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한 번 오른 집값은 떨어지지 않는다는 말

오리 조회수 : 4,644
작성일 : 2025-09-12 13:37:23

한 번 오른 집값은 떨어지지 않는다는 말 맞는 것 같아요ㅠㅡㅠ 결혼할때 왜 집을 안샀을까요

사실 집 값 떨어지게 할 정부는 없는 것 같아요 서울의 유주택자 어떻게 살아라고 집 값 떨어지게 할까요? 폭락론자 였는데 제가 없어서 그렇게 생각 했던 것 같아요

IP : 116.33.xxx.48
3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25.9.12 1:38 PM (211.251.xxx.129)

    떨어지지 않는 이유가....물가가 오르니까요

    그냥 우리나라뿐만이아니고 전세계적으로 돈을 찍어내잖아요 계속~~계속
    그러면 당연하게 물가가 오르게되고요..
    그거를 연착륙처럼 시키는게 목표인것 뿐이에요 안정화를 시키는거지
    집값이 떨어지면 아마 일본의 잃어버린 뭐 그시대처럼 다같이 망해요

  • 2. 그렇죠
    '25.9.12 1:39 PM (221.138.xxx.92)

    내가 태어나고부터 지금까지는
    잠깐 출렁한 적은 있었어도..없었으니까요.

  • 3. 그냥늠
    '25.9.12 1:40 PM (116.33.xxx.48)

    그냥님 연착륙이 어느정도 연착륙이에요? 그게 가능은 할까요 불가능할것 같아요 국민 생각하면 연착륙해도 큰 일 같는데요

  • 4. 그래서
    '25.9.12 1:40 PM (211.251.xxx.129)

    집이없어도 그래도 나라에서 10년임대주택같이 이런걸 계속 공급하려고하니까
    그나마 살아지는거죠..뭐.

    전그래서 집을 그냥 무조건 하나는 갖구잇어요
    한번 없어본적이 있는데 갑자기 올라버려서 힘들었다는..

  • 5. ..........
    '25.9.12 1:42 PM (106.101.xxx.121)

    떨어지던데요.

  • 6. ...
    '25.9.12 1:42 PM (1.235.xxx.154)

    떨어지기도 해요
    어디냐에 따라 또 다르고

  • 7. 언제 어디가
    '25.9.12 1:45 PM (116.33.xxx.48)

    출렁이긴 해도 다시
    금방 회복 하잖아요 회복 못 한
    집도 있나요?

  • 8. 그냥
    '25.9.12 1:46 PM (211.251.xxx.129) - 삭제된댓글

    그러니까 정부의 목표는 연착륙이에요
    서서히 줄여가듯이, 근데 떨어지면 망하는거니까
    계속 고도를 유지하며 날게하는게 아마 정부의 목표일겁니다

    그냥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보수쪽은 그거를 계속 유지시키는게 목표고요 -얘네가 국민의힘
    중도쪽은 그 밑에있는 친구들도 좀 올라오게 해주려는거에요 - 얘네는 더불어민주당
    그리고그 진보는 위에있는거 좀 내리고 아래있는애도 좀 올리자~ 이런거임요 얘네는 정의당


    ebs 자본주의 책이 재밋게 잘나와있구요(영상도 있구요)
    채사장의 지대넓얕1권을 한번 보시면 좋아요( 만화도있어요)

  • 9.
    '25.9.12 1:47 PM (211.251.xxx.129)

    서서히 줄여가듯이, 근데 떨어지면 망하는거니까
    계속 고도를 유지하며 날게하는게 아마 정부의 목표일겁니다

    그냥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보수쪽은 그거를 계속 유지시키는게 목표고요 -얘네가 국민의힘
    중도쪽은 그 밑에있는 친구들도 좀 올라오게 해주려는거에요 - 얘네는 더불어민주당
    그리고그 진보는 위에있는거 좀 내리고 아래있는애도 좀 올리자~ 이런거임요 얘네는 정의당

    ebs 자본주의 책이 재밋게 잘나와있구요(영상도 있구요)
    채사장의 지대넓얕1권을 한번 보시면 좋아요( 만화도있어요)

