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30억 재산 상속

9월 조회수 : 6,830
작성일 : 2023-09-06 09:55:26

상속세, 시끌시끌하네요.

상속세 관련 댓글들 보니,

30억 상속해도 15억 아니고, 6억 몇천이다, 그럼 그것도 안내냐?

(이것도 부모 중 한 분만 그것도 명의를 대부분 갖고 있는 분이 먼저 돌아가시면

10억 공제받아 20억에 대해 그나마 6억이 넘고, 배우자 먼저 돌아가시면 5억만 공제이니

 25억분 세금이면 세율 더 올라가죠.}

자식이 한 명이면 나라가 6억 몇 천, 내가 23억 몇 천.

30억에 6억 몇 천이면 20% 좀 넘으니 낼 만한 세금이죠.

 

근데 자식이 둘이면 나라가 6억 몇천, 내가 11억 몇 천, 

(어라?부동산이면 취득세, 농어촌 특별세 또 내니 헐~)

자식이 셋이면 나라가 6억 몇 천 나는 7억 조금 넘네? 취득세 하면 거의 ? 50?

자식이 넷이면 나라가 6억 몇 천, 나는 4억도 못 받는데? 국가가 이런 날 도둑...

자식이 여럿이면 꼭 상속시 더 가져 가는 놈, 가져만 가고 세금 나 몰라라 하는 놈,

가지가지들 대부분 아주 집안이 싸우느라 풍지박살 납니다.

세금은 자식중 대표 한 명(보통 장자)에게 고지서가 날아오거든요.

국가가 사망자 세금이니 먼저 자식중 아무놈한테나 먼저 뗄게,

나머지는 자식들끼리 싸우든 나누든 퉁치든 해,

빠이~~ 

 

상속세가 유산취득세 방식이 아니고, 유산세이니

자식들은 모르겠고. 사망한 사람분 세금만 챙기니

자식들은 또 변호사 의뢰하고몇 년 싸우다 결국은 평생 의절하고 사는 집 많습니다.

국가가 집안분쟁에 일조하는 거죠.

 

그나마 30억정도의 재산은 아주 준수하죠

40억, 50억 넘어가면 세율은 거의  50%에 수렴합니다.

그런 재산들 영영 나하고는 관계 없을까요?

부자들은 국가에 왕창 떼여도 당연할까요?

(부동산인 대부분인 한국인들 취득세, 농어촌세  추가는 기본으로 또 따라붙습니다.)

평소 상속, 증여세 당연하고 그 정도는 내야된다고 입이 닳도록 얘기하는 아주머니.

양도세 24% 세금 너무 많아 부동산 못 판다고....

 

내 주머니에선 절대 안 되고, 남 주머니에선 될 수록 많이  내~

가 실제 본심 아닐까요

근데 선진국들은 세율구간이 물가소득으로  연동되서 실질 소득세를 낸다는데,

대한민국 세금은 공시지가는 매년 올리면서 소득세고, 상속/증여세고

세율구간이 수십년 째 그 자리니, 사실상 매년 증세예요.

대한민국 국가나 대한민국 국민이나 에휴~~~~~

 

IP : 218.50.xxx.198
3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집안간
    '23.9.6 9:59 AM (175.223.xxx.229)

    재산 싸움날집은 몇백으로도 싸움나요
    제동생 은행 있는데 고인 통장 2~3백 가지고 서로 누구주면 안된다 전화오고 은행에서 멱살 잡고 한다는데요
    20년 근무 했는데 그런 경우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네요

  • 2. .,
    '23.9.6 10:07 AM (124.54.xxx.144)

    받을 게 없어서 …

  • 3. ㅇㅇ
    '23.9.6 10:07 AM (1.234.xxx.148)

    그 돈 모을때 합법적으로
    소득세 취득세 양도세 보유세
    성실하게 꼬박꼬박 다 내면서 모은건데,
    죽었다고 왜 절반 뜯어가나요

    상속증여세 폐지국도 많고
    미국도 160억까지 안심하고 모아서
    가족들 주고 갈 수 있게 보장하는데.

