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사는데요, 여긴 지금 AI 때문에 회사에서 엄청 해고 하고 있어요. AI가 신입직 일을 다 하기 때무에 일단 신입들이 많이 필요가 없고요. 미국젊은 애들, 대학 졸업자들은 일자리가 없다고 다들 그래요. 경력직은 일 확 줄이고, 해고하거나, 회사 실적 도움 안되는 부서는 가차없이 다 짜르고요. 핵심 부서고 나발이고 일단 많이 짜릅니다. 2030년 정도 되면 실업이 어마할거예요. 아. 정말 살기 싫네요. 앞으로가 더 걱정이고요. 매일 회사에서 살아남을 걱정, 어떻게 하면 안짤릴까 하는걱정 하는데 이게 사는건가 싶어요. 그냥 죽고싶네요. 돈 나올 구멍을 막아버리면 저축한돈 쓴다해도 앞으로 8-90살까지 살아야 하는데 어떻게살아야 하나요.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국은 AI 때문에 해고가 엄청나요.
1. 마이크로소프트
'25.8.4 1:44 AM (121.173.xxx.84)올해만 1만5천명 해고했대요
2. 동감해요
'25.8.4 1:45 AM (72.219.xxx.251)딸이 공영방송에서 일하는데 예산삭감으로 동료들 짤리고
일은 산더미라 일에 쩔어 살면서도 이직까지 알아보고 있어요.
미국은 너무 뒤떨어져 느릇느릇 흘러가는데 점점 중산층이 없어져 가네요.3. 김
'25.8.4 1:45 AM (61.105.xxx.6)저도 이 얘기들었어요. 컴공 탑인 MIT, 스탠포드 졸업생도 작년부터 ai때문에 취직이안된다고요. 무서운 얘기네요ㅜㅜ
4. ...
'25.8.4 1:50 AM (118.235.xxx.102)제가 일하는 분아가 ai를 도입했는데 그게 몇년 전이고 사실 100명 중 한 명은 일이 늘고 수입도 늘었어요 왜냐하면 혼자 50명분을 ai랑 같이 처리할 수 있게 되었거든요
5. ㅇㅇ
'25.8.4 1:57 AM (112.152.xxx.44)메타도 3600명 해고했다면서요
우리나라도 사정 비슷해요
엔씨소프트도 3천명 내보냈어요
AI 때문에 내년은 올해보다 취직이 더 어려울거라고 합니다. 내후년은 더더 어렵겠고요 ㅠㅠ
뭘 해 먹고살아야할지 ㅠㅠ6. ......
'25.8.4 2:03 AM (118.235.xxx.2)몇주전 기사보니 구글도 아마존도 그렇다합니다
7. Oo
'25.8.4 2:17 AM (68.33.xxx.137)IT 아닌 우리 회사도 이런데 다른덴 더 영향이 클거예요
8. ....
'25.8.4 2:28 AM (24.66.xxx.35)ai때문에 실업이 되고 그게 사회문제가 되면
기본소득 말이 본격적으로 나올겁니다.9. bb
'25.8.4 2:29 AM (58.239.xxx.33)그럼 자라나는 아이, 청년들은 어떤 직업을 가져야 하나요?
중학생 아이 말로는 농업이 유망직업이라고
웃으면서 농부될거라는데..
어렵네요10. 우리나라도
'25.8.4 2:32 AM (211.48.xxx.45)우리나라도 곧이죠.
11. ㅇㅇ
'25.8.4 2:33 AM (112.152.xxx.44)ai때문에 실업이 되고 그게 사회문제가 되면
기본소득 말이 본격적으로 나올겁니다.
