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로는 그래도 즐겁고 행복한 날들도 있는데..
큰아들이 조용하고 소심하고..말주변도 없구요
친구도 많지않고 소위 아싸로 학교다니는거 지켜보는거
쉽지 않았어요 희한하게 초딩때는 넘 밝고 에너지넘쳤는제 코로나로 학교못간 2년과 중3때부터 아이가 좀 달라지는 느낌이었어요. 고비고비 친구문제도 있긴했지만 .. 단짝을 잘 못만드는 성격인건지..그래도 남자애들은 그런것과 상관없이 잘 지내니까 큰 일이 나서 나서야하는 상황이아닌이상 그냥 두었어요.
저와는 성격이 진짜 다르거든요. 사실 저는 상황을 마음깊이 이해를 잘 못했어요
그러면서 자기거 잘 찾아가면 좋은데 성적이 별로고 지 능도 딱 평규아요. 다른 예체능 에게도 재주가 없구요 게임도 그렇구요
그러니 자기도 인생이 무슨 재미가 있겠어요 유튜브 보는 게 낙이죠 공부도 그냥 그렇구 여러 가지로...
이렇게 저렇게 지금 고3까지 왔는데 애쓰고 공들여서 애지중지 아껴 키웠는데 좀 허무한거 같아요. 내가 뭐 잘 안다고 아등바등했나... 결국 이럴걸...
아이는 착해요ㅡ 밖에서 못풀어서 그런지 집에서는 소통 많이하고 저와도 대화는 잘되는 편이에요( 저는 사춘기에 집에 와서 말 한마디도 안 한다는 남자애들 너무 부러워요. 그런 애들은 이미 벌써 학교에서 이야기 많이 하고 와서 그런 경우가 많더라고요. 자기 마음 붙일 데가 있으니까.. 굳이 집에 와서까지 이야기 안 하는...)
그러다보니 아직도 어린행동도 넘 많이하고 미성숙하고.... 아이들이 그렇지만 너무 철이안들고... 그래서 다른 공부 잘하는 애들이 조금 부러운 거 같애요. 제가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 공부라도 조금 잘하면 자기 앞가림은 되는거구 자신감과 자기 효능감 같은 거 에도 영향이 있으니까.. 애들이 대부분의 시간 공부를 하는데 자기가 공부를 잘못 한다고 생각하면 진짜 괴로울 거 같구...
오늘 시험 첫날인데 어차피 수시로는 가기가 어려우니까 정시한다고.. 정말 더 답답했구요.
시험날 아침에도 데려다 주는 엄마 차에서 타자마자 쿨쿨 자기만 하는 아이 보니까
이게 우리의 미랜가.. 싶고요
(나만 말도못하고 속끓이고 , 아이는 그냥 천하태평 의존적..)
뒷자리에 고1 동생도 있어요 큰 애생각 하면 맘이 너무 무거워서 둘째 힘든 건 어떻게 다른 생각도 안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