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5년제 건축학과--지방 사립대 낮은 학교 나와도 취업 괜찮을까요?

고딩맘 조회수 : 2,898
작성일 : 2023-09-03 10:37:56

건축공학 아니고

5년제 건축학과를 지방 사립대 낮은학교 나와도

 취업 괜찮을까요? 건축설계를 하려고요.

(1)주로 취업이 건축설계 사무소겠죠? 몇년 근무한 후  건축사 시험 시도하다가

(2)합격하면(합격률이 많이 낮다고 하던데요)

개인이나 공동 건축설계사무소 열면 되는지...

 

(3)건축기사 자격증 갖고  건축사무소나 건설사 취업 안 하고   건축공무원 하면

건축사 시험은 자격(업계 몇년)이 안 되는가요?

업계에 계신 분들의 도움 말씀 좀 부탁드려요~

 

어제 글 올렸는데 댓글이 없어서

다시 올렸어요

IP : 220.122.xxx.13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9.3 10:40 AM (118.235.xxx.146) - 삭제된댓글

    건축학과는 세계 일류 대학도 비추라고 본 기억이..ㅜㅜ

  • 2. 에휴
    '23.9.3 10:40 AM (202.58.xxx.93)

    그쪽은 아니지만 지방사립대면 취업은 알음알음으로 해야하지 않을까요?
    딸 친구가 한양대 건축공학과 나왔는데 대학원에 다닙니다
    취업도 만만치 않고 여자라서 좀 힘들기도 하고 그러나보더군요
    건축사 시험패스는 가능성이 낮아 보이네요

  • 3. 대학이ㅠ
    '23.9.3 10:47 AM (211.109.xxx.92)

    대학이 문제가 아니라 건축학과 그러니까 그 과 자체가
    취업이 쉽지 않아요ㅠ
    예전 건축학과 글 누군가가 올렸을때 현직에 계시는분이
    취업 괜찮다고 글 길게 성토하신적 있는데
    취업 좋으면 왜 점수가 이과 중 하위권일까요??
    너무 대학에만 초점 맞추지 마시고 어떻게든 자신감
    가지고 공부해야될것 같습니다ㅠ

  • 4. 후리지아향기
    '23.9.3 10:47 AM (175.116.xxx.244)

    저희 아이가 지방사립대 건축학과 올해 졸업했어요.
    우리 아이는 시공을 전공했구요.
    음 아직 취준생이에요. 건축기사 자격증은 취득했구요.
    요즘 건설경기가 안좋아서 큰회사는 신입은 안뽑고 경력직만 뽑는거 같아요..
    우리 아이 보니까 건축회사에서 연락은 오더라구요.
    우리 아이도 10월엔 취업할거라 하는데 모르겠네요.

  • 5. 자기 하기
    '23.9.3 10:49 AM (222.119.xxx.18)

    나름이겠지요.
    조카는 지방사립대 5년전공하고 건축설계소 다니다명문대학원 들어갔는데(대학원들은 들어가기 어렵지 않다고)여기도 만만치 않나봐요.

    보통 인테리어 회사로 빠지거나...공무원시험 본대요.

  • 6. 고딩맘
    '23.9.3 10:52 AM (220.122.xxx.137)

    에휴님, 대학이ㅠ님,후리지아향기님,자기 하기님
    모두 알려주셔서 감사드려요 : )
    멋진 9월 되세요

  • 7. ㅡㅡ
    '23.9.3 10:54 AM (116.37.xxx.94)

    쉽지않은것 같아요
    공모전?같은데서 상도 받고 했는데
    서울쪽에서 취업못하고 있어요

  • 8. ㅡㅡ님
    '23.9.3 11:05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감사합니다.
    ㅡㅡ님,자녀분이 대운으로 잘 되시길 바래요.
    후리지아향기님 자제분도 대운으로 급상숭 해서 잘 되시고요.
    자기 하기님 조카도 잘 되셨으면 좋겠네요.

  • 9. ㅡㅡ님
    '23.9.3 11:06 AM (220.122.xxx.137)

    감사합니다.
    ㅡㅡ님,자녀분이 대운으로 잘 되시길 바래요.
    후리지아향기님 자제분도 대운으로 급상승 해서 잘 되시고요.
    자기 하기님 조카도 잘 되셨으면 좋겠네요.

