사들이 열의가 없어요. 어차피 다 선행하고 왔는줄 알죠. 도시 빈민층 아이들은 이런 애들 옆에서 소외되요. 학교가서 배울줄 알았는데, 사는집 애들은 사교육으로 배우고, 교사는 안가르치고.
    거기다 애들 경쟁 내몰린다고 초1때 하던 받아쓰기 못하게 했죠. 초등때 학력평가 못하게 했죠. 한마디로 시험도 안보니 안봐도 시키는집과 그거라도 안보니 아예 안시키는 집과 더 벌어져요.
    중학교 가도 마찬가지죠. 애들 어렵다고 기초학력 미달자 나온다고 자꾸 이것도 빼서 쉽게, 저것도 빼서 쉽게.. 교과서만 고쳐서 쉽게 만들었죠. 중1에 실시하는 자유학기제도 콜라보~
    이게 다 그 결과에요.'222222222222222

    이분 말씀 다 맞아요
    민주당 교육정책도 서민을 위한 것은 아니에요
    저런식으로 아이들 위한다고 한 정책들이
    잘 하고 부자는 도리어 사교육 받으니 문제 안 되고 더 좋아요
    서민들이 문제지
    더 양극화를 만들죠

  • 9.
    '25.10.9 7:49 AM (223.38.xxx.222)

    부모가 방치하는 아이들도 많아요

  • 10. ㅇㅇ
    '25.10.9 7:50 AM (223.39.xxx.218)

    빈익빈이 문제 아닌가요
    나머지공부 시키면 분노할테고

  • 11. 5년간 하락
    '25.10.9 7:56 AM (121.130.xxx.247)

    이게 포인트잖아요

    유튜브도 3분 넘어가면 끝까지 못보고 숏츠만 봐요
    이제는 아예 자극적인 제목만 보고 판단해 버려요
    그 결과 사사건건 혐오조장하는 사회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구요

    그게 문제라는거예요

  • 12. 높은 연령대의
    '25.10.9 7:58 AM (220.117.xxx.100)

    학생들이 알만한 쪼가리 정보나 지식들을 알고 있으면 선행한줄 알고 앞서나가는줄 아는 착각이 한몫하죠
    기초를 다지기 보다 그 나이 또래보다 뭔가 어려워보이는듯한 것들을 많이 하고, 많이 알면 똑똑한줄 아니까
    이건 부모가 공부에 대해 잘 모를수록 더해요
    그게 기초가 아니고 실력도 아니라는 것을
    기초는 사실 호기심을 자극해서 호기심을 갖게 만드는 것이 정말 중요하거든요
    호기심을 자극하는건 스스로 뭔가를 알고싶게 만드는거라 그게 되면 시키지 않아도 자기가 파고 들어가고 자기가 나서서 찾고 답을 구하려고 애써요
    몇등, 몇점 같은 뻔한 기준으로 매긴 자리가 아이의 알고싶고 배우고싶어하는 학습능력을 제대로 보여주지 않아요
    거기에 낚여서 놀아나는 부모가 엄한 애들 잡는거죠
    사회 취약계층의 학습에 대한 접근이 어렵고 제한적인 것도 일부 원인이기도 하고요

  • 13. ㅇㅇ
    '25.10.9 8:03 AM (211.235.xxx.48)

    코로나때 마스크 끼고 자라던 애들 영향도 있을거에요

  • 14.
    '25.10.9 8:04 AM (14.44.xxx.94) - 삭제된댓글

    공부머리도 유전
    학교 학원 다녀도 책가방 운전만 하는 애들이 대다수
    수준별 수업을 해야하는데 애 기죽는다고 난리쳐서 못함

  • 15. ....
    '25.10.9 8:04 AM (220.118.xxx.177)

    이런 글 쓰는 사람은 머리가 멍청한가.....

    모든 자산이 오르는데 왜 다들 부자가 아닐까요?

  • 16. ..
    '25.10.9 8:04 AM (106.101.xxx.201)

    부모가 교육에 관심 많아도 애가 고딩되니 우울증이 생겨 약 먹는 고딩들도 은근 많더라구요.

  • 17. ㅇㅇ
    '25.10.9 8:06 AM (210.126.xxx.111)

    전교조가 내세우는 아동인권 제일주의와 더불어서 민주당의 교육정책에 문제점이 많다고 봐요
    애들이 학력미달인거 알면서도 교사들이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요
    미국의 공립학교처럼 엉망진창의 길로 가고 있는 것 같아요

  • 18.
    '25.10.9 8:14 AM (219.241.xxx.152)

    예전 전교조와 다르죠
    처음 만들때는 의식있는 사람들 모임이였지만
    지금 전교조는 교사들 이익집단으로 변질 되었어요

  • 19. ..
    '25.10.9 8:16 AM (223.39.xxx.2)

    애들이 학력미달인거 알면서도 교사들이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요
    2222222222222
    양극화는 더 심화될 수 밖에...