——->>>>
기본소득을 다른나라보다 먼저 도입해야 국가간 경쟁에서 앞서나갈수있어요12. 미국에서
'25.8.4 2:36 AM (216.147.xxx.54)미국에서 20년 넘게 IT/Tech 쪽에서 일하고 있어요. 2002년 이라크 사태, 2008년 금융위기 대량 해고 있었지만 무엇보다 2010년 초중반부터 들이닥친 Offshore resource 로 비용절감하겠다고 해고했던 거와 Cloud technology로 또 비용 줄이겠다고 했던 그 많던 노력들 일어날때마다
해고 다시 고용 해고 다시 고용 반복했죠. 결국은 AI 정도로 대체되는 그 정도의 능력만 보유했다면 지금 해고되는 게 맞고요
AI 도 뭐 명령어를 알아야 잘토해내는거, 아직은 거짓말도 많이 하고 능력부족이죠. 암튼, 감소 및 해고세는 당연히 앞으로도 일어날 일이지만 그 안에서도 살아남고 안되는게 있다
근데, 원글 미국에 사는 사람 맞아요? 엔지니어세요?
엔지니어 아닌 사람들이 질투에 쩔다가 요즘 갑자기 난리치는 경우도 많아서.13. 흠
'25.8.4 2:41 AM (70.55.xxx.44)우리나라에선 유흥업계도 앞으로 AI 로봇으로 교체될거라는 소문이 있는데 그나마 이런건 앞으로 몇십년은 지나야 가능하겠죠 ?..
14. ㅇㅇ
'25.8.4 2:45 AM (68.172.xxx.55) - 삭제된댓글농부가 유망 직업이라는 말은 2000년 초부터 나왔던 얘기고 그때도 사람들이 웃었어요
근데 우리 오빠가 컴퓨터 관련 전공하고 케이티 기술직으로 일하다가 지금 농사지어요
새언니가 조경족 박사를 하고 농사 기술 교육쪽 일하다보니 접근이 열려있긴 했는데 권고퇴직으로 썰려나가는 동료들보며 스트레스 받다 전격적으로 자원 퇴직하고 농사일에 뛰어든지 10년 되었는데 이젠 제법 수입이 안정적이고 회사 압박이 없어지니 고혈압이 덤으로 없어졌네요15. ㅇㅇ
'25.8.4 2:47 AM (68.172.xxx.55)농부가 유망 직업이라는 말은 2000년 초부터 나왔던 얘기고 그때도 사람들이 웃었어요
근데 우리 오빠가 컴퓨터 관련 전공하고 케이티 기술직으로 일하다가 지금 농사지어요
새언니가 조경 분야박사를 하고 농사 기술 교육쪽 일하다보니 접근이 열려있긴 했었는데 권고퇴직으로 썰려나가는 동료들보며 스트레스 받다 전격적으로 자원 퇴직하고 농부로 이직, 이제 10년 넘었는데 제법 수입이 안정적이고 회사 압박이 없어지니 고혈압이 덤으로 없어졌어요16. 음
'25.8.4 2:56 AM (118.235.xxx.20)유흥은 아닐거예요
유흥이라는게 단순히 성적 만족이나 술 마시고 노래 부르고 이런 것만을 위한게 아니고
룸싸롱 같은 데는 약간 사람한테 스트레스 많이 받는 사람들이 돈 주고 사람을 산다, 무시하고 쥐락펴락 하는 걸 느끼기 위해 가는 측면도 있는 것 같아요...17. 음
'25.8.4 2:59 AM (118.235.xxx.20)근데 ai를 더 여러 분야에 먼저 도입하자는 것도 아니고 기본 소득을 도입하는 거랑 국가 경쟁력이랑 상관이 있나요 오히려 마이너스일거 같은데....
18. ㅇㅇ
'25.8.4 3:05 AM (121.173.xxx.84)그죠 기본소득은 다른나라 하는거 보고 나중에 따라가야죠. 위험한걸 우리가 먼저 테스트 할 순 없어요.
19. 아
'25.8.4 3:22 AM (72.158.xxx.18)회사에서 30년 일한 동료 인맥 빵빵하고 탑 능력자 짜르는거 보고 충격먹었어요. 평가 잘 받아야해서 하루 12-14시간 일하면서 또 능력 키울려고 다른공부 하고 평생 이렇게 살았어요. 50되면 좀 편할줄 알았는데 이렇게 또 변할지 누가 알았나요. 미래는 두렵고 가족도 없고 그냥 여기서 다 때려치고 죽어버리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