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국 교육중심 대학 교수면 어느 정도인가요

어느정도 조회수 : 1,271
작성일 : 2020-08-07 14:01:42
연구중심 탑대학이나 주립 아니고
한국인은 잘 못들어본 대학이요
인문계열이면 연봉이 높진 않겠죠?
교수 지위가 한국보다 낮다는데 정말 그런가요???
IP : 223.62.xxx.24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잘은
    '20.8.7 2:06 PM (118.235.xxx.253)

    모르지만 본인 월급 연구과제 수행 스스로 펀딩해서 마련하는 케이스 많다고 들었네요.

    그리고 지위와 급여수준을 같은 저울에 둘지 말지 잘 모르겠지만 우리나라 교수들은 갑 오브 갑 아닌가요?
    그에 비해 외국은 교수가 학생이나 직원 위에 갑으로 존재하진 않겠죠.

  • 2. 요새
    '20.8.7 2:09 PM (223.39.xxx.131)

    교수들이 오히려 학생들 맞춰줘요. 갑질은 옛날 얘기에요.

  • 3. 이름
    '20.8.7 2:12 PM (121.190.xxx.152)

    한국인도 다 같은 한국인 아니니까 그냥 한국인들은 못들어 본 학교 이런식으로 퉁치지 마시고
    정확하게 이름을 대세요.

    유명한 리버럴 아츠 칼리지들은 입학허가 수준이 하바드 합격해도 떨어질 정도로 후덜덜 합니다.
    그중에서 앰허스트, 스와스모어, 윌리엄스 같은 곳은 탑 오브더 탑이고 HYPS 붙어도 여기 가는 아이들 많아요.

    그외 미들베리, 보도인, 포모나, 하비머드 이런 곳들도 전부 아이비리그 부럽지 않은 곳들입니다.
    학부 교육 중심의 이런 리버럴 아츠들은 4년동안 학생들 개개인을 학교가 어미닭이 병아리 품듯 정성껏 관리해 주기 때문에 하버드, 예일 같은 대규모 학교들 보다 만족도가 훨씬 더 높기도 하구요.

    그리고 연구중심 대학의 교수만 진짜 교수라고 생각하는 것도 완전히 편견입니다.
    정의란 무엇인가 라는 베스트셀러로 유명한 마이클샌델 교수 같은 분도 교양교육만 담당하고 연구해서 논문쓰는 교수는 아니에요.

    그러니 제대로된 답을 원하시면 학교이름 플리즈.

  • 4. 이름
    '20.8.7 2:23 PM (121.190.xxx.152)

    그리고 미국 대학은 대학의 이름으로 개인을 평가하기 보다는 스스로의 능력으로 자신의 수준을 드러내는 곳입니다. 우리 생각처럼 최고 대학 나와야 최고 대학 교수되고 그런 시스템이 아니고 노벨상 수상자라고 우리가 생각하는 랭킹 10위권 학교에 있는 것도 아니에요.

    예를들면 프린스턴 교수하다가 노벨 경제학상 받은 폴 크루그먼은 지금 뉴욕시립대학교 교수로 있구요. 미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엘리자베스 워렌은 하바드법대 교수를 했지만 휴스턴 대학이라는 조그만 대학교 출신입니다. 로스쿨도 그리 탑 랭킹도 아닌 럿거스에서 했구요. 이름만 놓고 대학교수 수준이 낮네 어쩌네 참 한심한 질문입니다. 탑스쿨에서 박사학위 마쳐도 그리고 수만불 수준의 열악한 연봉에서도 가르치고 연구하면서 독립적인 학문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교수를 하고 싶어하는 것이지 무슨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경제적 여유를 추구해서 대학교수 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0659 에어컨을 24시간 가동해도 되나요? .... 01:29:36 1
1740658 장례에 남편부부동반 질문이요 경조사 01:12:26 122
1740657 단골 카페 아는체 하면 부담스럽나요? 15 혹시 01:08:02 354
1740656 신축 아파트 벽 갈라진거요 2 01:06:31 277
1740655 김건희 모조품 ㅡ 일부러 짭을 인척네집에 숨겨 놓았을 수도 있죠.. 1 ㅇㅇㅇ 01:03:38 449
1740654 경희대 중간 공대와 한양대 높은 공대 9 차이 00:57:15 333
1740653 한심한 인간 5 한심 00:41:01 656
1740652 세계에서 가장 빠른 21주만에 태어난 아이 ㅇㅇㅇ 00:39:59 472
1740651 최강욱 - 아버님을 푸른 나무 아래 잘 모셨습니다 2 ... 00:35:42 528
1740650 저녁에 만든 스파게티 상할까요? 3 ㆍㆍ 00:24:05 410
1740649 도와주세요 우버 카드등록!!! ........ 00:12:32 211
1740648 시어머니 요양병원 계시니 자식들이 빈집에 더 자주 가네요 7 마지막주 00:09:56 2,144
1740647 네이버페이 줍줍 1 ........ 00:09:52 356
1740646 성인아들 독립 3 결정 00:08:40 780
1740645 SPC가 대통령이 나설 '수준'의 일이 아니라는 사람에게 13 800 00:06:05 1,279
1740644 농협·신협·새마을금고 비과세 혜택 단계적 축소 4 ... 00:02:51 763
1740643 파프리카 한박스 들어왔는데 4 ㅇㅇ 00:02:00 586
1740642 연예인 요리 진짜 잘 하는걸까요? 1 차*련 00:00:23 788
1740641 말티푸를 가족으로 맞이했어요 12 ㅎㅎ 2025/07/27 1,188
1740640 '양양·여성 비하 발언' 논란 김성수 부산 해운대구청장 사과 3 둥둥 2025/07/27 699
1740639 9월 초 베트남여행 괜찮은 시기인가요.  2 .. 2025/07/27 380
1740638 김보라라는 배우 이쁘네요 3 ........ 2025/07/27 1,608
1740637 80대운전자가 단독주택 돌진해 10대사망 21 .. 2025/07/27 3,331
1740636 이런 카페 수요 없을까요? 5 ........ 2025/07/27 1,097
1740635 딸돈은 안아까운 친정모 1 딸돈 2025/07/27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