  • 20. echoyou
    '25.10.9 8:23 AM (119.194.xxx.37)

    의외로 아이들 교육에 무관심한 부모 매우 많아요.
    시골로 가면 아직도 많은 부모가 먹고 살기 바빠서 애를 낳아만 놓고 알아서 크는줄 알아요. 공부는 학교 가서 하는줄 알죠. 시골에 무슨 학원이 있겠나요. 어차피 교육열 있어도 못시키죠.
    이 와중에 시키는 집은 더더 시키죠. 도시 학교에선 교사들이 열의가 없어요. 어차피 다 선행하고 왔는줄 알죠. 도시 빈민층 아이들은 이런 애들 옆에서 소외되요. 학교가서 배울줄 알았는데, 사는집 애들은 사교육으로 배우고, 교사는 안가르치고.
    거기다 애들 경쟁 내몰린다고 초1때 하던 받아쓰기 못하게 했죠. 초등때 학력평가 못하게 했죠. 한마디로 시험도 안보니 안봐도 시키는집과 그거라도 안보니 아예 안시키는 집과 더 벌어져요.
    중학교 가도 마찬가지죠. 애들 어렵다고 기초학력 미달자 나온다고 자꾸 이것도 빼서 쉽게, 저것도 빼서 쉽게.. 교과서만 고쳐서 쉽게 만들었죠. 중1에 실시하는 자유학기제도 콜라보~
    이게 다 그 결과에요.'33333333333333

  • 21. 답답
    '25.10.9 8:28 AM (58.29.xxx.20)

    쪼가리 정보 모아서 다 안다고 착각하는 애들은 그래도 커서 기초학력미달자는 안돼요. 어떤 방식이든 부모가 잡는 애들은 더 자기 능력을 펼쳐서 더 높게 성취하게는 못되도 미달자로 전락하진 않는다고요.

    위에 댓글썼는데 이어서,
    왜 중고등학교에서 학습포기자가 많냐..
    이걸 정치인들이 교과서가 어려워서 그런다고 이것 빼고 저것 빼서 쉽게 만들자고 했고, 그래서 많이 쉬워졌습니다.
    하지만 정작 수능은 안그래요. 교과서에서 안배운게 수능엔 나와요.
    많은 애들이 어차피 학교에선 배우는게 없다고 학원 다니고요,
    이걸 또 일부 정치하는 인간들이(윤석렬포함) 시험쉽게 내라고, 수능에서 배운것만 내라고 하는데,
    그렇게하면 변별이 안됩니다.
    왜냐면 시키는 집은 또 많이 시켜서 최상층이 두텁기 때문에.
    지금 킬러 없아진 수학 보면 알잖아요. 킬러 없어도 변별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최상위 그룹을 보지 못한것.
    문제를 문제답게 못내고 이상하게 꼬아서 내서 변별을 억지로 시키는(아는것을 물어보고 그것을 맞추는게 아니라 실수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가서 틀리게 하는) 방향으로 가게 했고, 덧붙여 의대지원자 그룹에선 수학으로 변별을 못해서 다른 과목 문제 꼬아서 변별하느식으로 바뀐것임.
    암튼, 그래서 사교육 환경이 나쁜 지방 학생들과 저소득층에서 수능 준비가 어려운거죠. 그리고 이런 이유로 또 많은 애들이 초장에 포기한답니다.

  • 22. ..
    '25.10.9 8:30 AM (1.235.xxx.154)

    아무리 공부시켜도 하위10프로는 항상 있고
    그 정도 어느정도냐는 시대에 따라 다른거죠

  • 23. ...
    '25.10.9 8:40 AM (110.70.xxx.46)

    학교 초등 교생실습 나가보면
    구구단 배우는 시간에 절반 이상은 다 알고 딴 짓 한대요.
    모르는 반 미만을 방해한다고
    그러니 조용히 시키고 집중시키다 보면 다 끝난다고
    학교 개판임.