    부자감세 반대할줄만 알지
    기업들 해외로 다 팔리고 공중분해되어서
    실직자 되는건 상관없나보네.
    그저 배 아플뿐.

  • 4. 40프로한테도
    '23.9.6 10:09 AM (175.214.xxx.81)

    세금 좀 걷읍시다.유럽처럼

  • 5. 000
    '23.9.6 10:17 AM (106.102.xxx.24)

    옛날 전산화도 안된 시절 장부 쓰고 현금 쓰고 금융실명제도 안된 시절 어느정도 탈세할것임을 가정하고 징벌적으로 매긴 세율을 요즘같이 카드쓰고 금융실명제하고 클릭 몇 번하면 10년 전 통장기록 다 조회되는 오늘날까지 안고치고 그대로 두는 건 진짜 나라가 강도죠. 자꾸 유럽 세율 높다는데 우리나라가 토탈하면 최고예요. 자꾸 미국은 아파트 보유세 높다는데 대신 미국은 소득세에서 아파트모기지비를 많이 감면해줘서 보유세 크게 부담안느껴요. 진짜 우라나라 세금 문제 많아요.

  • 6. ...
    '23.9.6 10:20 AM (223.38.xxx.202) - 삭제된댓글

    나야 뭐 부자는 아니지만
    부자들이 세금 많이내고 그 덕을 보는게 사실인데
    밤낮 부자 혐오에 공공의 적 취급
    본인들도 세금 내고 살고 싶다는데
    그런 사람들 세금 좀 내게 해주면 좋겠어요

  • 7. ㅡㅡ
    '23.9.6 10:22 AM (223.38.xxx.171)

    상속공제 금액 10억도
    2000년 즈음,
    서울 33평 아파트가 1~2억 나가던 때에 만들어진 거예요
    그러니 그 때는 상속세 내는 사람이 진짜 거의 없었던 거죠

    근데 지금은 인플레로
    아파트 가격이 그 때보다 10배 이상 상승했잖아요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이 10억을 넘긴지가 옛날인데
    아직도 23년 전 기준,
    즉 서울 아파트 가격이 1~2억이던 시절의
    구닥다리 기준을 쓰고 있는 거예요

    인플레로 돈의 가치가
    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훨씬 낮게 떨어졌는데도
    그걸 전혀 감안하지 않은 겁니다

    상속공제금액도 당연히 그에 맞춰서
    다시 설정해야 맞는 거죠.

  • 8. 000
    '23.9.6 10:41 AM (14.49.xxx.90)

    국민들
    70프로가 30억이상되서
    상속세 내나 봐요.

  • 9. 부럽다
    '23.9.6 10:45 AM (76.94.xxx.132)

    30억...

  • 10. ..
    '23.9.6 10:46 AM (218.38.xxx.60)

    옛날과 돈의 가치가 틀려졌는데 상속세도 조정해야죠.

  • 11. 상속세
    '23.9.6 10:50 AM (122.37.xxx.108) - 삭제된댓글

    빨리 조정해야 합니다.

  • 12. ㅇㅇ
    '23.9.6 10:52 AM (119.69.xxx.105)

    집값이 올라가서 재산이 갑자기 늘어난 사람들이 많아졌죠
    그전에는 10억 공제면 상속세와는 상관없는 사람들이 대다수였는데
    지금은 아니죠
    상속세를 현실화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30억이면 50%가 상속세니 15억이 날아간다는 식으로
    허위사실을 퍼뜨리는건 아니다라는거죠

    집갑이 폭등이전에는 30억 재산을 상속하는 사람은 부유층이었고
    6억정도 세금내는건 정당하다고 법에서는 본거죠
    지금도 30억에 6억은 내야지 하는 사람도 있겠고
    30억이 뭐가 부자야 6억 너무하지 하는 사람도 있겠죠
    상속세 현실화 조율은 필요하지만 무조건 반이상 떼간다는식의
    루머도 하면 안되죠