  • 10. 제가
    '23.9.3 11:08 AM (211.234.xxx.164)

    여러번 답글 달았었는데 건축공학 이라 되어있는 학교도 요샌 건축학 전공은 5년으로 졸업해요 이름만 건축공학으로 모집하고 입학하면 두갈래로 4년 건축공학 5년 건축학 으로 졸업하는거에요. 한양대처럼 아예 따로 되어있늨곳도 있구요. 그리고 이 전공은 특히 건축설계는 학부때도 잠한숨 못자고 계속 과제해내야 하는과라 그 점은 감안해야해요. 진로는 원글님이 말한 것이 대체로 맞는데 공무원 하거나 아님 건설사 들어가려면 그냥 건축공학 졸업하면 되고 설계사무소 들어가여면 설계 전공해야죠. 전망이 어둡다기보다는 업계 특성이 연봉이 높지 않은 구조고 서울에서 취업하려면 좋은 학교 나와야하는것 같아요.

  • 11.
    '23.9.3 11:19 AM (118.235.xxx.73)

    취업은 안어려운데 3D업장과 연결되니 험한 일이죠.
    그렇다고 억대연봉도 아니고

  • 12. 고딩맘
    '23.9.3 11:23 AM (220.122.xxx.137)

    제가님 업계 종사자 같아요,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와님 감사합니다.

  • 13. oooo
    '23.9.3 11:29 AM (118.34.xxx.13)

    취업이 어려운지는 잘 모르겠는데 업무 자체는 엄청 노가다에 힘들고 밤샘이 많은데 돈은 잘 못벌어서 서울대 같은 학교 건축과도 애들이 진로나 전공 많이 바꾸려고 하던데요

  • 14. ..
    '23.9.3 11:35 AM (58.79.xxx.33)

    건축학과 추천하고 싶지 않아요. 월급이 엄청 낮고 맨날 야근에 개고생. 건축사따도 개업해서 돈많이 못버는 건축사가 부지기수..

  • 15. ..
    '23.9.3 1:08 PM (39.119.xxx.3)

    공대에서도 낮은과예요
    점수높은과가 취업도 잘되는 이유예요

  • 16. 음음
    '23.9.3 2:39 PM (112.154.xxx.50)

    전공자입니다. 20년됐고, 면허는 없으나 cc였던 남편이 면허따서 같이 일해요.
    솔까 요새 건축과 입결이 낮아진건 5년제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쓸데없이 20년전쯤 외국 건축사들과 교류가능하게 하겠다고 UIA 표준을 가져와 5년제 도입했으나, 지금 현재까지 외국건축사들과 전혀 교류, 협업 안되고 있고요-
    1) 취업시장 나쁘지 않습니다. 구인광고 차고 넘쳐요. 다만, 건축업계는 특히나 구직자의 눈높이가 높습니다. 본인들 입맛에 맞는 곳 가고싶으니 자리가 없다 느껴지겠지만, 조금만 눈을 낮추면(비단 연봉얘기가 아니라 하는 프로젝트 성격, 디자인 방향, 사무실의 위치!!!) 구직하는 곳 너무너무 많구요.
    건축은 아직도 도제수업 성격이 강해요. 그래서 연봉이 낮은것도 있고, 워낙 이나라 설계단가가 후려치는것도 있고, 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네요.
    2) 5년제 졸업 후 실무경력 쌓아 건축사 시험보면 사무실 개소 가능합니다. 합격률 낮아도, ‘포기하지만 않으면’ 언젠가는 되기는 합니다!! 주변에 안되는 경우, 단 한케이스도 못봤어요. 근데, 사무실 여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수주능력이 있어야지요. 일 못따오면 손가락 빨게 되는거고요.
    3)기사 자격증 있어도 실무경력 없으면, (건축직 공무원이 실무경력이 될 수는 당연히 없고, 건축사사무소에 다니며 협회에 경력증명을 해야합니다) 건축사시험 응시자격이 안됩니다.

    저는 딸이 수험생이라 조심스레 건축전공 권유했고, 딸도 수긍해서 그쪽으로 진로방향 정했는대요..
    페이는 낮을 수 있으나, 본인 역량에 따라 갈수있는 길이 많다고 생각해요. 나름 기술직이라 경력단절의 위험에서도 어느정도 자유롭구요. 뭐 밤새고, 데드라인 맞추느라 죽을똥을 싸고 그러는건 케바케지만, 저는 좀 즐기는편이라 뭐 딱히 단점이라 생각진 않네요.. ㅎㅎ

  • 17. 고딩맘
    '23.9.3 3:59 PM (220.122.xxx.137)

    댓글 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 18. 고딩맘
    '23.9.3 4:04 PM (220.122.xxx.137)

