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니, 설겆이가 표준어였던 적이 없었대요

ㅇㅇ 조회수 : 3,766
작성일 : 2025-08-02 03:06:15

옛날엔 '설겆이'라고 쓰다가 '설거지'로 바뀐걸로 다들 알고 계시지 않나요?

근데 국립국어원 설명 보니 애초에 설겆이가 표준어였던 적이 없었다네요.

설겆이 설거지가 계속 같이 쓰였고 1988년에 설거지가 더 널리 쓰이므로 표준어로 된거 라네요.

설겆이는 고어로 처리.

 

근데 저 어렸을때 기억으로는 다들 설겆이라고 썼지 '설거지'는 신문에서도 못 본거 같아서요.

 

 

IP : 121.173.xxx.84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고시규정
    '25.8.2 3:50 AM (140.248.xxx.4)

    표준어 규정은 1988년 1월 19일에 문교부 고시 제88-2호로 고시되었습니다. 이 규정은 1989년 3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ㅡㅡㅡ
    1988년 이전에는 '설겆이'가 표준 표기였으나 지금은 '설거지'가 옳은 표기다. 원래는 '설겆다'라는 동사에서 나왔으므로 어원을 밝혀 쓰면 '설겆이'가 맞다. 그러나 '설겆다'라는 동사는 현대 한국어에서 퇴출되어 사어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어원이 불분명한 단어로 취급하여 원형을 밝혀 쓰지 않고 발음대로 '설거지'로 쓴다. '설겆이'의 으뜸꼴인 '설겆다'도 '설거지하다'로 쓴다.


    즉 1988년 표준어 고시 전은 설겆이로 썼어요. 그때는 연음을 풀어쓰지 않았어요. 저렇게 사이연음을 자연스럽게 쓰는게 표준어고시때 바뀐 것들이 많아요

    https://law.go.kr/LSW/admRulInfoP.do?admRulSeq=2000000001929

    20항에 보시면 설겆다가 설거지하다고 바뀐다고 쓰여있습니다

  • 2. 기사
    '25.8.2 3:55 AM (58.127.xxx.169)

    https://v.daum.net/v/20240912000252319

    지금 홈페이지에는 그런식으로 되어있는데 오류지요.

  • 3. 근데
    '25.8.2 4:00 AM (121.173.xxx.84)

    국립국어원 올해의 답변을 보면 이래요
    표준어였던 적이 없다고.


    2025. 3. 28.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61&qna_seq=31...

  • 4. 2023년에도
    '25.8.2 4:02 AM (121.173.xxx.84)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제가 어릴 때 며칠과 설거지를 몇일과 설겆지로 배웠던 기억이 나서 국립국어원에서 질문을 검색했습니다 그런데 설겆이에서 설거지로 바뀌었다는 질문을 하신 분이 있으셨는데 국립국어원에서 설겆이는 표준어에서 바뀐 적이 없다고 하는데 1989년 개정 된 표준어인가에서 바꼈다고 하는데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설겆이에서 설거지로 변경 된 적이 없나요??


    ---
    답변일 2023. 9. 7.

    안녕하십니까?
    표준어가 '설겆이'에서 '설거지'로 바뀐 적은 없습니다. 다만 표준어 규정이 고시되기 전에 두 가지 형태가 혼용되어 쓰였을 수 있는데 표준어를 '설거지'의 형태로 삼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 5. 홍조
    '25.8.2 5:03 AM (124.80.xxx.137)

    저 88년 맞춤법 대거 바뀐거 똑똑히 기억나는데요
    설겆이 를 이제 설거지라고 써야한다면서
    그때 읍니다도 사라지고 습니다 된거랑요
    원글님이랑 기억 똑같은데 국어원 답변한 사람이 어려서 자료만 보고 답변하다 오류 빚은거 아닐까싶네요
    88년 이전엔 설겆이 라고만 썼어요!

  • 6. 이렇게알려주네요
    '25.8.2 5:15 AM (106.101.xxx.37) - 삭제된댓글

    ‘설겆이’는 원래 널리 쓰이던 말이었지만, 1988년 표준어 규정 개정에서 ‘설거지’로 표준어가 확정되었고, 그 이후에도 ‘설겆이’는 표준어로 지정된 적이 없습니다.


    ---

    구체적인 배경 설명:

    1. 과거의 실제 사용:

    옛날에는 ‘설겆이’(또는 ‘설걷이’)라는 표현이 널리 쓰였고 국어사적으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설겆이’는 ‘설거지’보다 발음상 자연스러운 형태로 지역 방언이나 구어체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습니다.


    2. 1988년 표준어 규정 개정:

    1988년, 국립국어원(당시 국어연구소)은 「표준어 규정」을 새로 정비하면서 약 39개의 비표준어를 새 표준어로 인정했습니다.

    이때 ‘설겆이’와 ‘설거지’ 중에서 ‘설거지’만 표준어로 채택되었습니다.