  • 13. 그래서
    '23.9.6 10:52 AM (223.62.xxx.172)

    부모가 돌아가시면 모르는
    숨겨둔 형제가 나타나잖아요

  • 14.
    '23.9.6 10:56 AM (125.176.xxx.8)

    지금 천원하고 그때 천원하고 같나요?
    인플레이는 생각 안하고 ᆢ
    진짜 증여세 상속세 손봐야 해요.
    증여는 지금 오천에서 오억까지는 무증여로
    상속은 지금 10 억에서 50 억까지는 무증여로 ᆢ

  • 15.
    '23.9.6 10:58 AM (223.38.xxx.19) - 삭제된댓글

    작년인가 미국에서 기사도 나왔어요
    부모들이 죽음을 기다리지 않고 증여한다
    역사상 가장 돈이 많은 베이비부머의 증여가 시작, 자식들은 보다 더 위험(창업)을 선호하고 경제에 좋다는 취지의 기사였어요
    자식들은 아무래도 돈 증여받으면 많이써요
    노인들은 돈 안쓰고 자산 안팔고
    자산가격만 올리죠

  • 16. ㅇㅂㅇ
    '23.9.6 10:59 AM (182.215.xxx.32)

    상속세 개정해야죠 물가 연동되도록
    진짜 후진국법이에요
    국회의원들은 대체 일 안하고 뭐해요

  • 17.
    '23.9.6 11:01 AM (223.38.xxx.19) - 삭제된댓글

    작년인가 미국에서 기사도 나왔어요
    부모들이 죽음을 기다리지 않고 증여한다
    역사상 가장 돈이 많은 베이비부머의 증여가 시작, 자식들은 보다 더 위험(창업)을 선호하고 경제에 좋다는 취지의 기사였어요
    자식들은 아무래도 돈 증여받으면 많이써요
    노인들은 돈 안쓰고 자산 안팔고
    자산가격만 올리죠
    증여세 낮추는게 경제에 전체적으로 좋아요
    안 낮추면 어짜피 환전해서 외국으로 갖고 튀어요
    우리나라는 외환자율화 된지 오래되었어요

  • 18. ....
    '23.9.6 11:02 AM (221.157.xxx.127)

    상속세 그렇게 계산안합니다 내가받을상속분에한해 세금내는거에요

  • 19. 국회요?
    '23.9.6 11:02 AM (221.146.xxx.90) - 삭제된댓글

    이대로 가만히 두면 세금 많이 걷혀서
    지들 하고싶은 이거저거 생색내며
    국민들에게 선심 쓰는 척 할 수 있는데
    뭐하러 세수 줄이는 방향으로 가겠어요?
    정부와 국회는 결국 하나예요.
    세금 뜯어먹고 사는 한 몸뚱아리.
    서로 견제? 삼권분립은 무슨...

  • 20. ...
    '23.9.6 11:13 AM (58.234.xxx.21)

    국회에서 이런 문제 다루면
    여론이 무조건 부자감세라고 몰아가서
    표떨어질까봐 그런거 아닌가 싶네요

  • 21. 미국
    '23.9.6 11:14 AM (1.229.xxx.2) - 삭제된댓글

    현재 면세인 12.82 밀리언 ( 160-170억)인거 2025년에 끝나요. 2026년부터 5 밀리언으로 바뀌어서 절반이상 떨어질 예정입니다. 2017년부턴가 한시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거예요.
    한국도 실정에 맞게 조절할 수도 있뎄죠.

  • 22. 저 위
    '23.9.6 11:16 AM (1.229.xxx.2) - 삭제된댓글

    미국경우 쓰신 분
    현재 면세인 12.82 밀리언 ( 160-170억)인거 2025년에 끝나요. 2026년부터 5 밀리언으로 바뀌어서 절반이상 떨어질 예정입니다. 2017년부턴가 한시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거라 알아요.
    한국도 실정에 맞게 조절할 수도 있겠죠.

