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 형제 없는분들
부모님가시면 혼자잖아요?
사망후 구청에서 무연고자로 화장할것같은데
장례에 대해 생각해보셨나요?
내가 죽으면 어디서 화장을 하든 상관은 없는데
구청보단 병원에 시신기증하고
병원에서 단체화장하는게 더 낫지않나
이런 생각이 드네요
자식, 형제 없는분들
부모님가시면 혼자잖아요?
사망후 구청에서 무연고자로 화장할것같은데
장례에 대해 생각해보셨나요?
내가 죽으면 어디서 화장을 하든 상관은 없는데
구청보단 병원에 시신기증하고
병원에서 단체화장하는게 더 낫지않나
이런 생각이 드네요
있으니 독거사망도 있을거라 이걸 준비하는 독거장례가 따로 생기지 않겠나요
독거장례에 가입해 사망하면 장례업체가 화장하고 뼈를 구덩이에 뿌리든 독거계약자가 지정한 곳에 뿌려주거나 하는 절차를 만들었으면 좋겠네요
용으로 쓰고 화장하는걸로 아는데 독거사망도 씁쓸한데 거다 시신해부까지하면 어후 시팍 안타깝자나요
그러니 장례업체가 독거장례 파트를 따로 신설해야한다고 봐요 지금도 시행하는지 모르겠으나 1인가구가 느는 현실에 장례업체가 바로 응대를 해야죠
독거사망에 고인에게 기본 예를 갖춰 깔끔하게 화장으로 보내주는 서비스 있어야죠
실험, 해부, 동물들 먹이라도 상관없어요
부패된채로 발견되서 누군가 끔찍한 경험하지 않기를 바랄뿐
나눔과 나눔이라고
무연고자 장례 지원해주는 단체가 있는데
아직은 서울시 한정이에요.
사정이 너무 어렵거나 정말 장례 치뤄줄 사람 없는 분들
도와주는데 원글님이 찾는 곳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앞으로 이런 비슷한 곳들이 더 생겨나지 않을까 싶네요.
http://goodnanum.or.kr/?page_id=33
나눔과 나눔이라고
무연고자 장례 지원해주는 단체가 있어요.
원글님이 찾는 곳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앞으로 이런 곳들이 더 생겨나지 않을까 싶네요.
http://goodnanum.or.kr/?page_id=33
서울시에는 시에서 지원하는 공영장례가 있고
다른 지자체들에도 비슷한 정책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병원에 기증하면 써먹을 땐 잘 써먹지만 그 뒤로 어찌될지 모릅니다.
장기기증한 사람 장기떼가고 나서 시신 어떻게 처리했었나 과거 뉴스 검색해보세요
병원에 기증하면 써먹을 땐 잘 써먹지만 그 뒤로 어찌될지 모릅니다.
장기기증한 사람 장기떼가고 나서 시신 어떻게 처리하고 어떻게 대접했나 과거 뉴스 한번 검색해보세요.
요즘은 달라졌다는 사람도 있겠죠? 그런 사람들이 피싱 잘당하죠.
2022년 기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71513430742177
장기기증 유관기관들은 2017년 문제제기 후 유족 지원이 개선됐다고 한다.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은 기증원과 협약을 맺지 않은 병원도 기증자와 유족이 지원받을 수 있도록 지침을 바꿨다.
...현재 장기기증 유족은 △시신 이송 △경제·법률 상담 △장례식장, 관공서에 사회복지사 동행 △조화, 슬픔극복 도서, 기증자 앨범 등 예우 물품 제공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위기상황 대비 네트워크 연결 등 지원을 받을 수 있다.
2018년 4월부터는 장기기증을 한 후 다른 장례식장으로 시신을 옮길 때도 이송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 광주, 천안, 아산 지역은 시신을 이송할 때 동승자도 지원한다. 지난해 234가족이 이송 서비스를 이용했다. 만족도는 100점 만점 중 평균 88.2점을 줬다.
아울러 장례비와 제사비, 기증 전 진료비도 최대 540만원까지 지원한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지자체)는 공설 화장장과 봉안당 비용을 감면하기나 면제하기도 한다.
이런게 해 놓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