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압력솥 얘길 보며

조회수 : 1,549
작성일 : 2025-06-11 09:06:35

압력밭솥 처음 나오자마자

(전기밥솥, 압력 버전 없던 시대)
엄마가 바로 사서 쓰셔서
전 어릴 때부터 무척 익숙해요

 

근데 폭발 위험 몰라서냐, 아니요. 
초딩 때 피아노학원 소풍 가서
밥 해먹었는데,

그 때 부탄 가스가 터져서 한 친구가 다쳤어요.

 

제일 좋아하는 과학 과목이 물리였고
폭발 위험성 넘 잘 알지만

늘 잘 사용해 왔기에
압력밥솥 처음 써본다, 무섭다는 사람들 보면
무척 신기해요

 

매뉴얼 잘 숙지하고 사용하면 되는건데..

그렇게 무서우면
대체 비행기는 어떻게 타는거에요? ㅎ

 

이건 좀 다른건데
풍년 압력솥 좋다해도
독일 압력솥 압력이 더 높아서 

밥이 더 맛있더라고요.

돌솥 압력솥도 있는데 돌솥도 맛있긴 해요

맛있음이 서로 다른 형태.

 

집에서 간단히

미니멀한 캠핑용 압력솥 쓰고픈데
풍년보다 압력 낮을거 같아 차마 안샀어요

연마제 제거할 엄두도 안나고..

( 현재도 압력솥만 5개인 여자 ㅠㅠ

  인팟도 압력 조리 도구니 인팟에

  저압냄비까지 모두 7개 인지도.. )

 

압력솥은 매뉴얼만 잘 숙지하면

사고 안나요

칙칙 압력 올라오는 소리는

밥이 맛있어 지는 소리고요

 

근데 요즘은 다 귀찮아서

즉석밥 먹는거 안비밀..

즉석밥도 압력 조리한 즉석밥이 맛있어서

그거 먹는 중입니다 

IP : 118.235.xxx.146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람이
    '25.6.11 9:16 AM (49.1.xxx.74) - 삭제된댓글

    항상 빠릿한 게 아니기에..
    70년대였나 풍년압력솥 처음 나왔을 때 엄마가 평소에 잘 사용하다가
    어느날 밥 퍼내고 나서 밥알 조금 남아있는 데다 물부어 숭늉 만든다고 가스불에 올리고 뚜껑을 제대로 체결하지 않고 척 올려놓았어요. 물 끓이는 데 압력은 필요없지 하는 생각에ㅠㅠ
    비스듬히 얹힌 뚜껑 밑으로 어느정도 압력이 쌓이다가 뚜껑이 폭발하듯 날아가고 밥알들이 튀어나가 온 부엌에 붙어있고 숭늉국물 흐르고.. 참사였습니다. 누구하나라도 부엌에 있었다면 날아가는 뚜껑에..

  • 2. 에공..
    '25.6.11 9:21 AM (118.235.xxx.146)

    다들 폭탄 맞은 느낌였겠어요 ㅠㅠ

    엄마는 일부러 안눌렸고
    저는 일부러 눌려 누룽지 먹는데
    그 또한 주의 해야죠.

    그래서 요즘은 압력솥
    일반 뚜껑 옵션 많더라고요

  • 3. 으잉
    '25.6.11 9:23 AM (118.235.xxx.146)

    폭발 경험담 댓글 사라졌..

  • 4. 그건
    '25.6.11 9:24 AM (1.227.xxx.55)

    압력솥은 안 써도 살지만 비행기는 어쩔 수 없으니 타는 거지요.
    저는 둘 다 안 무섭지만요.

  • 5. .......
    '25.6.11 9:24 AM (112.148.xxx.195)

    휘슬러는 칙칙 소리도 안나는데....버튼 올라오면서 약간의 소리.전혀 안무서워요

  • 6. 맞아요
    '25.6.11 9:27 AM (118.235.xxx.146) - 삭제된댓글

    독일 압럭솥은
    풍년처럼 칙칙 아닌 다른 소리가 다르게 나죠 ㅎ

  • 7. 맞아요
    '25.6.11 9:29 AM (118.235.xxx.146)

    독일 압럭솥은
    풍년처럼 칙칙 아닌
    순하게 소리 나요, 압력이 차는건가 싶게 조용한

  • 8. 각자
    '25.6.11 9:31 AM (180.68.xxx.52) - 삭제된댓글

    저도 압력솥 사랑하는 사람입니다만...
    무서워서 못쓰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개인마다의 경험도 다르고 불안에 대한 민감도가 다 다릅니다. 비행기 무서워서 못타고 최대한 피하려는 선택을 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운전도 마찬가지고. 자전거도 그럴 수 있죠. 타인에 대해서는 그럴 수도 있겠다고 받아들이는게 맞다고 봅니다.

  • 9. . .
    '25.6.11 9:31 AM (180.211.xxx.184)

    원글님~
    압력 조리한 즉석밥 알려주세요.
    부모님댁에 사드리고 있는데
    찐밥 같다고 그러세요.
    어디 제품이 맛있나요?
    그리고, 맛있게 데우는 팁이 있을까요?

  • 10.
    '25.6.11 9:35 AM (118.235.xxx.62) - 삭제된댓글

    각자님, 못 받아 들이겠다고 쓴 글 아니고요
    압력솥 무서워하지 말고
    매뉴얼 숙지해 잘 쓰면
    효용 가치 있다고 쓴 거예요

  • 11.
    '25.6.11 9:36 AM (118.235.xxx.181) - 삭제된댓글

    각자님, 못 받아 들이겠다고 쓴 글 아니고요
    압력솥 무서워하지 말고
    매뉴얼 숙지해 잘 쓰면
    효용 가치 있다고 쓴 거예요

  • 12.
    '25.6.11 9:38 AM (175.114.xxx.246)

    저압은 성능이 어떤가요? 저두 압력밥솥만 세 개인데 또 지름신이 오셨어요.

