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래 고3 상담글 보고..

ㅇㄴ 조회수 : 1,320
작성일 : 2025-05-14 09:12:45

아래 고3 상담 글 댓글에 보니 
애 혼자 하라고 내버려 뒀으면 생기부 제대로 안 되어있을것 뻔하다는 글이 있던데

원래 애 혼자 하는거 아닌가요?

부모가 세특 쓰는거 도와주거나 컨설팅 업체에 맡겼어야 한다는 소린가요?

저도 고등 아이 뭐라도 도움될까 유튜브, 인터넷 뒤지고 해서 개괄적인 생기부 작성 요령

같은건 이해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사춘기 머리 다 큰 놈 붙잡고 참견하기도 힘들고, 

애가 알아서 하고 있어요. 

사춘기도 없고 엄마랑 합이 착착 맞아서 엄마가 떠먹여 주는거 잘 받아먹는 아이이면 

뭐 정보수집해주고 써주고 가능도 할것 같은데..

저희 아이는 그거 불가능하더라구요. 

다들 매 달 수십만원씩 주고 컨설팅 업체에 생기부 작성 맡기는걸 정말 3년간 하시는건가요?

컨설팅 맡기는거 다들 얼마나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렇게하면 특출난 생기부나오고 대학도 그런 생기부 좋아하고 그런 아이 뽑히는건가요?

 

IP : 211.114.xxx.12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less
    '25.5.14 9:14 AM (49.165.xxx.38)

    생기부 아무리 좋아도 결국은 성적이 젤 중요해요.~~

    울 아이 경우도.. 생기부나 세특이런거 제가 도와준적이 없어서..

    오히려 아이가.. 본인성적이 어디넣어야하는지.. 다 알고 있더라구요..

    그래서 수시도 아이가 6개 정해서 알려주더라구요.

  • 2.
    '25.5.14 9:15 AM (118.235.xxx.23) - 삭제된댓글

    인정안하고 싶지만 그런애들이 안그런애들 비교해서는 월등히 잘 가더라구요

  • 3. ㄱ호
    '25.5.14 9:16 AM (211.114.xxx.120)

    윗님, 당연히 성적은 같다는 전제하에 컨설팅 받은 생기부를 대학에서 더 높이 쳐주는건지 궁금하다는거죠. 그리고 그게 그렇게 만연해 있는 상황인지,, 다들 쉬쉬하면서 뒤로는 컨설팅 다 받아서 제출하는건지 궁금해서요.

  • 4. ㅇㄴㅅ
    '25.5.14 9:19 AM (211.114.xxx.120)

    수만휘에 어떤 컨설턴트가 좋은 세특 예시로 올려놓은 약대생 생기부가 있길래 제가 댓글에 학교 동아리에서 이런 시료분석이 정말로 가능하냐? 시료분석기 수천만원 하는거 정말 학교에 있기나 한거냐? 그리고 대학이 고등학생에게 원하는게 이런 실무능력이냐? 물으니 바로 글 삭제하더라구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적힌 내용이 모두 사실이 아닌것 같았고 그러니 삭제한 것 같아요. 근데 대학도 그걸 알면서 저런 업체 손 탄 번지르르한 생기부를 높이 쳐 준다니 참 문제네요.

  • 5. ㅁㅁㅁ
    '25.5.14 9:23 AM (172.226.xxx.153)

    고1 1학기에 250 주고 해봤는데
    애가 컨설팅쌤이 돈아깝게 해주는거 별거 없다고
    안하겠다고 해서 지금은 관뒀는데요
    진짜 별거 없구요
    학교따라 쌤따라 개인별 보고서 그런거 내도
    내 의도대로 생기부 안적어주는 쌤들이 대부분이에요
    학교생활 본인이 열심히 하고 하라는거 내라는거
    제대로 하니 생기부 좋아요

  • 6. ....
    '25.5.14 9:41 AM (175.193.xxx.138)

    이번에 재수 정시로 간 첫째 컨설팅X . 학교 상담만
    둘째 고3. 여름 방학때 사설 컨설팅 한번 받아보려구요.
    저도 아이 두명, 수행평가도 뭐 하는지 몰라요.
    수행도 생기부도 아이가 알아서 각자 했어요.
    주위에 최상위권은 없고, 연대/한양대/성균관대/시립대/ 중앙대 등등 간 아이들도 제가 알기로는 컨설팅 안 받았어요.