  • 23.
    '23.9.6 11:20 AM (223.38.xxx.19) - 삭제된댓글

    상속세 그렇게 계산안합니다 내가받을상속분에한해 세금내는거에요 아닙니다

    아니에요. 증여세가 개별이고 상속세는 세율은 부모기준입니다
    극단적으로 아빠 50억인데 자식이 10명이면 5억공제 상속세 17억 정도 나옵니다.한명당 5억받고 1.7억 상속세 내는거죠. 다른 사람이 안내면 연대납부의무 있습니다
    증여세는 1인당 5억받으면 5천공제 8천입니다
    증여받고 10년 내 돌아가시면 1인당 상속세 9천 덪내야 합니다
    상속세는 부모 재산에 가중되어서 자식 많은집은 증여가 유리
    그러나 자식들은 배신하는 존재이므로 상속할수밖에

  • 24. 증여세 상속세
    '23.9.6 11:21 AM (211.250.xxx.102)

    다시 수정해야합니다
    외국 100년 기업 부러워할게 아니라
    100년 가업 잇게 여건을 만들어줘야 하지않나요
    물려주고싶어도 세금 낼돈이 없으니
    팔고 마는거죠

  • 25. 미국은
    '23.9.6 11:22 AM (218.50.xxx.198)

    5밀리언으로 줄어도 공제액이ㅣ우리나라 10배네요.
    부부기준으로는 1밀리언이니 20배인가요? 환율 1000원 계산으로 해도요.
    우리나라는 부부사이에도 장벽이 있어 공제액은 5억이라고 생각합니다.

  • 26.
    '23.9.6 11:30 AM (223.38.xxx.19) - 삭제된댓글

    5m로 환원하는데 인플레 조정 고려하면 6m정도 된다하네요. 부부합산 12m

  • 27. ㅡㅡ
    '23.9.6 11:39 AM (223.38.xxx.171)

    500만 달러라고 해도 우리돈 66억인데요?
    우리가 상속공제한도가 지나치게 낮은 건 맞아요

    독일같은 경우는 부인이나 자녀에게 상속하는 경우
    상속세율이 30프로까지 떨어지고
    2016년부터는
    2600만 유로 (370억 원)까지 면세 한도 늘려주고
    그 이상 금액도 9000만 유로 (1300억 원) 까지는
    세율을 단계적으로 낮추거나
    심사 통해서 아예 면세 해주는 방향으로 바뀌었어요.

    게다가 독일같은 경우는 가업상속시
    다른 업종으로 전환해도 추징되는 상속세가 없어요
    그래서 독일의 경우는 연간 1만 3천건 이상
    공제 액수로는 10조 이상의 가업 상속이 이루어지는 거죠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가업상속 공제한도도 낮고
    그 조건도 까다로워서
    연간 달랑 93 건 정도만 가업상속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기업들은 죄다 매각할 수 밖에 없는 거죠

    (그나마 가업상속한 경우의 10프로 정도가
    사후관리 의무를 제대로 지켜내지 못해
    감면된 상속세 추징당하는 실정...
    이러니 기업들은 더더욱 매각을 1순위로 고려하게 되는 거)

  • 28. ㅡㅡ
    '23.9.6 11:44 AM (223.38.xxx.171)

    그리고 미국의 경우 인당 기준이니까
    지금 1282만 달러 (170억 원) 기준으로는
    부모 모두에게 상속받는다고 하면
    최대 340억 원 까지 면세인 거고

    2025년부터 500만 달러(66억 원)로 바뀐다고 해도
    부모 모두에게 상속받는다고 하면
    최대 132억 원까지 면세인 거죠

  • 29. 점넷님
    '23.9.6 11:51 AM (211.178.xxx.241)

    증여세는 받는 사람 기준
    상속세는 고인 기준 입니다¡!!!!