  • 13.
    '25.6.11 9:40 AM (118.235.xxx.181)

    각자님, 못 받아 들이겠다고 쓴 글 아니고요
    압력솥 무서워하지 말고
    매뉴얼 숙지해 잘 쓰면
    효용 가치 있다고 쓴 거예요

    압력솥 개수 말한건
    활용가치 있다보니 많이 있는거라는 말이고요

  • 14. 점두개님
    '25.6.11 9:41 AM (118.235.xxx.181)

    동원 쎈쿡이 압력 조리한 즉석 밥이에요.

    맛있게 데우는 팁요? ㅎ
    글쎄요 즉석밥은 어차피 편하자고 먹는 거라
    전자레인지 데우긴 하는데
    3분 카레처럼 끓는 물에 중탕하듯이 데워먹으라고
    조리 안내 있지 않나요?

  • 15. 자주 궁금
    '25.6.11 9:46 AM (1.227.xxx.69)

    독일에서는 무슨 음식하는데 압력솥을 사용하나요??
    그들도 찜같은 요리를 자주 해먹나요?

  • 16. ..
    '25.6.11 10:03 AM (180.211.xxx.184)

    원글님~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17. ..
    '25.6.11 10:20 AM (175.203.xxx.242)

    압력솥 김빼기 전에 싱크대로 옮기고 뚜껑위에 찬물 샤워 30초정도 해주고 김빼면 김만 살짝나오고 국물 안튀더라구요. 전복죽 할때 김뺄때 국물 튀어나와서 닦느라 고생했는데 이젠 안심!

  • 18. 아 님
    '25.6.11 12:12 PM (118.235.xxx.28)

    업무가 바빠 이제 답해요

    저압냄비는
    조리 중 뚜껑 여는게 가능한게 강점이고
    주로 백숙, 보양식 같이 뭉근히 조리하는 음식이 좋아요

    호기심 많아
    큰 옹기 솥도 있는데 (이 살림들 어쩔..)
    옹기 솥 같은 느낌였어요

  • 19. 자주 궁금 님
    '25.6.11 12:13 PM (118.235.xxx.28)

    독일 사는게 아니라
    휘슬러, WMF 같은 독일제 압력솥이요

    압력단계 조절 가능한데
    최고압으로 설정하면,
    풍년보다 압력 높아 밥맛이 좋았어요~

  • 20.
    '25.6.11 1:43 PM (175.114.xxx.246)

    답변 감사합니다~ 저압 지르렵니다 ㅎ

    독일서는 감자가 주식인데 빨리 익힐려고 쓴다더라고요. 고기도 푹 익히고요. 우리가 밥하는 거랑 매한가지라고 판매원이 그랬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5107 실내자전거 잘 타시는 분들이 더 많을까요? 14 ㅇㅇ 2025/07/14 1,441
1735106 공대생 아들 1등했네요 ㅎㅎㅎ 46 자랑질 2025/07/14 12,089
1735105 오늘 아침에 119불렀어요 몸이 저리고 오그라져서 15 119 2025/07/14 4,374
1735104 대통과 총리 업무 차이가 1 ㅗㅎㅎㄹ 2025/07/14 1,170
1735103 지방사람 마포역 근처 일이생겨서 32 ㅇㅇ 2025/07/14 1,638
1735102 국립중앙박물관 입장료 25 ㅇㅇㅇ 2025/07/14 3,019
1735101 금니나 크라운 오래된거 바꾸시나요? 4 ... 2025/07/14 1,317
1735100 헤어 스프레이 추천요 1 현소 2025/07/14 451
1735099 李정부, 유통구조 개선안 9월발표 28 이게 나라지.. 2025/07/14 3,025
1735098 온도가 많이 높지 않으니 습도가 높아도 견딜만 하네요 2 ㅇㅇ 2025/07/14 1,145
1735097 골프레슨 50분에 20만원 이게 맞나요? 15 골프 2025/07/14 2,202
1735096 소비쿠폰 기사 참고해요 1 2025/07/14 1,227
1735095 런닝하는 젊은친구들 27 번들번들 2025/07/14 4,446
1735094 로얄코펜하겐 그릇들 어디에 팔아야 할까요 17 ㄹㅇ 2025/07/14 2,548
1735093 강제 구인 하겠죠?? 6 ........ 2025/07/14 1,465
1735092 "떠난 보좌진 일할 곳에 험담" 강선우 이번엔.. 24 .. 2025/07/14 3,740
1735091 아이폰 13프로 사용중인데 드릉 2025/07/14 532
1735090 여름엔 부추만두가 정말 맛있네요. 18 --- 2025/07/14 3,178
1735089 타올 어느 정도 쓰고 교체하시나요 19 타올 2025/07/14 2,081
1735088 입술주변 부어오름 4 경험담 2025/07/14 946
1735087 성년된 아이 도로연수 8 .. 2025/07/14 1,153
1735086 대2딸 객관적으로 판단해주세요. 30 uf.. 2025/07/14 4,276
1735085 혹시 백화점 샤넬 화장품 매장 환불기한이.. 1 ........ 2025/07/14 514
1735084 오늘 매불쇼하는날이라 행복해요~ 화난 욱이영상 첨부 9 82쿡일부회.. 2025/07/14 1,427
1735083 초파리 퇴치방법 이예요 4 신기하다 2025/07/14 2,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