  • 7. oooo
    '25.5.14 9:44 AM (61.82.xxx.146)

    컨설팅은 보고서 써주고 어쩌고 하는것보다
    아이가 가고자 하는 방향을 명확히 말한후
    그 계열에 맞는 활동과 보고서 방향, 핵심키워드정도를
    컨설팅 받아 담임샘께 말씀드리고
    세특 채워가는거죠
    일단 업체들은 계열에서 원하는바를 잘 캐치해 놨기때문에
    그 정보를 돈으로 산다고 생각하면 쉬워요

    그방향대로 학생부 관리를 해 놓은다음
    성적맞춰 수시 지원하는게 가장 현명한겁니다
    고1 입학하면 학교에서 제일 먼저 원하는 진로를 파악하는것도
    방향에 맞춰 써주려고 하기 때문이죠

  • 8. ....
    '25.5.14 10:06 AM (112.145.xxx.70)

    첫째는 전사고에 기숙사라서
    컨설팅이고 뭐고 전혀 안하고
    학교에서 다 알아서 해줘서 대학갔는데.

    일반고 둘째는 학교에서 전혀.
    아무것도 안 해주니..
    고1부터 컨설팅다니고 있습니다...
    뭐 해주는 지는 잘 모르겠는데
    내신 시험준비 스케쥴부터
    생기부 관련 활동 챙겨주는 거 같아요

  • 9. ...
    '25.5.14 10:12 AM (117.111.xxx.67)

    원글님 학교동아리에서 저런 실험 가능한가에 의문을 품으셨는데 학교에 따라 가능하기도 불가능하기도 합니다. 일단 일반고등학교에는 고가의 분석기가 없지만 그런 것이 있는 곳으로 실험캠프를 가기도 하고 실험업체를 학교에서 불러 진행하기도 합니다. 그런 실험이 있다고 생기부가 모두 가짜라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 10. ㅁㅁ
    '25.5.14 10:56 AM (58.29.xxx.20)

    그 댓글 쓴 사람이 전데요,.
    당연히 애 생기부는 애가 만들어요. 저도 아이 둘 학종으로 대학 보냈지만 애 생기부를 돈주고 컨설팅하거나 제가 개입해서 해준적 없고요.
    그 말은 아이가 정시파라 했거든요.
    그 글 원글님은 그동안 아이가 혼자 하는것 별로 관여하지 않고 냅둔 분이시고, 그렇다면 아이가 정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별로 엄마가 이렇다 저렇다 말을 섞지 않았을거라 생각했습니다.
    아이를 위해 입시 공부를 열심히 해본 자로서 현역 정시가 얼마나 어려운지 아는 저는 아이가 고1말쯤 차라리 정시하고 싶다고 할때 뜯어말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시를 끝까지 가지고 가야 한다고 아이를 설득했었습니다. 그런 과정을 겪은 집은 애가 정시로 가더라도 학교에서 보내는 연간 스케줄표나 공지 같은걸 보고 한번 말이라도 꺼내봐요. 학교 진로 프로그램 참여는 했니, 세특 보고서 이번주 까지라더라..(우리 아이 학교 담임은 매번 그런걸 학부모 단톡방에 써주시고 독려했었음).. 니가 아무리 정시 파이터라고 해도 끝까지 수시 놓으면 안되니 기본은 해야 한다.. 이런 말도 하고.
    그렇지 않고 아이가 스스로 정시파 선언하고 엄마는 그냥 아이가 알아서 하겠지 하고 냅두었다면 당연히 아이 스스로 별로 생기부 챙길 생각을 안했을거고, 그럼 아무것도 안하고 텅비워놓았을 확률이 높단 뜻입니다.

    제가 애 둘 대학 보내고 주변에 그런집을 여럿 봐서요..