  • 30.
    '23.9.6 12:14 PM (223.38.xxx.19) - 삭제된댓글

    맞아요
    상속세는 세율을 고인기준으로 계산해요
    세금이야 나눠 내지만 상속세는 법적으로 연대의무까지 있죠
    자식 3명 넘으면 상속보다 증여세가 유리하죠.
    근데 솔직히 증여다 해버리기엔 좀 불안하죠

  • 31. ㅎㅎ
    '23.9.6 12:25 PM (39.117.xxx.171)

    받을게 없어 관심이 안가네요..

  • 32. 증여처럼
    '23.9.6 12:33 PM (218.154.xxx.173)

    받는 사람 기준으로 하던지 개편은 필요해보여요

  • 33.
    '23.9.6 12:33 PM (223.38.xxx.19) - 삭제된댓글

    5백만 달러라도 한국으로 환산하면 700만 달러 이상 효과입니다. 미국은 증여세를 부모가 내기때문입니다.
    미국에서 30억 증여하면(미국은 상속공제를 끌어올 수 있습니다) 아이가 30억을 가집니다
    한국에서 30억을 증여하면 증여세 10억을 아이가 냅니다. 10억이 없는 아이라면 10억을 또 증여해야겠죠. 그 10억도 근데 증여하면 다시 증여세가 나옵니다(이미 30억 증여했으니 순수 50프로 구간). 그래서 10억가지고 안되고 50억 증여하면 20억 정도 증여세 내고 30억이 아이 손에 들어갑니다.
    30억 주택을 미성년에게 증여하려면 취득세 중과 8프로가 있어서 현금 20억 증여 따로해도 증여세 내고 취득세 내기 부족합니다

  • 34.
    '23.9.6 12:37 PM (223.38.xxx.19) - 삭제된댓글

    5백만 달러라도 한국으로 환산하면 700만 달러 이상 효과입니다. 미국은 증여세를 부모가 내기때문입니다.
    미국에서 30억 증여하면(미국은 상속공제를 끌어올 수 있습니다) 아이가 그대로 30억을 가집니다.
    한국에서 30억을 증여하면 증여세 10억을 아이가 냅니다. 증여세 10억내면 남는돈 20억이죠. 아이에게 30억을 net으로 맞춰주려면 50억을 증여해야됩니나. 20억 정도 증여세 내고 30억이 아이 손에 들어갑니다.
    30억 주택을 미성년에게 증여하려면 취득세 중과 8프로가 있어서 현금 20억 증여 따로해도 그 20억으로 증여세 내고 취득세 내기 부족합니다

  • 35. ...
    '23.9.6 2:49 PM (221.145.xxx.152) - 삭제된댓글

    상속자가 여럿이면 각자 받는만큼 세금내는게 아니라 상속재산 총액으로 세금 매긴다 합니다.고지서도 한사람앞으로 발부해서 그중 안내는 사람으로 인해 제때 납부못하면 가산금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붙는다네요..그로인해 가족간 소송 벌어지고. 상속인 재산조회해서 받아내기쉬운자한테 연체금까지

  • 36.
    '23.9.6 3:59 PM (121.165.xxx.112)

    상속세는 안바뀔겁니다.
    국민의 40%가 세금을 안내고 살만큼 소득이 없다면서요.
    나먹고 살기도 어려운데 상속해 줄것도 없겠죠.
    나머지 세금내고 사는 60%중에
    상속세 내고 상속받을것이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되겠어요.
    노후자금 얘기할때 부동산 플러스 현금10억 얘기하면
    그정도 준비할수 있는 사람 드물다면서
    상속세 얘기 나오면 갑자기 돌변해서 상속세 비싸다고..
    제가 지금 20억 아파트에 현금 10억 노후자금인데
    제가 계산해보니 내자식은 상속세 안내고 상속 받겠더라구요.
    제가 다 쓰고 갈거라서...