  • 24. 저는
    '25.10.9 9:25 AM (218.50.xxx.82)

    저는 목동에서 아이 중학교보냅니다. 학군지고요.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각 학교 교육평가 공개 어플 들어가보니
    제아이학교는 수,과학 같은 주요과목에 d.e가 10프로밖에 안됩니다.
    20분거리 신정동,신월동에있는 중학교꺼 들어가보니 수,과학에 e가 50프로나되더라구요. 충격먹었어요.
    거리상 먼 동네도아닌데 비학군지라그런가 d.e가 과반수가 넘다니 게다가 내신시험 난이도도 낮았을텐데요..

  • 25.
    '25.10.9 9:38 AM (106.101.xxx.136)

    다문화+외국인 증가도 한몫하고요
    솔직히 애들 학력은 되려 떨어지는 느낌이에요 어려서 영어에 쏟는 시간이 너무 많고 애들 수행이니 핸드폰이니 막상 학원만 다니지 깊은 학습은 잘 안돼요
    특히 내신체제가 사람을 참 단기 성과에 집착하게 만들어서 더 그렇게들 배우고 가르칩디다

  • 26. ,,,
    '25.10.9 9:39 AM (180.66.xxx.51)

    의외로 아이들 교육에 무관심한 부모 매우 많아요.
    시골로 가면 아직도 많은 부모가 먹고 살기 바빠서 애를 낳아만 놓고 알아서 크는줄 알아요. 공부는 학교 가서 하는줄 알죠. 시골에 무슨 학원이 있겠나요. 어차피 교육열 있어도 못시키죠.
    이 와중에 시키는 집은 더더 시키죠. 도시 학교에선 교사들이 열의가 없어요. 어차피 다 선행하고 왔는줄 알죠. 도시 빈민층 아이들은 이런 애들 옆에서 소외되요. 학교가서 배울줄 알았는데, 사는집 애들은 사교육으로 배우고, 교사는 안가르치고.
    거기다 애들 경쟁 내몰린다고 초1때 하던 받아쓰기 못하게 했죠. 초등때 학력평가 못하게 했죠. 한마디로 시험도 안보니 안봐도 시키는집과 그거라도 안보니 아예 안시키는 집과 더 벌어져요.
    중학교 가도 마찬가지죠. 애들 어렵다고 기초학력 미달자 나온다고 자꾸 이것도 빼서 쉽게, 저것도 빼서 쉽게.. 교과서만 고쳐서 쉽게 만들었죠. 중1에 실시하는 자유학기제도 콜라보~
    이게 다 그 결과에요.'444444444444444444

  • 27. 지금
    '25.10.9 9:47 AM (117.111.xxx.216)

    고교 학점제가 문제인 게 애들 초등부터 누적된 학습 결손이 많은데 갑자기 걔들을 고등학교에서 해결 보라는 거죠.
    가정 형편 어려워서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취업 하려고 졸업만 기다리는 애들이 있어요. 얘들도 참 입장이 딱한 건데 고교 학점제는 그런 애들 졸업 안 시킨다는 거에요. 얘들은 졸업장 받으려고 학교 오는 애들인데 남겨서 보충지도 받으라고 하면 그게 되나요. 나머지 공부도 어릴 때나 되지 머리 굵은 애들 자존심 상해서 안 나타나죠.
    어떤 사람이 생각한 건지 참 어이 없어요. 출석만 잘해도 졸업은 되는데 성적으로 성과를 보이라니 자퇴생도 많아지고 누구를 위해 하는 건가 몰라요.
    학교에 고교학점제 강사 자리 늘려서 취업 증가 시키려고 하는 수작 아닌가 합니다. 학교에 강사로 들어가면 자기도 하는 일은 정교사랑 똑같으니 임용고사 합격한 정교사랑 똑같이 대우해 달라고 드러눕겠죠. 지금 있는 교사도 줄여 나가야 할 판인데 말이죠.

  • 28. . . .
    '25.10.9 9:48 AM (14.39.xxx.207)

    서울에서 초등학교 수학시간 기초학력강사로 일합니다.
    서울 학군지는 아니지만 못사는 동네도 아닙니다.
    (시골, 지방상황 모름)

    한학년에 10개반 정도되는 학교니 큰 학교죠(30명 넘는 과밀은 아님)


    일단 3학년부터 수포자 생깁니다.
    곱셈구구(구구단)는 아주 기계적으로 잘 외웁니다

    하지만 구구단이 건너뛰기, 덧셈의 반복이라는것을!

    나눗셈은 뺄셈의 반복이라는 개념을 모르는 학생들이 많고

    문해력이 많이 많이 부족합니다.

    서술형 문제는 비가 내립니다. (읽지 않고 멋대로 씀)

    책을 너무너무 안읽어요.
    빨간모자가 누구인지, 흥부가 누구인지 모르는 친구들 많아요.

