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2억 5천을 1년짜리로 예금을 들었거든요.
내년 3월에 만기구요.
근데 그걸 만기 날짜에 안찾고 만약에 3년뒤에
찾는다고 가정하면 붙는 이자는 2026년 금융소득으로 잡히는건가요?
아님 원래대로 2024년 금융소득으로 잡히는건가요?
제가 2억 5천을 1년짜리로 예금을 들었거든요.
내년 3월에 만기구요.
근데 그걸 만기 날짜에 안찾고 만약에 3년뒤에
찾는다고 가정하면 붙는 이자는 2026년 금융소득으로 잡히는건가요?
아님 원래대로 2024년 금융소득으로 잡히는건가요?
후자요.
그럼 꼭 만기에 안찾아도 되는거였어요?
그리고 2026년에 찾는다고 치면 원금 2억5천에 이자는 1년치만 붙어서 나오는거겠지요?
예금들 때 설명서 보면 만기후 이율 나와 있어요
그거대로 더 붙을거예요
만기가 돼서 이자가 발생하는 시점에 소득으로 잡힙니다
그러니까 2024년 소득으로 잡히고요
돈을 찾고 안찾고 여부는 상관 없는 걸로 알아요
그리고 그돈을 왜 26년까지 그대로 두시는지 잘 이해가...
발생하는 세금은 다 그대로 나오니까 또 빼서
다시 예금적금 드시는게 낫겠죠^^
거의 없을터인데... 왜 3년간 찾지 않으려는지요.
넘 아깝네요.
인터넷은행사이트로하면 언제든지 다른상품으로 옮길수도있고 편한대.
저도 금융소득이 2000이 넘어갈것같아서 질문드려봤어요.
원래 약정한 만기가 1년이면 1년엔 정산되어 이자가 나오지 않나요? 그럼 그 해 이자로 잡힐거 같은데요?
실제 이자를 받은 날입니다
즉 해지일
원글님 좀 더 정확히 알아보세요
절운 모르는데 금융소득으로 내는 세금보다
건강보험료가 더 문제일수도 있어요.
저는 그래서 해지하고 파킹 통장에 넣어놨어요.
정확히는 모르는데 금융소득으로 내는 세금보다
건강보험료가 더 문제일수도 있어요.
저는 그래서 해지하고 파킹 통장에 넣어놨는데
예금 든지 얼마 안됐으면 해약하고
매 월 이자 받는걸로 하세요.
검색창에서 예금이자 귀속시기라고 검색해보시길
약정된 날짜 기준인가봐요
만기후 예금을 찾지않고 귀속연도를 넘겨 찾으면 그해에 소득으로 잡혀요 해당예금만기일이 아니고요
만기일이 아닌 실제 수령일 기준으로 이자소득 수입시기 결정됨
자동해지로 가입한거면 만기해지 후 자동 입금될테니 24년으로 잡히고 직접해지면 원글님이 해지하고 수령하는 해 소득으로 잡힙니다.
은행에 물어본 거니 정확해요.
왜 3년이나 놔둬요. 만기된 예금은 이자 거의 안 붙어요. 3년이면 2500넘게 이자 날리시겠네요.
해지하는 시점으로 소득 잡히는거예요
3년을 묵히실거면 차라리 지금 중도해지해서
금액 쪼개서 1년 2년 3년짜리로 나눠서 가입하세요
금융소득 한번 내고 끝나는거면 건강보험료 1년동안 더 나오더라구요
저같은 경운 건강보험료 40정도 내는데 1년동안 65만원정도 냈어요
금융소득이자 참고합니다
3년이나 이자도 없이 묵힐 필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