  • 37. 어려운
    '23.9.6 4:40 PM (125.176.xxx.131) - 삭제된댓글

    원글님께 동의하는 부분은 많은데,

    20억 상속받는 사람과 200억 상속 받는 사람을 비교해보면,
    상속대비 세율을 늘리는게 맞기도 하고...

  • 38.
    '23.9.6 5:15 PM (223.38.xxx.19) - 삭제된댓글

    윗분은 200억 상속받는 사람 세금이 적다는 뜻인가요?
    20억을 자녀 2명에게 상속시 상속세 제외 1인당 8억정도
    200억을 자녀 2명에게 상속시 자녀 1인당 53억 정도 입니다. 200억이 부동산이라면 부동산관련 세금 및 상속세 재원마련을 위한 재원 등 실질적으로 더 적습니다. 특히 죽는 날은 정할수 없어 침체기에 돌아가시면 현금화도 쉽지 않고요
    살아생전 200억을 현금으로 만들려면 이미 세금은 어마 냈을거고요

  • 39. ..
    '23.9.6 7:36 PM (223.62.xxx.197)

    82 하루이틀 하세요 ??
    부자감세 이야기만 나오면 바득바득 이 갈면서 반대하는
    댓글들 나오잖아요.
    남 주머니에선 될 수록 많이 낸 세금으로 혹여
    본인들이 누릴 복지가 즐어들까봐 부들거리는거죠 .
    자기랑은 어차피 1도 관여된 일이 아니니까 상관없다는거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01261 세상에서 제일 불쌍한게 교사인양 몰아가는 분위기도 이해할수 없어.. 21 흠흠 2023/09/06 1,784
1501260 명상입문에 좋은 책 추천합니다아아^^ 3 솔솔 2023/09/06 789
1501259 영어 좀 읽어주세요 7 56 2023/09/06 910
1501258 제주 부산 제외한 지방 호텔이나 리조트 중에서 2 조식부페 2023/09/06 769
1501257 30억 재산 상속 24 9월 2023/09/06 6,830
1501256 시판 양념고기 씻어먹었어요 ;;; 6 2023/09/06 2,431
1501255 이뻐지려면 먼저 살을 빼야겠죠? 3 .. 2023/09/06 1,636
1501254 지금 꽃게철인가요? 4 꽃게 2023/09/06 935
1501253 나이먹는 얼굴 1 아고 2023/09/06 1,569
1501252 죄송하지만 교사에 관해서 하고싶던 이야기.. 111 ^^ 2023/09/06 14,820
1501251 앞에 앉은분이 화장을 하는데 7 @@ 2023/09/06 2,013
1501250 윤석열의 매일 지각은 출근하기 싫어서 였네요 7 귀찮다 2023/09/06 2,244
1501249 시판 파스타소스 맛있게 먹는법 7 2023/09/06 2,038
1501248 알바 면접서 성폭행 당한 10대 극단적 선택 40 안타깝네 2023/09/06 6,736
1501247 2중주차 하면서 전번도 안적어놓는사람들 심리 4 2023/09/06 718
1501246 (40대 후반) 이 정도 음식이랑 운동으로는 살 안 빠지나요? 22 살아 살아 .. 2023/09/06 2,929
1501245 추석당일에.. 2 .... 2023/09/06 848
1501244 성당 다니면 구역회요 7 .. 2023/09/06 1,226
1501243 교원자격증 쓸모 있을까요? 13 ㅇㅇ 2023/09/06 3,008
1501242 영어해석 봐주세요. 3 .. 2023/09/06 334
1501241 대1학생들 올해 학종 많이 지원하나요? 5 대입 2023/09/06 878
1501240 침대모서리에 발가락 찧었는데 7 ... 2023/09/06 1,416
1501239 윤석열 녹취록 듣고 가만 있으면 국짐당도 바보다. 16 불구경 2023/09/06 2,287
1501238 한달 용돈 100만원 어떤가요? 20 ddd 2023/09/06 4,907
1501237 초5, 영어학원 고민. 청담 보내도 될까요 22 .... 2023/09/06 2,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