    음음님 업계에 계신 분이라 자세한 설명과 전망에 대해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5~6년 정도는 수련과정이라고 생각해요. 의사도 인턴, 레지던트 과정 후 전문의 따잖아요.
    댓글 복사할게요.
    전공자입니다. 20년됐고, 면허는 없으나 cc였던 남편이 면허따서 같이 일해요.
    솔까 요새 건축과 입결이 낮아진건 5년제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쓸데없이 20년전쯤 외국 건축사들과 교류가능하게 하겠다고 UIA 표준을 가져와 5년제 도입했으나, 지금 현재까지 외국건축사들과 전혀 교류, 협업 안되고 있고요-
    1) 취업시장 나쁘지 않습니다. 구인광고 차고 넘쳐요. 다만, 건축업계는 특히나 구직자의 눈높이가 높습니다. 본인들 입맛에 맞는 곳 가고싶으니 자리가 없다 느껴지겠지만, 조금만 눈을 낮추면(비단 연봉얘기가 아니라 하는 프로젝트 성격, 디자인 방향, 사무실의 위치!!!) 구직하는 곳 너무너무 많구요.
    건축은 아직도 도제수업 성격이 강해요. 그래서 연봉이 낮은것도 있고, 워낙 이나라 설계단가가 후려치는것도 있고, 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네요.
    2) 5년제 졸업 후 실무경력 쌓아 건축사 시험보면 사무실 개소 가능합니다. 합격률 낮아도, ‘포기하지만 않으면’ 언젠가는 되기는 합니다!! 주변에 안되는 경우, 단 한케이스도 못봤어요. 근데, 사무실 여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수주능력이 있어야지요. 일 못따오면 손가락 빨게 되는거고요.
    3)기사 자격증 있어도 실무경력 없으면, (건축직 공무원이 실무경력이 될 수는 당연히 없고, 건축사사무소에 다니며 협회에 경력증명을 해야합니다) 건축사시험 응시자격이 안됩니다.

    페이는 낮을 수 있으나, 본인 역량에 따라 갈수있는 길이 많다고 생각해요. 나름 기술직이라 경력단절의 위험에서도 어느정도 자유롭구요. 뭐 밤새고, 데드라인 맞추느라 죽을똥을 싸고 그러는건 케바케지만, 저는 좀 즐기는편이라 뭐 딱히 단점이라 생각진 않네요.. 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5610 코성형 상담받고 왔어요~ 8 마나님 18:41:31 227
1715609 연예인들 집 크게 옮겨가고 좋은차 타는거보면 5 ㅁㅁㅁㅁㅁ 18:35:00 718
1715608 젊은 남자애들이 샐러드 먹네요 2 ~~ 18:32:12 598
1715607 大法 “이재명 당선 시 재판중지? 각 재판부가 알아서 결정한다”.. 21 ... 18:31:08 820
1715606 Skt업데이트문의 1 ?? 18:30:28 131
1715605 김문수 오늘 밀양 유세 사진. JPG 10 언더커버맞네.. 18:29:55 1,097
1715604 면접을 봤는데 이런 경우는 뭐에요? ㄷㄷㄷㄷ 18:28:15 293
1715603 법원행정처장 “대법관 증원…국민에게 불이익 돌아갈 것” 13 .. 18:26:19 739
1715602 창원 유세장 다녀왔습니다 6 ... 18:25:14 395
1715601 텃밭상자가 잘 안 되요 5 ... 18:24:13 323
1715600 조국혁신당, 이해민, 다가올 AI 시대, 지금부터 준비해야 합니.. 2 ../.. 18:21:55 174
1715599 카톡 프사가 조선족 재혼녀 단독 사진인 아버지 9 답답한 18:21:16 824
1715598 혹시 집에서 돌아가시면 절차가 어찌 되나요? 6 가르쳐주세요.. 18:18:45 536
1715597 항상 요리 가지고 타박 하는 남의편 3 오우 18:18:24 318
1715596 판교 현백 중앙홀에서 누가 ㅈㅅ했대요 6 ... 18:15:08 2,580
1715595 중학생 고등선행 문의 5 . . 18:12:45 231
1715594 친정엄마랑 합가한 동생 17 ... 18:07:23 1,938
1715593 피곤해 보이는 얼굴 거상 어떨까요 2 .. 18:05:56 377
1715592 며칠 부지런 떨었다고 슬슬 목이 잠기는데 어쩌죠 ㅠ 4 체력 18:04:59 351
1715591 방광염인줄 알았는데 2 ㄷㄷㄷ 17:59:23 1,200
1715590 냉장고 하니.. 4 최신형 17:58:53 430
1715589 요새 선거운동 유튭보면 웃음이 빙그레 ㅎㅎㅎ 5 ,,, 17:58:15 490
1715588 전세 재계약시 복비 3 엄마 17:57:40 326
1715587 지귀연이 그동안 재판을 비공개로 한 이유. JPG 8 ........ 17:56:41 1,938
1715586 남편이 사고치고 있어요 무서워요 12 냉장고 고친.. 17:53:37 3,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