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방 싱크대 상부장이 떨어지기도하나요?

ㅡㅡ 조회수 : 2,304
작성일 : 2025-07-26 11:30:09

주방에 그릇넣는 상부장들이 떨어지기도하겠죠?
무거운그릇들 쌓여있는데 늘 좀 불안해서요
아니나다를까찾아보니 떨어진 사례들이 있네요

가벼운것만 넣자니 그런그릇은없고 가벼워도 몇개만 쌓여도 무겁고..

플라스틱몇개만넣자니 공간활용이넘안좋고..

무거운건 모두아랫장에 넣어놓자니 쓸때마다 허리아프고..무릎아프고..귀찮고

상부장에 어느정도 넣어야할지...

떨어진사례보니 무서워서 못쓰겠네요

IP : 116.125.xxx.8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7.26 11:36 AM (220.124.xxx.118) - 삭제된댓글

    시어머니집 상부장 무거운 거 없는데도 너무 낡아 떨어진적 있구요.
    울집은 상부장이 원목이라 무거운데다 그릇도 잔뜩 올려놓고 썼는데 어느날 문짝이 안맞고 기울었어요.
    무서워서 그릇이랑 싹다 내리고 남편이 다 분리해서 다시 달았어요.
    근데 하도 무겁게 해놓고 쓰는지라 저 맨날 상부장 수평맞나 쳐다봐요;;

  • 2.
    '25.7.26 11:36 AM (220.124.xxx.118)

    시어머니집 상부장 무거운 거 없는데도 너무 낡아 떨어진적 있구요.
    울집은 상부장이 원목이라 무거운데다 그릇도 잔뜩 올려놓고 썼는데 어느날 문짝이 안맞고 기울었어요.
    무서워서 그릇이랑 싹다 내리고 남편이 다 분리해서 다시 달았어요.
    근데 하도 무겁게 해놓고 쓰는지라 저 맨날 상부장 수평맞나 쳐다봐요;;
    그릇 내리면 너무 불편해서 못써요;;

  • 3. 노란장미
    '25.7.26 11:37 AM (175.209.xxx.181)

    저도 상부장은 컵과 보관용 그릇등 가벼운 거 위주로 넣고요.
    접시등 차곡차곡 쌓으면 무거운 접시나 사기그릇, 냄비등은 아래장에 넣어요.
    대신 자주쓰는 그릇들을 꺼내기 쉽게 앞쪽에 정리합니다.
    튼튼하게 달아놓았어도 안심할 수 없더라고요.

  • 4.
    '25.7.26 11:40 AM (1.227.xxx.56)

    제 지인 어머니집에서 실제로 떨어졌었어요
    다치진 않았지만 청소하느라 힘들었다고 ..
    저 싱크대 설치하는 거 옆에서 직접 봤는데 긴 목재 바(?)를 벽에 못으로 박아서 붙이고 그 바 위에 싱크대를 못으로 붙이더라구요 싱크대 자체만으로도 엄청 무거운데 저게 잘 버틸 수 있을까해서 작업하시는 분한데 못을 몇 개 거 해달라고 부탁 드렸어요
    저는 상부장에 매일 쓰는 그릇 몇개랑 밀폐반찬통 머그컵 몇개 두고 나머지는 플라스틱 김치통. 지퍼백 비닐팩 호일 같은 거. 상비약.라면.간식등 가벼운 것 위주로 놓아요
    대부분은 엄청 놓고 살아도 아무 일 없던데 확률 낮아도 나한테 닥치면 100프로 라는 생각으로 조심하며 살아요

  • 5.
    '25.7.26 11:54 AM (222.235.xxx.29)

    어릴때 저희집 상부장 떨어졌었어요. 오래된 주택이긴 했어요. 그 다음해에 새로 지을 예정이긴 했으니까요. 그 기억으로 전 상부장엔 가벼운것들만 넣어놔요

  • 6. 상부장엔
    '25.7.26 11:54 AM (220.117.xxx.100)

    무거운 그릇, 유리 그릇등은 넣을 생각을 말아야 해요
    뜯어져 무너진 집들 여럿 봤어요
    무너지기 전에 발견하면 그나마 다행
    저희는 무거운거 넣지도 못하고 쓰기도 불편해서 리모델링 하면서 상부장 다 없애고 하부장에 서랍으로 다 몰아서 만들었어요

  • 7. 플랜
    '25.7.26 12:01 PM (125.191.xxx.49)

    씽크대가 오래되면 조금씩 내려앉는다고
    전문기가 그러더라구요

    게다가 무거운 식기들이 잔뜩 들어있으면
    위험하죠

  • 8. ㅇㅇ
    '25.7.26 1:55 PM (211.235.xxx.121)

    밥그릇 국그릇은 식구수+1 만큼만 상부장에 넣고 나머지는 다 하부장에 넣어요

  • 9. 상부장 분리
    '25.7.26 2:51 PM (180.70.xxx.227)

    20년 넘은 브랜드 아파트 삽니다.
    상부장이 2칸이고 각각 2칸으로
    다시 나눠져 있네요,공간 활용이
    별로라 동네 싱크대 공장 가서 4칸
    중 3칸을 위 아래로 나눌 싱크대
    판을 재단해서 중간에 걸침 나사를
    박고 3칸을 상하로 나누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20년 사용해도 휨이나
    부서짐 없습니다. 1칸은 분리 안하게
    머그컵이나 기타 긴 유리잔들을 놓으
    려고 통으로 두고 사용중이네요...

