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신도시 살면서 자녀 지역 내 과밀학교 보내기 vs 멀리 이웃지역 학교 보내기

ㅇㅇ 조회수 : 850
작성일 : 2025-06-20 14:03:09

신도시에 살면서 자녀를 멀리 이웃동네 학교로 보내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모 신도시는 젊은 사람이 많아서 육아와 사교육에서 편리한 점이 많지만

학생수가 많아서 과밀학급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하더군요. 

학교를 더 늘려야하는데 학생수 감소 이슈로 학교 신설이 안되다보니 구도심지역에서 학교를 옮기거나 폐교를 시켜줘야 해서

학교 늘리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대요

 

그런 상황에서 대중교통으로 30분 이상 걸리는 이웃지역 학교로 자녀를 진학시키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 이웃지역은 학생수 감소로 학급수가 줄어들고 있는데

학급 당 학생수 20명 정도로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고

역사가 오래된 사립고등학교들이 꾸준히 진학성적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

그리고 신도시의 공립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내신경쟁이 덜하다는 점이 

진학시 좋은 점으로 받아들여지는가보더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매일 아침 출근길에 고등학생 자녀 차에 태워서 학교까지 데려다주는 거

아무리 같은 방향이라지만 쉬워 보이진 않던데

 

IP : 58.239.xxx.234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넝쿨
    '25.6.20 2:14 PM (118.235.xxx.245)

    과밀학급이 내신받기 좋죠

  • 2. ㅇㅇ
    '25.6.20 2:21 PM (58.239.xxx.234)

    넝쿨님
    비슷한 조건이면 그럴건데
    중학생들 공부수준이 차이가 꽤 나나봐요.
    신도시지역이 공부를 더 잘하고 이웃의 구도심은 공부를 못하고
    그런데 대입진학성적은 구도심 사립학교들이 좋고

  • 3. 아마
    '25.6.20 2:22 PM (175.211.xxx.92) - 삭제된댓글

    학생수가 많아야 내신받기 좋은데요???
    게다가 초등도 아니고 고등이 그런 이유로 전학을 하지는 않죠.

    아마 밝힐 수 없는 전학의 사유가 있을 거라는 게 오히려 납득할 만할거 같은데요.

  • 4. 넝쿨
    '25.6.20 2:37 PM (118.235.xxx.101)

    고등학교는 그정도 멀리가는건 흔해요
    그 아이도 전략적으로 간듯요

  • 5. ㅇㅇ
    '25.6.20 2:38 PM (58.239.xxx.234)

    전학을 하는 게 아니라 진학이요. 입학원서에 1지망학교를 이웃지역 학교로 쓴다는 거에요. 내신을 안정적으로 받는 건 학교 규모가 클수록 유리한 게 맞는데 그 동네 사립고가 10년전까지만해도 한 학년 15학급이 넘어가던 큰 학교래요. 학생수가 많이 줄긴했어도 한 학년 200명은 넘고. 그런데 그 지역 중학생들은 공부를 잘못하고. 그렇다더라고요.

  • 6. .....
    '25.6.20 4:42 PM (211.234.xxx.244)

    고등학교는 전략적으로 멀리 가는 경우도 꽤 있어요.
    데려다 주고 데려오는 게 힘들긴 한데
    본인이 감수한다는 거면 뭐...

    저는 직장 다녀서 등하교 라이드는 못 하겠어서
    그냥 동네 성적 좋은 대신 학생수 적은 동네 학원 보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6724 센스있는 집들이 선물 뭐가 좋을까요 9 선물 2025/07/19 1,678
1736723 어쩌다 양양은 이지경이 됐을까요 30 2025/07/19 19,174
1736722 한강대교 지나서 일산 가는길 가능할까요 4 2025/07/19 1,051
1736721 생리마지막 단계에 양이 많아지는 건가요? 6 아이쿠 2025/07/19 1,208
1736720 무말랭이 맛있는 제품 알려주세요 5 ㆍㆍ 2025/07/19 1,022
1736719 윤어게인 젊은애들이 통일교와 관련이 있을까요? 8 ㅇㅇ 2025/07/19 1,765
1736718 맨바닥에 자고 일어났더니... 4 ㅓㅓ 2025/07/19 2,956
1736717 82는 딸선호 싫어하는게 당연해요 34 이해됨 2025/07/19 2,680
1736716 與 “강선우-이진숙 결격사유 없다” 52 진짜 2025/07/19 3,030
1736715 에코백에 지퍼를 달아보려고 하는데요 8 윤수 2025/07/19 1,609
1736714 센스있는 개업 화분 문구 추천 부탁드려요 4 음악연습실 2025/07/19 670
1736713 하루종일 의자, 소파 어떤게 나쁠까요? 3 질문 2025/07/19 1,272
1736712 이래서 식당 운영이 어려운건가???? 12 @@ 2025/07/19 5,118
1736711 제가 젤 잘 한것은 아들 성장주사 맞춘거에요 122 2025/07/19 24,761
1736710 좌골신경통 같아요.. 4 ㅜㅜ 2025/07/19 1,378
1736709 교육부장관 철회 청원 서명은 없나요? 4 교육부장관 .. 2025/07/19 629
1736708 밤새 온 비가 역대급인것 같아요 19 서울 2025/07/19 11,364
1736707 (크리스찬만)무너질 때 7 지나가는 2025/07/19 1,242
1736706 복부 CT로 알 수 있는 것 3 ... 2025/07/19 2,813
1736705 요리유투버들 바닥천까는거 5 준맘 2025/07/19 2,719
1736704 차 손잡이 검뎅이가 묻어나오는데요 차수리 2025/07/19 553
1736703 에스라인 보시는 분 없나요? 8 .. 2025/07/19 1,122
1736702 부동산 조정받는 분위기인데 분당만 오르는 거 같아요 13 ... 2025/07/19 2,924
1736701 환자버린 전공의 의대생 복귀 특혜반대 국민청원 58 링크 2025/07/19 4,094
1736700 김계환 前 해병사령관 22일 구속 심사 'VIP격노' 위증 혐의.. 1 순직해병특검.. 2025/07/19 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