  • 11. ㅁㅁ
    '25.5.14 11:03 AM (58.29.xxx.20)

    아, 그리고, 덧붙여 원글님이 부모가 어디까지 도와줘야 하냐고 물이신다면,
    아이가 진로가 명확하지 않은 고1,2에 조금 난잡하고 중구난방식으로 채워져있던 생기부를, 고3 올라가면 좀 정리를 할 필요가 있어요.
    그때쯤 아이도 자신의 진로와 성적이 좀 명확해지고, 뭔가 방향성이 보이거든요.
    이때 현실적으로 이제 지원할 학과에 맞춰서 생각하면서 아이 1,2학년 생기부를 들여다보면 몇개의 키워드가 보입니다.
    이때 아이가 물론 혼자 다 하면 가장 좋겠지만, 조언 정도는 해줄수 있더라고요. 예를 들면 1학년 생기부에서 ㅇㅇ과목의 세특이 좋더라. 그때 쓴 내용을 3학년에 심화해서 ㄱㄱ에 관한 보고서를 쓰면 ㄴㄴ과에 맞춘 내용으로 좋지 않을까?하는 정도..
    그리고 아이가 시간도 없고 바쁘니까(그땐 고3이니 정말 그럼) 좀 도와달라고 하면 필요한 자료나 책 정도 찾아서 대령하는 정도 했네요.

  • 12. 주관
    '25.5.14 8:19 PM (104.28.xxx.54)

    자아 및 독립성이 강한 아이는 본인 판단하에 하지 엄마가 조언하고 대령한다고 해도 따라하지 않아요. 우리아이 성향을 보고 엄마도 움직여야 합니다.

    시키는 대로 따라하는 말 잘 듣는 아이 둔 엄마는 본인 경험으로 훈수 하는거고, 10인 10색. 그 분의 경험을 그냥 공유했다고 보면 될듯해요.

    원칙대로면 아이 혼자 하는게 맞다고 저도 생각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5377 오늘 아침 겸공에서 여조 '꽃'이 신뢰도가 높은 이유 나옴 14 ... 12:48:38 2,250
1715376 개 심장사상충 저렴한것좀 꼭 알려주세요 9 땅지 12:44:35 484
1715375 세탁기를 다시 산다면 14 ㄴㅇㄹㅎ 12:43:38 2,531
1715374 냉동실2년된떡 버리는건가요 18 .. 12:39:26 2,351
1715373 이준석이 아파트 소유자들에게 편지를 보냈다는데요. 29 .. 12:38:35 4,167
1715372 "尹재판 담당 지귀연, 수차례 룸살롱 술접대 받아&q.. 12 역시 12:37:03 2,262
1715371 지하철역 일평균 이용객 순위 TOP 18 ㅇㅇ 12:34:11 2,791
1715370 미국출장중인남편 뭐사오라고할까요? 21 12:30:50 1,880
1715369 커피를 안마신지 2주 넘었는데.. 6 ㄱㄴ 12:28:15 3,347
1715368 비싼 물건을 저렴하게 팔았더니 5 아이러니 12:25:26 3,523
1715367 육사 해체해야 합니다 10 육사 12:24:47 1,227
1715366 탕수육 할 때 불린 녹말과 고기무게 거의 같죠? 3 탕수육 12:23:22 325
1715365 마늘쫑 뽑으러 갔다가 10 12:22:53 1,777
1715364 남편의 인스타 17 인스타 12:22:31 3,841
1715363 왜 건강염려증이 생기는 걸까요.. 10 .... 12:18:53 1,146
1715362 낫또는 무슨 맛으로 먹는지… 20 ㅇㅇ 12:13:44 1,490
1715361 집살때 엘베 중요한가요? 21 모모 12:09:59 2,698
1715360 김용민 " 지귀연, 수차례 룸살롱 술접대 받아".. 23 ... 12:09:28 3,020
1715359 황현필 잘 생긴 것 같아요. 4 이상형 12:09:13 650
1715358 조국이 홍정욱보다 잘생겼나요?? 35 ㅇㅇ 12:07:42 2,385
1715357 사루비아 꽃의 올바른 명칭 10 배워요 12:04:16 1,713
1715356 룸살롱 접대받은 판사는 바로 지귀연?! 김용민 충격 제보 9 ........ 12:02:32 1,481
1715355 남대문 약국 비타민C 질 좋은 제품이 뭐가 있을까요? 7 .. 11:57:56 1,034
1715354 정청래 법사위원장..곽규택의원 "급도 아니면서 벗으세요.. 8 그냥 11:57:15 2,397
1715353 좀 알려주세요. 52 Ddd 11:57:07 3,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