    혹시라도 상부장이 통으로 되어 사용
    중이면 인근에 싱크대 공장 있으면
    길이 측정해서 가면 판자 재단해서
    상부장과 같은 베이지 색으로 자동
    도섹도 해주고 받히는 나사도 줍니다.
    인턴넷에서 주문해도 될겁니다,,,

  • 10. ...
    '25.7.26 3:04 PM (221.145.xxx.152)

    떨어진 경험있어서 사기그릇.유리잔같은 무거운것은 안넣어요.
    플라스틱통 행주 비닐 나무젓가락 쑤세미등 가벼운위주로 넣는데
    솔직히 주방 구색 맞추기지 상부장가격에 비해 쓰임새가 별로더군요.

  • 11. 싱크대가
    '25.7.26 3:24 PM (182.221.xxx.40)

    사방팔방 못으로 박아놓은게 아니고 기다란 목재같은거 먼저 벽에 박아두고 거기에 고정시키는 거예요. 그릇 종류는 올려놓으시면 안돼요.
    가벼운 플라스틱 통이나 김, 과자, 라면같은 무겁지 않은식재료, 나무 젓가락이나 종이컵같은 일회용품 같은거만 넣어놔요.

  • 12. **
    '25.7.26 4:51 PM (125.178.xxx.113) - 삭제된댓글

    친구네집 한밤중에 자는데 싱크대가 통채 떨어져서 그릇들 박살났대요
    모두 자는 중이라 다치지 않았다고 가슴을 쓸어내렸대요.

  • 13. 저희도
    '25.7.27 9:03 AM (223.39.xxx.180)

    외출했다 돌아오니 떨어져있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3563 쿠팡 3프로 적립 2 하하 2025/08/08 1,149
1743562 오늘 먹은거 4 .. 2025/08/08 1,117
1743561 황창연 신부님 7 ㄱㄴ 2025/08/08 2,730
1743560 시디즈 의자 조절법 2 ... 2025/08/08 608
1743559 스킨으로 미스트처럼 쓰니 좋네요. 1 ^^ 2025/08/08 1,303
1743558 시판 갈비탕, 삼계탕 뭐 드시나요. 3 .. 2025/08/08 1,342
1743557 고무장갑 교체시기 6 라푸이 2025/08/08 1,082
1743556 직장인이 외부강의 하려면 필요한 스펙 4 ㅇㅇ 2025/08/08 966
1743555 건희 입원한거 어디에 나와요? 2 2025/08/08 2,841
1743554 태희는 길거리 캐스팅 8 ㅁㄴㄹㄹ 2025/08/08 3,454
1743553 생리 하기 몇일전에 근종통이 더 심해지나요? 1 000 2025/08/08 631
1743552 남편이 최고 같아요 43 2025/08/08 13,935
1743551 이재명대통령 지지자 분들 민주당원 많이들 가입 하시면 좋겠어요 4 .. 2025/08/08 768
1743550 논현역근처나 고ㆍ터근처 3 급질 2025/08/08 824
1743549 몇끼까지 굶으실수 있으세요? 14 ㅇㅇ 2025/08/08 2,494
1743548 순간 미쳤나봐요 ㅠㅠ 팥하드 하나, 냉면 1, 육개장 갑자기 미.. 3 dkdlfk.. 2025/08/08 2,822
1743547 고구마줄기 김치에 수박 넣어도 되나요? 4 열심히 2025/08/08 1,014
1743546 어제 오늘 너무 시원해서보니 입추 2 uuu 2025/08/08 1,425
1743545 윤미향은 억울한게 맞다 60 .. 2025/08/08 3,259
1743544 전 찍어 먹었던 간장 14 기다아니다 2025/08/08 3,047
1743543 인덕션 사용하고, 음식이 저는 왜 안 될까요? 9 인덕션 2025/08/08 1,865
1743542 충무로 소나기 엄청 쏟아진대요 2 82예보 2025/08/08 2,001
1743541 가솔린 vs 가스차 4 결정 2025/08/08 566
1743540 전한길이 왜 한동훈 탓을 할까요? 9 궁금 2025/08/08 2,426
1743539 정신적으로 몇 달 너무 힘들었는데 6 .. 2025/08/08 2,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