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죽음이 주는 선물 같은게 있는 것 같아요

ㅁㄴㅇㅎ 조회수 : 4,798
작성일 : 2025-06-30 16:05:39

언제 느꼈냐면요

 

아빠가 돌아가실 때요

그때가 되니, 

아빠와 내가 왜 힘들었는지,

내가 왜 아빠를 피했는지,

아빠의 진의가 무엇이었는지,

그런게 비로소 이해가 되고요

 

신생아처럼 아무 힘도 의욕도 꿈도 미래도 없는 아빠를 보니

그제서야 측은한 마음이 생기더라고요

죽음, 생명이 다하지 않았다면

생생한 아빠 앞에선 절대로 가질 수 없는 마음이었어요

 

자식이 무엇인지 부모란 어떤 존재인지도 알게 되고요.

자식은 배반하러 태어났구나 싶고,

나도 내 자식들이 나 섧게 대해도 그게 자연의 이치려니..하고 받아들여야지 하며

애들에 대한 마음도 한층 내려놓게 되고요.

 

명예, 돈, 학위, 직업 쫓던 것들이 작게 보이면서

있는 동안 가까운 사람과 사랑하고 사는게 위너란 생각 들면서

제 꿈이 바뀌더라고요

사랑 많은 할머니로 늙고 싶다...로요.

그래서 가까운 사람에게 늘 사랑과 평화를 주고,

지혜를 주는 그런 소박한 할머니가 되고 싶다...라는 

실현 가능해 보이지만 실로 어려운 그런 꿈이 생겼는데

그 꿈이 다른 이상처럼 절 절박하게 하거나 조급, 초조하게 만들지 않아요

할 수 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들고

자주 떠올리면서 내가 그렇게 성숙해가고 있나...돌아보게 되고요.

 

 

아빠의 생각보다 이른 죽음이 아니었다면,

못만났을 그런 생각이 있어요.

그래서 죽음도 꽤 괜찮은 삶의 선물같아요.

그렇게나 많이 슬퍼할 일이 아니고,

살아생전 서로 사랑하지 못하고 아껴주지 못한게

더 슬프더라고요.

죽어야지만 아는 것들이 있어요.

 

IP : 222.100.xxx.51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6.30 4:07 PM (58.140.xxx.182)

    좋은글이네요
    마음에 새기게되네요

  • 2. ..
    '25.6.30 4:07 PM (98.244.xxx.55)

    공감되네요. 이별이 휴식이고 인생의 일부이다 싶고요.

  • 3. 언니가
    '25.6.30 4:09 PM (223.38.xxx.246)

    형부 하늘나라 가고 너무 힘들었었는데 시간이 지나니
    얻은 것도 있다고 그러더군요.
    그래도 아빠는 항상 마음 속에 계시죠?

  • 4. 좋은글
    '25.6.30 4:11 PM (98.45.xxx.21)

    쉐어해 주셔서 고마워요.

  • 5. 그런 거 같아요
    '25.6.30 4:16 PM (221.147.xxx.127)

    이승에서의 연이 다하고
    생사 갈림길에서 영원히 이별하게 되니까
    서로를 힘들게 하던 소소한 것들이 참 더 작아보이죠.
    어차피 누구든 한번은 죽게 되니까
    그 한번을 깨달음의 기회로 삼고 싶어요.
    그런 의미에서 죽음은 선물이기도 하죠.

  • 6.
    '25.6.30 4:19 PM (1.241.xxx.96)

    이 고단하고 고단한 아부지 죽음을
    보면서 느꼈죠. 죽음이 아빠에게
    축복일수도 있겠구나.ㅠㅠㅠ
    사는내내 몸도 힘들고 마음도
    힘들었던 울~~아부지

  • 7.
    '25.6.30 4:22 PM (125.132.xxx.86)

    좋은 글이네요
    인생이 뭔지 생각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8. 6568₩??
    '25.6.30 4:26 PM (106.101.xxx.30)

    별 그지같은 글이네요
    본인이 그 선물을 받으심 되겠네요^^

  • 9.
    '25.6.30 4:50 PM (58.140.xxx.182)

    ㄴ미쳤나?

  • 10. ..
    '25.6.30 5:07 PM (118.44.xxx.51)

    글이 좋아 일부러 로그인했어요.
    저도 부모님 여의고 죽음이 가깝게 느껴지고,
    정말 잘 살다가 부모님 만나고 싶다.
    다시 부모님 만나는 날 떳떳하게 만나려고 노력중이예요.
    살아계실때 잘 못해드려 너무 아쉬움이 크지만, 그때 상황에서는 어쩔 수가 없었어요. 부모님 살뜰하게 외롭지않게 챙길 여력이 안됐어요. 그래도 서운한 내색없이 다 품고 가신 엄마를 생각하면 저도 제자식들한테 그대로 할거예요.
    서운하게 해도 다 받아줄거예요.
    너 사느라 애쓰는구나..하고 믿어줄거예요.
    이제 애들도 다 컷고 먹고 살만한데.. 시간 여유도 있어 이제는 모시고 여행도 다닐만한데.. 안계신 허전함을 달래며 살아요..