    즉, ‘설겆이’는 한 번도 표준어였던 적은 없으며, 당시 개정에서 ‘설거지’가 표준어로 확정된 것입니다.


    3. 국립국어원의 현재 입장:

    국립국어원은 현재도 ‘설거지’만 표준어라고 명시하고 있고,

    ‘설겆이’는 **비표준어(사투리나 옛말로 볼 수 있음)**로 분류됩니다.


    요약 정리:

    항목 내용

    ‘설겆이’ 오랫동안 구어체로 쓰였으나 표준어로 지정된 적 없음
    ‘설거지’ 1988년 표준어 규정 개정 때부터 공식 표준어로 확정됨
    현재 표준어 ‘설거지’만 표준어
    국립국어원 설명 ‘설겆이’는 방언 또는 잘못된 표현으로 간주

  • 7. 레몬버베나
    '25.8.2 6:24 AM (124.80.xxx.137)

    옛날 신문 아카이빙 된 네이버뉴스 라이브러리에서 설겆이 검색하면 나오는 예전 기사가 수두룩한데 표준어였던 적은 없다 라니 참 희한하네요

    https://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Keyword.naver#%7B%22mode%22%3A1%2...

  • 8. 아니
    '25.8.2 6:51 AM (218.37.xxx.225)

    설겆이가 표준어였던적이 있거나 없거나
    지금도 설겆이를 고수하는 사람들 심리는 뭔가요?

  • 9. oo
    '25.8.2 6:51 AM (118.220.xxx.220)

    답변한 직원 나중에 이불킥 할듯

  • 10. ..
    '25.8.2 7:26 AM (211.202.xxx.125)

    담당자가 설겆이를 해본적 없어서리~~ @@

  • 11. ㅌㅂㅇ
    '25.8.2 7:31 AM (182.215.xxx.32)

    1988년 이전에는 표준어지정이 안돼있던것도 아닐텐데 무슨소린지 이해가....

  • 12. ㅌㅂㅇ
    '25.8.2 7:37 AM (182.215.xxx.32)

    고시 형태의 규정이 1988년부터 있었다는 얘기지 표준어 규정 자체가 그때 처음 만들어진 것은 아니네요

  • 13. 답변이
    '25.8.2 8:37 AM (218.147.xxx.180)

    답변이 잘못된거같네요
    그 직원은 자기가 안겪어서 모르는 사람인듯

  • 14. 예전에
    '25.8.2 8:42 AM (221.147.xxx.127)

    신문이나 책에는 거의 다 설겆이로 쓰였어요.
    고시가 된 적은 없었다까지는 몰랐어도
    당시 작가 기자 편집자 등 다수가
    그게 표준이다 라는 생각을 했다는 거죠.
    비설거지라는 말도 예전에는 비설겆이라고 쓰고
    비가 오려 할 때나 올 때 급히 비 맞지 않게
    정리 수습한다는 의미의 단어죠.
    정리나 수습한다는 의미가 들어있어요.
    식사후 그릇을 씻고 정리한다는 말은 설겆이 또는
    뒷설겆이라고도 써서 논리적으로도 무리가 없었어요.
    설거지로 표준어 정한 뒤 이런 의미가 섬세하지 않고
    앞뒤가 없이 뭉개지는 게 저는 개인적으로 못마땅해요.
    그래도 설거지라고 씁니다.
    약속은 약속이니까.

  • 15.
    '25.8.2 9:29 AM (116.122.xxx.50) - 삭제된댓글

    설겆이 받아쓰기 시험 단골손님이었는데..
    하늘이 맑읍니다 , 육월.. 소리나는대로 쓰기도 단골 시험문제였구요.
    국민학교 세대들에게는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린 것들이죠..ㅎㅎ

  • 16. 우와
    '25.8.2 9:31 AM (223.38.xxx.157)

    설겆이가 표준어였던 적이 없었다고
    국립국어원 게시판에 답변 단 저 연구원 누군가요
    이름 알아내서 민원 넣어야겠네요
    연구원 자격이 없음.

  • 17. 우와
    '25.8.2 9:38 AM (42.25.xxx.213)

    ‘설겆이’는 원래 널리 쓰이던 말이었지만, 1988년 표준어 규정 개정에서 ‘설거지’로 표준어가 확정되었고, 그 이후에도 ‘설겆이’는 표준어로 지정된 적이 없습니다.

    그 이후에도==1988년도 및 그 이후라는 뜻으로 쓴 것 같은데요

    이렇게 쓰면 1988년도 이전과 이후를 다 통틀어 쓴 거라고
    원글님처럼 오해 하는 사람이 생기죠
    대한민국 표준어 규정이 생긴 1935년도 이후
    두 번의 대규모 표준어 규정 정리가 이루어지는데
    가장 최근에 크게 바꾸어진게 1988년이고
    그 이전까지는 설 겆 다 라는 단어의 어원을 살린
    설 겆 이 가 표준어로 사전에 등재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원을 밝혀 적는다는 것은 그 어원에 해당하는 단어가 살아 있을 때에 의미가 있는 것인데
    설 겆 다 라는 단어는 이미 사어이고
    이에 발음과 표기를 일치시키는 것이 일반 국민들에게
    편리하다는 대 원 칙 하에
    설 겆 이 에서 설 거 지로 바꾸어 표준어 등재한 거예요.