  • 10. ...
    '25.9.12 1:50 PM (211.109.xxx.240) - 삭제된댓글

    지금이 부동산 성수기에요 규제 들어갈거에요 문재인 정권 때 전고점 서울은 거의 회복했고 두배가까이도 올랐죠 입지좋은 곳만요
    비수기에 한채 사세요
    아무리 모아도 집값을 못 따라가네요 자식어리지만 이번에 한채 사줄거에요

  • 11.
    '25.9.12 1:50 PM (116.33.xxx.48)

    책 잘 찾아볼게요 감사해요

  • 12. ..
    '25.9.12 1:50 PM (14.35.xxx.184) - 삭제된댓글

    어떤 정부든 여든 야든 집값이 물가 상승분 만큼 점진 우상향해서 세금 안정되게 걷고 은행 담보 대출 부실나지 않고 건설 경기가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서 부동산 침체를 바라지 않아요. 지나친 폭등은 민심 나락으로 선거에 불리하니 이를 경계할 뿐이죠.

    만약 반대로 집값이 폭락하면 일단 정부 예산에 직격탄인 세금 적게 걷히고 은행 파산하고 건설회사 줄도산에 경제 나락각일텐데 누가 바랄까요.

    이것이 바로 여기 82에서 바라는 부동산 폭락이 불가능한 이유기도 하죠.

  • 13.
    '25.9.12 1:55 PM (211.251.xxx.129) - 삭제된댓글

    개인적으로..저는 지방살고요^^ 지방도 사람살아요 서울기준말고 지방기준으로 설명을 해보자면

    저는 결혼 10년좀 넘었고 10년정도 생각을 해보니까
    MB때 미분양주택 양도세면제인가? 그헤택을 받고 집을 사서 결혼햇어요
    그떄 평당 700했는데 비싸다고 난리였어요
    이지역에 평당 500이 말이되냐~ 시기는 제가 스무살 대학생때 거쳤고요
    그러다가 결혼해서좀 살때가 평당 1000되네마네 하던시기
    그리고 그 후 10년지나니 지금은 평당 1500정도로 올라있어요

    이지역 비싼 아파트가 10억도가요^^;;
    대부분5년이내 신축이 1500정도 합니다 한34평이 4.5~6억 형성

    여튼 각 정권마다 지나온 시기들이 있는데 결국은 집값이 올라가긴 올라가더라구요

    그리고 내가 완전 부자는 아닌거같은데 그래도 좋은집에서 차2대굴리면서 살잖아요
    그럼 중산층에 속해지더라구요 이제 뭐혜택은 없다 봐야죠

    그렇게되면 위에말한 그 나는 별로부자인거같지않은데 혜택도없고 이거 내돈깎아서 밑에 있는 사람 주는거같은 시기가 옵니다^^;;;;
    근데 객관적으론 나는 잘사는 사람이에요 저는 대한민국 중간값도안되는거같은데 지표는 중갑값의 이상인거죠^^:;;

    그 딜레마가 이시기에 와요 여기서 조금씩 갈리겟죠

    결국은 자가주택 보유해서 10년쯤 쭉 살다가 점핑점핑하면서 옮겨 가는게 가장 중간이상은 가더군요

  • 14. 답답
    '25.9.12 1:56 PM (115.138.xxx.1)

    폭락은 안올거에요 그치만 누가 아나요?대외충격으로 단기폭락이 오면 과도한 레버리지(빚)으로 투기한건 위험해져요 자기 자본비율 소득수준 등 요인에따라 다른거고
    무엇보다 투자는 수익률이 중요합니다!
    부동산 몰빵이 타이밍 잘못만나면...?

  • 15. 떨어져요
    '25.9.12 1:57 PM (175.208.xxx.164)

    살면서 몇번 하락장 경험 했어요. 결론은 지금 많이 오르긴 했지만..2016 최고 찍고 8년 하락장..하우스푸어니 대출받아 구입한집 하락으로 자살이니 하던 때가 있었어요. 15억하던 압구정 32평이 10억으로 떨어졌어요. 8년 견뎌내기 힘들었을거에요.