  • 11. 나의 죽음이
    '25.6.30 5:31 PM (222.100.xxx.51)

    내 가까운 이들에게 선물이 되면 좋겠어요.
    저도 아빠의 죽음으로 얻은게 있듯이요.
    그들이 뭔가 삶을 더 자기 답게 맘편하게 살 수 있는 손바닥한 만한 숨구멍 같은거요.
    아빠가 생전 안보고 싶더니
    죽어서 다시 만나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생전에 가졌던 온갖 속박과 부자연스러움을 벗고
    말간 얼굴로 만날 수 있을 것 같은 거요.

    다시 돌아간다면?
    다시 아빠 돌아가시기 전으로 돌아가면 마찬가지일 거에요.
    그래서 지금이 좋고요, 지금 더 충만하게 살아야지 싶어요.
    그게 아빠의 선물이었어요.
    현재를 더 잘살게 해주는..

  • 12. 1212
    '25.6.30 6:02 PM (121.149.xxx.247)

    요즘 읽은 글 중에서 제일 충격적일 정도로 마음에 남습니다.
    특히 자식은 배반하러 태어났다는 말이요. 제가 요즘 부모님을
    배반하는 중이고 제 자식들은 또 시시때때로 서럽게, 그립게
    하고 있거든요. 죽음이 주는 선물 맞아요. 제 남편은 시모 살아
    계실때 전화 한통 안하더니 돌아가신지 20년 넘었는데 아직도
    엄마 찾습니다. 삶은 유한해서 아름다운거 맞는거 같죠?
    사랑과 평화를 전하는 할머니가 되기를 노력 또 기억하겠습니다. 가끔 이런 보석같은 글 때문에 82를 떠날 수가 없네요.

  • 13. 저 역시
    '25.6.30 7:21 PM (106.101.xxx.137)

    애증관계였던 엄마의 죽음 앞에서
    깨달아지더라고요.
    내가 넘지 못했던 엄마와의 벽. 그 이유를요.
    그리고 그렇게 의식적으로 노력해도
    허물어지지않던 벽이
    저절로 무너지면서
    애증의 무게, 짐에서 자유롭게 됐어요.

    살아계실때 이랬더라면
    더할나위없이 좋았겠지만
    그때는 그것이 최선이었다는것을
    제 자신이 너무 잘 알아요.

    그래도 다행인건
    늦게라도 엄마와의 애증 관계를
    원만히 풀고
    좋은 마음으로 엄마를 기억할수 있게 되었다는 거죠.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해요.
    글 지우지 마세요.

    가끔 엄마생각 날 때,
    자식들때문에 서운할때
    읽으러 오려고요

  • 14. .....
    '25.6.30 7:41 PM (222.112.xxx.140)

    글 지우지 말아주세요. 너무 공감되는 글이예요.. 막연했던 제 감정이 원글님 덕분에 정리가 되네요 ㅜㅜㅜ
    감사합니다 ㅜㅜㅜ

  • 15. 선물
    '25.6.30 7:54 PM (222.100.xxx.51) - 삭제된댓글

    죽음이
    분명 아프고 슬프고 아쉽고 미안하고 죄책감들고 온갖 감정이 들지만,
    또 죽음으로 홀가분해 지더라고요.
    그 사람의 존재가 없어짐으로 얻는 해방감 같은 것이요.

    자연에서도 모든 새끼들은 다 부모를 아예 잊고 자기 삶을 살아가잖아요
    자기 삶을 살아나가기에도 얼마나 전쟁터인가요
    우리도 자연의 일부이고,
    자녀와 가정을 이루고 사는게 사랑이 목적이고 과정이고 시작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많이 사랑하는 자가 위너...

    전 아빠와는 루저였지만(아빠가 저를 더 사랑하셨죠),
    우리 아이들과의 관계에서는 분명 내가 더 사랑할테고
    우리 아이들은 또 이기적으로 지들이 젤 중하게 살다가
    지 자식한테 또 쪽~빨리겠지...싶어요.

  • 16. 선물
    '25.6.30 7:56 PM (222.100.xxx.51)

    죽음이
    분명 아프고 슬프고 아쉽고 미안하고 죄책감들고 온갖 감정이 들지만,
    또 죽음으로 홀가분해 지더라고요.
    그 사람의 존재가 없어짐으로 얻는 해방감 같은 것이요.

    자연에서도 모든 새끼들은 다 부모를 아예 잊고 자기 삶을 살아가잖아요
    자기 삶을 살아나가기에도 얼마나 전쟁터인가요
    우리도 자연의 일부이고,
    자녀와 가정을 이루고 사는게 사랑이 목적이고 과정이고 시작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많이 사랑하는 자가 위너...

