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놀랬어요.
구한말 서양 의사들이 들어왔는데도 조선여자들은 진료를 못 봤대요. 남자한테 몸을 보여줄 수가 없다고.
서양 의사들이 있는데도 여자들은 진료 못 받고(안 받고?) 죽었다네요.
정말 기가 막히죠.
이 현실 너무 안타까워서 이화학당을 설립한 스크랜튼 여사가 미국에 부탁을 해서 미국 여자 의사가 조선에 들어왔고
이 분들이 '보구녀관'이라는 여자 전문 병원을 만들었대요.
어느날 남편한테 심하게 맞아서 코뼈가 주저앉고 손가락 하나가 짤린 여인이 병원에 실려와요.
치료를 받았고
남편한텐 돌아갈 수가 없으니 아이 둘을 찾아달라고 했는데 아이 둘은 못 찾았대요. 그리고 보구녀관에 머물면서 온갖 허드렛일을 하면서 살기 시작했나 봐요.
그런데 되게 일도 잘 하고 공부 머리가 좀 있어 보였나봐요
허드렛일 그만 하게 하고
의사보조업무를 가르쳐서 하게 해요.
그리고 이 병원에서 3년제(6년제?) 간호사 양성 과정을 만들어서 입학을 시킵니다. 그리고 정식 간호사가 되어서 평생을 여러 병원들 수간호사로 근무했다고 해요.
너무 가슴 아픈 게 졸업 사진 있거든요 근데 지금 같이 A4 용지 같은 걸 들고 있는 게 아니라 무슨 판넬같은 걸 의자 위에 올려 놓고 뒤에서 그 판넬을 들고 있어요. 그니까 그 판넬이 졸업증이면서 간호사면허증인거죠.
근데 흑백인데 미인이세요. 갸름하고 작은 얼굴에 브이 라인, 몸매도 늘씬하시고요.
근데 코뼈가 주저앉아 있습니다. 너무 슬프더라구요. 흑백인데도 코뼈 주저앉은 게 보여요.
간호사모를 쓰고 간호사 복 입은 미인이 코뼈 주저 않은 그 얼굴이 슬프더라구요.
또한 사람은
어느날 다리가 썩어 들어가고 불구상태의 소녀가 그 병원에 실려와요. 어느 집안 사노비였는데 다리가 썩어 들어가면서 불구가 되니까 버려진 거였어요.
보구녀관 의사들이 아주 정성껏 썩어 들어간 걸 치료를 했나봐요. 회복이 되었는데 어차피 갈 데도 없고 그래서 이 소녀도 거기서 허드렛 일을 하며 지내요. 그런데
이 소녀도 역시나 영특했나 보더라고요. 거기 의사들이
의사보조 일을 가르쳐서 시킵니다.
그런데 추가로 이 소녀가 공부를 하고 싶어해서 오전에는 이화학당에 가서 공부를 하고 하교 후에는 병원 일을 하는 거예요.
보조 일을 너무 잘해서 역시 보구여관 간호양성 과정 지원을 해서 최초 간호사가 됩니다.
근데 훗날 일제시대 때 의대교육 과정에 또 지원해서 의사가 되었다고 해요. 그리고 나중에는 선교사인 남편 따라다니면서 가는 지역마다 병원 개업을 했다고도 하고요.
제가 이거를 여기다 쓰는 이유는 가끔 82에서 나이 많은데 간호대 가도 되냐고 묻는 분들 많잖아요. 이런저런 현실적 문제를 이야기하면서요.
그런데 지금 상황보다 정말 말도 안 되는 악조건 상황에서도 간호대 가서 간호사가 되고 평생을 간호사 혹은 의사로 넘어가서 살다 가신 분들도 있어서 적어봤습니다.
첫 번째 분 이름은 김 마르다.
두 번째 분 이름은 이 그레이스.
교회에 다니면서 세례를 받고 그 세례 이름으로 바꾼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