  • 16. 그냥
    '25.9.12 1:57 PM (211.251.xxx.129)

    개인적으로..저는 지방살고요^^ 지방도 사람살아요 서울기준말고 지방기준으로 설명을 해보자면

    저는 결혼 10년좀 넘었고 10년정도 생각을 해보니까
    MB때 미분양주택 양도세면제인가? 그헤택을 받고 집을 사서 결혼햇어요
    그떄 평당 700했는데 비싸다고 난리였어요
    이지역에 평당 500이 말이되냐~ 시기는 제가 스무살 대학생때 거쳤고요
    그러다가 결혼해서좀 살때가 평당 1000되네마네 하던시기
    그리고 그 후 10년지나니 지금은 평당 1500정도로 올라있어요

    이지역 비싼 아파트가 10억도가요^^;;
    대부분5년이내 신축이 1500정도 합니다 한34평이 4.5~6억 형성

    여튼 각 정권마다 지나온 시기들이 있는데 결국은 집값이 올라가긴 올라가더라구요

    그리고 내가 완전 부자는 아닌거같은데 그래도 좋은집에서 차2대굴리면서 살잖아요
    그럼 중산층에 속해지더라구요 이제 뭐혜택은 없다 봐야죠

    그렇게되면 위에말한 그 나는 별로부자인거같지않은데 혜택도없고 이거 내돈깎아서 밑에 있는 사람 주는거같은 시기가 옵니다^^;;;;
    근데 객관적으론 나는 잘사는 사람이에요 저는 대한민국 중간값도안되는거같은데 지표는 중갑값의 이상인거죠^^:

    그 딜레마가 이시기에 와요 여기서 조금씩 갈리겟죠

    결국은 자가주택 보유해서 10년쯤 쭉 살다가 점핑점핑하면서 옮겨 가는게 가장 중간이상은 가더군요
    그냥 이건 제개인적인 경험입니다.

    저도중간에 남편이랑 상의후 집도 팔아보고 2주택도 보유해보고 헀는데
    망햇던시기가 집판시기엿어요 ^^:; 집팔고 타지역 전세살다가 돌아오니 전에 살던 데만큼의 컨디션의 집을 살수가 없더라구요^^;;;ㅎㅎㅎ

  • 17. 지금
    '25.9.12 1:57 PM (211.177.xxx.9)

    오르니까 그 생각하지 imf. 그리고 금융위기때 부동산 안팔려서 망한집 많음

  • 18. 175.208님
    '25.9.12 2:00 PM (39.124.xxx.23) - 삭제된댓글

    2016년 최고 찍고 8년 하락장이었던 나라는 어디인가요?
    한국 얘기는 아닌 것 같은데...

  • 19. 흠....
    '25.9.12 2:02 PM (223.38.xxx.35) - 삭제된댓글

    중국도 8년이나 하락하진 않았을텐데...

  • 20. 그냥
    '25.9.12 2:02 PM (211.251.xxx.129)

    그러니까 IMF 나 금융위기때처럼 나라의 그런 위기상황을 개인이 어떻게 대처하죠
    그걸두고 다같이 망하는 거라고 하는거에요

    그러니까 적당한 대출과 적당한 집 내가 열심히한 노동의 가치 이런걸 중시하며 살아야하더라구요.. 그냥 내가 감당할수 있는 만큼만 해야하는거죠

  • 21. 참새엄마
    '25.9.12 2:08 PM (121.166.xxx.26)

    조정은 있을거고 노후되면 떨어지는 곳도 있겠지만 서울 은 폭락 안올거 같아요. 정부 세수 확보 때문이라도
    세금 어디서 충당하겠어요.
    크게 떨어져도 10프로 내외

  • 22. ...........
    '25.9.12 2:11 PM (183.97.xxx.26)

    떨어졌었어요. 다들 기억을 못하시네요 한때 집값떨어져서 깡통집이란 말도 있었는데. 청담동 엘리스 보면 박근혜때였던 것 같은데 대출받아 산 집 떨어져서 손해보고 파는 내용 나오는데요. 그리고 제 기억에 2007년인가에 집값 엄청 떨어졌었어요. 지금 이 난리는 문재인과 김현미 작품이죠. 석고대죄해야할 부분이죠.