    부모님 무관심한 가정도 많아요. 맞벌이다보니 학원이나 방과후로 돌려 아이 구멍 놓치고 넘어가는 경우 많아요.

    경계성 아이들도 반에 2-3명 있어요. 경계성이다보니 특수반까지는 못가고 교실에서 점점 뒤쳐져요. 저같은 교실안 협력강사도 있고, 오후에 부진아 강사도 있고, 담임이 진행하는 프로그램도 있고, 교육청지원 프로그램도 있어요.


    기초학습자에 선정되면 정말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솔직히 밑빠진 독에 물붓기에요. 하지만 최선을 다해보는거죠. 더 기초학력이 벌어지지않게요.

    한 담임선생님은 경계성 아이 1명을 전담해서 지원하는것보다 평균치 살짝 못미치는 아이 5명 봐주는게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도 해요. 그친구들은 자신이 실수하는부분만 짚어주면 다음부터 반복실수 안하거든요.

    쉬는시간에 올림피아드문제 풀고, 수업자세도 좋고, 예의도 바르고 뉘집자식이냐가 바로 나오는 친구들도 있고, 고학년이 구구단도 안되고. 나눗셈, 분수, 비율 전혀 안되고 위생도 심각하고 그러다보니 교우관계 어렵고 아이는 방어기제로 공격적으로 변하고 총체적 난국인 아이도 있고요.

    한반에 이런아이들 섞여있다보니 선생님들도 힘들어하고요. 교사에게 강제권이 없다보니 수업시간 돌아다녀도 수업하기 싫어 교실뒤 블럭 가지고 놀아도 제압할 수 없어요.

    솔직히 기초학력 미달인 학생보다 선생님한테 깐죽거리고 교단나와서 춤추고 노래하는 애들이 더 힘들거든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학교도 학교지만 가정교육, 가정에서의 관심이 훨씬 더 중요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2211 식탁 위 길게 내려오는 펜던트등 안불편한가요? .. 09:48:20 8
1762210 고령화가 세계적인 추세다보니 연금이란 제도가 문제네요 ㅇㅇ 09:45:20 73
1762209 장원영은 정말 ㄷㄷ 예쁠려고 태어난 사람이네여 4 09:42:07 266
1762208 엉덩이 덮는 길이 논퀼팅 패딩 어떠세요? 3 주니 09:38:56 150
1762207 애둘 워킹맘 육휴 1년 넘 길까요 2 ㅇㅇ 09:35:28 185
1762206 미국은 무슨 복이 많아서 3 미국 09:33:46 637
1762205 딸은 쓸모가 많아서 좋아 3 ㅎㅎ 09:32:10 547
1762204 제주롯데호텔 12월 초 비수기 21만원대.. 어떄요? ..... 09:31:46 239
1762203 “한국 보유세율, OECD 평균 절반”…보유세 인상 탄력? 4 ... 09:24:25 323
1762202 프랑스 연금 개혁 못 할 것 같네요 2 .. 09:20:40 586
1762201 새벽배송 받은 냉장식품소비기한이 내일까지라면 10 오늘 09:20:16 330
1762200 한글날) 살수록 세종대왕님께 넘 감사해요 6 내사랑한글 09:18:20 297
1762199 명절 몸무게 어떠신가요 6 몸무게 09:12:54 516
1762198 실외기 타고 올라가 성폭행…일본인 남성 구속 9 채널a 08:56:18 1,817
1762197 25년 남편에게 날 뭔가에 비유해봐라고했더니요 5 “”“” 08:54:13 1,210
1762196 돈 욕심을 안내도 형제끼리 멀어지는 군요. 21 . . . .. 08:51:14 2,467
1762195 님들은 속썩이던 남편이 치매 걸리면 어떻게 하실거에요? 11 ㅇㅇ 08:50:21 1,052
1762194 검찰 송치 관련 이수정 입장문.jpg 11 08:47:59 1,242
1762193 오세훈이 온갖 재개발 하면 12 궁금 08:40:44 700
1762192 비치는 레깅스 7 속옷 08:29:41 787
1762191 며느리 모유수유를 보려는 시아버지 25 08:29:23 3,214
1762190 '유튜브', 한글날 24시간 동안 로고 한글로 5 한글날 기념.. 08:27:23 595
1762189 오전에 음식해서 저녁에 먹을경우 2 ... 08:19:41 379
1762188 지미 펠런쇼에서 헌트릭스 골든 라이브 했네요 4 ... 08:14:27 591
1762187 오마카세·한우·스시…검찰, 특경비로 먹었다 1 ㅇㅇ 08:04:34 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