    참고로
    더우기 나 일찌기 같은 단어는
    더욱. 일찍. 이라는 단어가 여전히 살아 있기에
    어원을 밝혀 적는 것이 의미가 있으므로
    1988년 규정에서
    더우기를 더 욱 이
    일찌기를 일 찍 이
    이렇게 바꾸어 등재했습니다.

  • 18. . .
    '25.8.2 10:46 AM (223.38.xxx.46)

    설겆이가 설거지라고 바뀐다고 학교에서 배웠어요.

  • 19. 에고
    '25.8.2 11:08 AM (221.138.xxx.92)

    연구원 최소 감봉 3개월 ....모지리네요.

  • 20.
    '25.8.2 12:50 PM (211.202.xxx.194)

    소리래요?!
    학교에서도 다 설겆이로 가르치고 배웠던 시절이 있었구만,
    답변 쓴 저 직원 문제 있네...

  • 21. ...
    '25.8.2 1:58 PM (1.241.xxx.220)

    표준어라는 개념이 88년도 전부터 있었지만 공식적이지 않았고
    88년도에 체계적이고 대대적인 고시 형태의 규정이 생긴거라
    그걸 기점으로 한 것 같아요

  • 22. ...
    '25.8.2 1:59 PM (1.241.xxx.220)

    한마디로 설겆이가 표준어다 라고 '고시'된적은 없다는 거죠.

  • 23. 어릴때
    '25.8.2 4:12 PM (182.226.xxx.161)

    분명 설겆이로 썼었는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3390 전업주부 됐는데 세상 편하고 재밌어요 34 ㅇㅇ 2025/08/07 7,019
1743389 26기 영호요. 7 .. 2025/08/07 1,779
1743388 건강협회에서 잇몸레진해도 될까요? 2 스켈 2025/08/07 581
1743387 운동하는 아이 보양할 약 좋은거 추천해주실 분 있나요? ㅁㅁ 2025/08/07 169
1743386 티 메이커 있으면 편한가요?? 1 ........ 2025/08/07 719
1743385 10년 넘은 옷들 버리려다가 뒀더니 9 어머 2025/08/07 4,685
1743384 윤가가 특검조사가 망신주기라는데 셀프망신이 더큰거 모르나봐요 11 윤건희재산몰.. 2025/08/07 1,328
1743383 조국은 사면뿐 아니라 13 ㄱㄴ 2025/08/07 1,892
1743382 G가 4개 붙어있는 브랜드가 뮌가요? 3 ㅇㅇ 2025/08/07 1,565
1743381 극우 예언가가 입추지나면 윤가에게 좋은일생겨 재기한다 했다네.. 12 2025/08/07 3,436
1743380 공무직 내정자 6 내정자 2025/08/07 1,118
1743379 사람은 다면적인 존재인데 2 2025/08/07 803
1743378 홍진경 이혼 고백 음소거 된 단어가 뭘까요 71 랄라랜드 2025/08/07 29,353
1743377 가장 난해한 책 꼽아볼까요? 34 ㅇㅇ 2025/08/07 2,792
1743376 좌골신경통으로 발바닥 아치 안쪽이 쿡- 쑤실수도 있는건가요?ㄷㄷ.. 3 ... 2025/08/07 562
1743375 김건희ㅡ석사 과정 수업 듣고 과제하느라 주식 신경 쓸 겨를 없어.. 23 .. .... 2025/08/07 3,827
1743374 가성비 끝판은 돼지등뼈 탕 같아요 13 ㅁㅁ 2025/08/07 2,131
1743373 18년전쯤 산 하이닉스 1000프로네요 6 놀랍다 2025/08/07 3,820
1743372 일하는 사람은 노는 사람보다 평균수명 14년 더 산다고 하네요 17 무병장수 2025/08/07 3,299
1743371 방학 탐구생활 기억하세요? 14 방학 2025/08/07 1,276
1743370 담배값 3만원으로 올리면 좋겠어요 4 .. 2025/08/07 910
1743369 더위 먹었을때는 어떻게 하지요? 13 더위 2025/08/07 1,148
1743368 제마음좀 다스리게 도와주세요 16 ..... 2025/08/07 2,759
1743367 더쿠는 이재명 문재인 이간질 장난아니네요 23 참나 2025/08/07 1,908
1743366 지역난방 아파트 25평 관리비+난방 다 합쳐서 40-50만원 나.. 22 ... 2025/08/07 2,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