  • 23. 그니까
    '25.9.12 2:14 PM (118.129.xxx.222)

    떨어지긴하는데
    그게 결과적으로
    우상향한다고요........
    어떻게주식이 맨날오릅니까....

  • 24. ..
    '25.9.12 2:14 PM (211.117.xxx.149)

    돈 가치가 떨어지니까요. 웬만하면 안 떨어져요. 금융위기 같은 그런 큰 사건이 생기지 않는한. 냉면값도 그렇게 오르는데 집값이라고 안 오를까요.

  • 25. ...
    '25.9.12 2:16 PM (125.132.xxx.245)

    이제는 부동산을 하나로 보면 안되고
    지역에 따라 다른 상품이라고 생각해야 돼요.
    경제의 기본 원리는 무조건 수요와 공급

    예전에는 정보의 비대칭이 심했는데
    이제는 인터넷 때문에 내가 알고 있는 것은 전 국민이 알게 되었지요.

  • 26. ..
    '25.9.12 2:17 PM (148.252.xxx.18)

    떨어지지 왜 안떨어져요. Imf, 이명박, 박그네때 떨어졌죠. 그리고 윤때도 초반에 많이 떨어졌죠. 문제는 민주당정권잡으면 부동신 뽐뿌하고 돈풀어대서 계속 버블로 폭등시키니 당할 재간어없죠. 이번 정부도 전세대출 예전같이 축소, 폐지하면 집값정상화되요. 근데 본인들 부동산부자라 절대 안하죠. 국민들도 딴지안걸고 지지자들은 열화와같이 쉴드치고 찬양해주고

  • 27. 148.252 윗님
    '25.9.12 2:23 PM (118.235.xxx.142)

    혹시 유주택자시면 본인의 집을 얼마에 구매해서 지금 얼마인가요?
    집 값이 떨어진 상태인가요?
    집을 구매하는 타이밍이 하락기인가 상승기인가 개인적인 문제이지 90년대 2000년 2010년 2020년 비교해보세요
    10년전보다 떨어졌나요?
    20년전보다 떨어졌나요?
    안 떨어진다구요
    출렁일때는 있지만, 그 시기를 잡는건 개인의 문제입니다
    하락기에는 내 집도 하락하고 안 팔려서 못 옮겨 가는거예요
    그러니 대다수가 상승기에 내 집도 팔고 다른 집도 사면서 옮겨가는거예요
    달을 안보고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는 사람들.

  • 28. ..
    '25.9.12 2:34 PM (223.39.xxx.17)

    지금은 더군다나 온통 복지를 외치잖아요

    부동산 폭락해서 지방에 지원금 끊기면 안됩니다

  • 29.
    '25.9.12 2:37 PM (220.118.xxx.65)

    하락장이 왜 없어요?
    2006년 고점 찍고 시들하고 2008년 리먼 사태 와서 전세는 폭등하고 집값은 내렸어요.
    2010년 ~ 2015년 하락장이었어요.
    이때 제가 첫 번째 집 사고 4년 살다 두 번째 집 샀는데 집 사고 팔 때 다들 왜 움직이냐고 했어요.
    첫 번째 매도자는 주식하다가 날린 사람인데 가격 네고를 무려 3개월 했는데 아무도 사겠단 사람이 없어서 제가 원하던 가격에 샀어요.
    2014년이 아마 완전 하방 찍었던 해에요.
    반포 자이 반포 래미안 국평 10억 갖고 덤빌 수 있었는데 2015년 초부터 서서히 강남은 반등했어요.
    이외 목동 용산 잠실 꿈틀대다가 2016년부터 거래량 확 늘었지요.

  • 30. 에효
    '25.9.12 2:53 PM (118.235.xxx.142)

    답답허다 숲은 못보고 나무만

  • 31. ....
    '25.9.12 3:15 PM (223.38.xxx.145) - 삭제된댓글

    서울만 불장이지
    지방은 떨어지지 않았나요?