    전 아빠와는 루저였지만(아빠가 저를 더 사랑하셨죠),
    우리 아이들과의 관계에서는 분명 내가 더 사랑할테고
    우리 아이들은 또 이기적으로 지들이 젤 중하게 살다가
    지 자식한테 또 쪽~빨리겠지...싶어요.
    그게 자연의 이치이거니...하고
    애들이 지 삶으로 달려갈 때, 바짓가랑이 잡지 않으려고요

  • 17. 노년에
    '25.6.30 9:26 PM (124.53.xxx.169)

    주변인들에게 짐짝되지 않고
    괜찮은 어른이 되는게 목표인데
    마음에 새기고 또 새기려고요.
    늙어가는 몸은 너무나 자연에 가까이 사는거하 생각이 들고
    피부가 어떻고 성형이 어떻고 ...ㅎㅎㅎㅎ
    제기준,한심하고 어이없어요.

  • 18. 노년에
    '25.6.30 9:27 PM (124.53.xxx.169)

    오타...자연에 가까이 가는거라 생각이 들고 ...

  • 19.
    '25.6.30 10:57 PM (221.147.xxx.131)

    너무 공감되고 그래서 슬픈 글이네요.
    꿈을 이루며 잘 사실것 같아요.
    원글님 글을 통해
    내 삶을 대하는 자세에 대해 상기하게되네요
    평안하시길요

  • 20. 죽음에 대해
    '25.6.30 11:34 PM (121.189.xxx.139)

    다시금 돌아보게 하는글을 써주신 원글님께
    감사드려요. 한번씩 찾아와 읽고 생각하고 용서도 해보고
    그러고 싶어요.

  • 21. ..
    '25.7.1 10:35 AM (121.146.xxx.220)

    죽음이 있어서 인간사 그나마 조금 공평해요
    축복받은 인생이나 평생 고달픈 인생이나
    언젠가는 다 죽으니까요
    고통 뿐인 인생에게는 죽음이 선물같아요

  • 22. ..
    '25.7.3 8:08 AM (211.213.xxx.76)

    죽음에 관한글..
    저장하고 한번씩 읽어보고 싶은 글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2065 특검,김범수 아나운서 소환..김건희와 주가조작 공유 의심 15 그냥 2025/08/03 6,090
1742064 아들 딸 재산 차별하는 부모가 딸의 결혼때는 4 ........ 2025/08/03 2,177
1742063 특검 김범수 아나운서 소환- 도이치 주가조작 공유 의심 3 ㅇㅇ 2025/08/03 2,132
1742062 유학간 대학생아이는 지원금을 어떻게 받나요? 9 ㅇㅇㅇㅇ 2025/08/03 2,555
1742061 오늘 우아 이야기가 많네요 2 .... 2025/08/03 1,306
1742060 우아한 지인 결혼식끝나고 축의금 내놓으라 카톡 왔었어요 7 .. 2025/08/03 4,576
1742059 신축 입예협은 이득 전혀 없어요? 1 금, 2025/08/03 555
1742058 날 더운 시즌 하루 2끼 사 먹는다 쳤을때 9 돈돈돈 2025/08/03 2,471
1742057 요즘 이은지씨가 제일 웃겨요 11 저는 2025/08/03 3,276
1742056 18K 금시세 살때 가격 왜 안나오는걸까요? 1 .... 2025/08/03 1,121
1742055 동안 귀티 우아 5 2025/08/03 2,328
1742054 당뇨이신분 잡곡밥 최적의 비율 찾아요 2 .. 2025/08/03 1,810
1742053 남편이 스미싱 문자를 클릭했어요 3 ㅜㅜ 2025/08/03 1,921
1742052 지금 비오는 곳, 어딘가요? 4 어딘가요? 2025/08/03 2,336
1742051 지하철 에스컬레이터에서 의도적으로 5 ... 2025/08/03 3,233
1742050 제가 미쳤나봐요 6 죄송합니다 .. 2025/08/03 4,310
1742049 포항 침 잘 놓는 한의원 추천해주세요 1 happyy.. 2025/08/03 335
1742048 맥도날드치즈버거.이거 완전 의외네요? 8 배고파 2025/08/03 4,109
1742047 모든것을 제자리로! 조국을 가족품으로!! 9 클라라 2025/08/03 887
1742046 대만여행에서 먹은 떠먹는 컵순두부 8 ... 2025/08/03 2,213
1742045 사람을 외적 기준으로만 판단하는 이들은 어떤 세상을 사는걸까요?.. 5 ㅇㅇ 2025/08/03 1,150
1742044 우아하려면 기준이 1 갑자기 2025/08/03 1,199
1742043 부천타임의윈 점빼보신분 계시나요? 3 모모 2025/08/03 825
1742042 다주택자 규제로 '똘똘한 한 채'만 폭등… "주택 수 .. 26 바람 2025/08/03 3,993
1742041 대통령께서 가짜뉴스 처벌에 이어 카톡 4 .... 2025/08/03 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