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버터 천장형 에어컨 처음인데 어렵네요 도와주세요

.. 조회수 : 1,161
작성일 : 2025-07-09 10:17:17

거실에 스탠드, 안방이랑 아이방에 작은 에어컨 투인원에 하나 추가

그렇게 생활하다가 신축으로 이사오면서 거실에 하나, 주방에 하나

아이방에 하나, 서재에 하나, 안방에 하나 에어컨이 5대

인터넷으로 공부하니 인버터는 한번에 18도 강으로 틀고 온도가 27도쯤 되면

나머지는 다 끄고 거실에 제일 큰것만 켜라고 해서 그렇게 하고

방문 열어 놓고 자고 있어요

아침에 일어나면 거실에어컨 자동건조 30분 돌린 후에 끄고

다시 오후에 더우면 켜고 이게 맞나요?

선배님들 도와주세요

살면서 이렇게 에어컨 많은 집은 처음이라 어려워요

IP : 118.130.xxx.2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25.7.9 10:32 AM (121.133.xxx.125)

    방방마다
    같이 가동합니다.건조기능쓰니
    새에어컨인데도 냄새가 조금 나서
    그냥 자동기능 설정하고 냉방위주로 써요.

    온도는 본인들 마다 느끼는 냉기가 다 다르니까요.

    집집마다 구조랑 실외기 마력이 다 다른데
    써보시고 전력량 비교하시면 될거 같아요.

    저희는 10 마력에 9대 설치했어요.
    신형이라 그런지 26도 설정해도 괜찮네요.

    그전에는 18-22도 이하로 했었거든요.

  • 2. 거실것만
    '25.7.9 10:36 AM (121.133.xxx.125)

    돌아도 실외기가 돌고
    전력 대부분은 실외기에요.

    거실것이 그렇게 많이 커버되지 않을텐데
    방마다 사용해도 실내기는 별 전력소모가 크지는 않아요.

    거실 평형에 맞는 실내기를 달았을텐데
    그거 하나로 다른 방까지 냉기가 가도록 할 필요가 있을지요.

  • 3. ...
    '25.7.9 10:38 AM (221.154.xxx.171)

    몇일 체크를 해봤는데요
    거실 27도 해놓은것이 각방 27도 해놓는 것보다 전력소모량이 훨씬 커요
    그래서 우린 저녁 11시쯤 거실은 끄고 각자방 각자 온도 설정해서 아침 5~6시에 자동꺼짐 예약으로 생활해요(각 방은 저녁 9~10시 사이에 켜는것 같아요)
    아침에 일어나면 거실이 더운것은... 불편하지만 참아요

  • 4. ....
    '25.7.9 11:29 AM (124.49.xxx.13)

    써보니 거실 틀어놓는게 제일 온도도 늦게 올라가고 유지하는데 전력을 많이 쓰는거 같아요
    방이야 문닫고 틀면 금세 올라가고 유지되고요.아이들이 문열고 자나요? 끝방은 거실냉기 도달하지 않던데요
    목적이 잘때 에어컨 틀면 몸에 안좋을거 같아서 거실냉기로 간접적으로 잔다하면 좋을거 같고 전력 효율성은 거실끄고 각자방 적당히 틀고 문닫고 잔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7344 맛있는 김 추천해주세요~ 7 맛있는 재래.. 2025/07/21 1,332
1737343 부부 합산 8억 작은가요? 41 2025/07/21 12,451
1737342 아들 총격사건 쌍문동 집에 타이머 달린 폭발물 발견 10 .. 2025/07/21 4,019
1737341 부동산 문의 (계약후 등기전 매매 가능한가요?) 10 .. 2025/07/21 851
1737340 여행 안가는 사람은 없나요? 27 ..... 2025/07/21 3,950
1737339 집에서 인터넷이 계속 끊기는데 다른집은 안 그런가요? 5 은ㄴㅇ 2025/07/21 804
1737338 나물 좋아하시는 분들... 식구들이 잘 먹나요? 4 ㅇㅇ 2025/07/21 888
1737337 ‘청춘의 덫’ 전광렬은 이혼남인가요? 17 여름 2025/07/21 3,812
1737336 응급실 다녀왔어요 1 .. 2025/07/21 1,689
1737335 부모는 어디까지 용서해야 하나요? 5 .. 2025/07/21 2,234
1737334 장유착이 있는 사람이 자연사 할 때까지 잘 살기도 하나요? 7 ... 2025/07/21 1,416
1737333 ‘강남 불패’ 넘어 ‘강변 불패’ 10 2025/07/21 2,643
1737332 일년동안 일안하고 놀고싶어요ㅠ 3 ㅇㅇ 2025/07/21 1,683
1737331 등기소라고 우편물갈거라고 휴대폰으로 전화받앗는데 11 피싱인가요 2025/07/21 1,361
1737330 급질) 콩나물국에 부추 넣어도 될까요 5 요리 2025/07/21 810
1737329 새누리당할때 새누리 의미 아셨나요? 10 ㅇㅇ 2025/07/21 2,801
1737328 수제버거집 추천해 주세요! 4 ... 2025/07/21 783
1737327 2024 수출입은행 통해 방글라데시에 1.1조 차관 보냄 25 특검보세요!.. 2025/07/21 2,420
1737326 지명수배자 이기훈.jpg 6 해경청 2025/07/21 3,220
1737325 요따위 판결을 내린 판사에게 분노한다 3 .. 2025/07/21 1,019
1737324 요즘 드라마 서초동이 제일 32 000 2025/07/21 4,916
1737323 40후반인데 수려한 어떤가요? 2 .. 2025/07/21 1,203
1737322 배우 윤경호 너무 재밌네요. 8 핑계고 2025/07/21 2,809
1737321 돼지고기 김치찜은 어느부위로 하는것인가요? 14 참나 2025/07/21 1,633
1737320 전우용 교수]최근의 ‘인사논란’에 관한 소감. 13 2025/07/21 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