  • 32. ..
    '25.9.12 3:21 PM (58.233.xxx.20)

    24평 6억 하던거 9억갔다가 다시6억
    서울 끝자락...
    올랐다 떨어지는곳도 있어요

  • 33. **
    '25.9.12 3:34 PM (211.109.xxx.32)

    맹박이때 폭락했쟎아요. 떨어질땐 억단위로 떨어져요..

  • 34. 제가
    '25.9.12 3:59 PM (116.33.xxx.48)

    2016년 이후에 결혼을 했어요;; 2017년.. 하락장 있는지도 몰랐어요

  • 35. 이번에 안내려서
    '25.9.12 3:59 PM (115.90.xxx.90)

    문정권이후 오른게 안내려서 글치.. 그전에는 늘 오르락내리락 폭등후 제자리 폭등후 제자리 장기적으론 물가오르니 우상향이었지만요.
    imf때도 글코,, 2007년 노통때 폭등했다 싹 다 내려서 박근혜때 바닥찍었었죠.
    문통때 오른게 아직 안내리는건 코로나다 뭐다 돈을 너무 많이 찍어내서..일듯요.
    언제까지 오르기만 하지는 않을거에요.

  • 36. 코로나
    '25.9.12 4:27 PM (121.172.xxx.106)

    전까지는 부동산 싸이클을 7-10년이라고 했었어요. 부동산은 상투잡으면 정말 피말려요. 금액이 커서

  • 37. ㅇㅇ
    '25.9.12 4:47 PM (211.234.xxx.231)

    맹박이때 폭락하니 박근혜때 부동산활성화 대책으로 규제많이 풀었쟎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2806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실, 클라우드 플랫폼 4 ../.. 2025/09/12 556
1752805 자식을 내보내라고 하는데... 25 ..,,.... 2025/09/12 6,031
1752804 오*사 이사 해보신분 계신가요 3 ㅇㅇ 2025/09/12 554
1752803 줄넘기 여러가지 동작으로 배우고 싶어요 (성인). 방법이 있을까.. 5 문의하니 성.. 2025/09/12 518
1752802 이명박 박근혜때는 집값 떨어졌어요 36 2025/09/12 2,474
1752801 쉰다는게 어려운분 있으세요? 11 2025/09/12 1,883
1752800 조선과 문화일보의 허위 기사에 싸워 승소한 정청래 6 2025/09/12 937
1752799 신혼가전을 인터넷 이나 쿠팡에서 사면 6 2025/09/12 1,264
1752798 토익 700에서 930까지 한 달에는 안 되죠? 18 야야투레 2025/09/12 2,293
1752797 t인 동생하고 하는 말 4 2025/09/12 1,587
1752796 강아지 배변훈련 넘 힘들어요.ㅜㅜ 16 .. 2025/09/12 1,229
1752795 코코넛밀크 드셔 보신 분들 5 코코넛 2025/09/12 883
1752794 수면무호흡인 남편을 두신 분들 어떻게 치료하시나요? 8 걱정 2025/09/12 910
1752793 서울역과 용산역 여성복쇼핑 어디로 갈까요 4 부탁드려요 2025/09/12 755
1752792 가지볶음 어렵네요 14 무념무상 2025/09/12 2,906
1752791 50세에 괜찮은 공부가 뭘까요? 25 ... 2025/09/12 5,062
1752790 파출소 6명 있었지만 故 이재석 경사 혼자 출동…"'2.. 6 ㅇㅇ 2025/09/12 2,784
1752789 성심당 오지마 오지마요 53 대전사람 2025/09/12 23,524
1752788 여권 재발급, 탑승당일 카운터에서 바꿔도 되나요? 1 2025/09/12 846
1752787 지방자치제이후로 4 ..... 2025/09/12 519
1752786 시댁은 시골이고 우리만 서울 사는데요 15 2025/09/12 4,672
1752785 삼성전자 5 고민 2025/09/12 2,250
1752784 전국법원장회의 개회…'사법개혁' 판사들 의견 수렴 4 …. 2025/09/12 915
1752783 노현정도 결국 성형전 얼굴 돌아온거네요. 31 2025/09/12 28,715
1752782 남자들 사람 지나갈때 침뱉는거 22 하.. 2025/09/12 2,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