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계란을 삶는 것과 찌는 방법 중에서 어느쪽이 먼저 완숙이 될까요?

질문 조회수 : 2,431
작성일 : 2019-01-13 18:55:58
계란 열개를 익힌다고 할 때
삶을 때는 물을 한컵을 넣고 삶고
찔 때는 물을 반컵을 넣고 찐다고 할 때
어느쪽이 먼저 익을( 같은 정도의 삶아진 상태의 완숙)까요?
더 정확히는 어느쪽이 에너지 절약이 될까요?
경험적으로 말씀 해주셔도 되고 과학적 설명도 좋습니다.

IP : 223.39.xxx.23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9.1.13 7:06 PM (117.111.xxx.202) - 삭제된댓글

    ㅎㅎ
    아까 어느분 댓글보고 그러시지요?
    연료 절약이 목적이면 제 방법이 더 빠릅니다.
    찬물에 달걀넣고 부르르 끓으면 바로 불 끄고 여열로 익게 놔둡니다.

  • 2. 그게...
    '19.1.13 7:06 PM (42.147.xxx.246)

    저는 삶을 때
    계란을 넣고 물이 팔팔 끓기 시작해서 2분이면 불을 끄고 그 물이 식도록 기다리면 반숙이 됩니다.

    쪄 본 적은 없어서 찌는 시간은 모르겠네요.
    그러나 2분 안쪽에 달걀이 쪄질까가 의문입니다.

    그리고
    찐다는 것은
    달걀을 깨서 용기에 넣고 찜통에 찐다는 말인가요?

    아님 생달걀을 껍질 채 찐다는 말인가요?
    그렇다면 물의 양이 부족할 것 같아요.
    증기가 많아야 빨리 익을 거예요.

  • 3. 원글이
    '19.1.13 7:09 PM (223.39.xxx.239)

    생달걀이구요.
    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삶는 물의 양의 1/2을 말 해요

  • 4. 원글이
    '19.1.13 7:13 PM (223.39.xxx.239)

    첫댓글님,그러니까 삶는 게 빠르다는 거고 연료 절약 되는 거라는 말씀이죠?
    물의 양의 적고 많음의 차이 보다 조리하는 방법이 중요 한 거죠.
    계란을 삶는데 있어서는

  • 5. ..
    '19.1.13 7:19 PM (223.62.xxx.28)

    제가 찜기에 달걀 자주 찌는데
    위에 님들이 말하는 거처럼 빨리 안되요

  • 6. ㅜㅜ
    '19.1.13 7:23 PM (115.40.xxx.64)

    사우나 가보셨죠. 사우나 실 온도가 80~90 사이 잖아요. 물이 그 온도일 때 손가락 넣으면 뜨거워서 오래 담그지 못해요. 찜은 간접적인 열이라 반응이 느려요.

  • 7. 원글이
    '19.1.13 7:24 PM (223.39.xxx.239)

    그렇죠?
    반컵을 끓이는데는 가스가 덜 들지 몰라도
    완숙하는 데까지 끓이는 것 보다 늦게 익죠?
    경험이 있으면 알만만데 ㅠ

  • 8. ..
    '19.1.13 7:25 PM (117.111.xxx.53) - 삭제된댓글

    첫댓인데요
    찌는 건 물은 빨리끓지만 수증기로 익히는 거고
    삶는 건 달걀표면적을 전부 뜨거운물로 감싸는 거니
    물이 끓을때까지의 시간은 더 걸려도 일단 끓으면 익는 속도가 빠를 거 같은데요.
    논쟁을 멈추려면 똑같은 냄비에 똑같은 화력에서 실험해보면 좋겠네요.

  • 9. 115님
    '19.1.13 7:27 PM (223.39.xxx.239)

    그러게 말입니다.
    아래 달걀 잘 벗겨지게 삶는 법에 관한 글에
    삶는 게 더 에너지를 아낄 수 없다는 댓글 달았다가 상대도 못 할 사람이 되어서 ㅠ.ㅠ

  • 10. 첫댓글님
    '19.1.13 7:32 PM (223.39.xxx.239)

    논쟁을 멈추려면 그분과 제가 함께 삶고 찌고 해 봐야 하는데 그럴 수 없으니 글 올렸구요.
    저는 경험적으로나 과학적으로나(설명이 안 되서 그렇치 ) 끓이는 것이 더 빨리 익는다는 걸 알고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9658 홍삼스틱 혹해서 살뻔했네요 1 ㅎㅎ 2019/01/30 2,303
899657 저축보험 원금 상회한거 두 개 있는데요 4 보험불안 2019/01/30 1,174
899656 손이 너무 예쁜 조카 8 아흐 2019/01/30 2,646
899655 핸드폰 기기변경 2 .. 2019/01/30 1,058
899654 귀신이 곡할 노릇 죄송합니다. .. 2019/01/30 977
899653 어제 연예프로 김보라(혜나)를 봤는데 6 ... 2019/01/30 4,114
899652 초3 학원 너무 빡빡한가요. 12 운동부족 2019/01/30 4,058
899651 예타 면제 수혜는 자유한국당이 봄 20 ㅇㅇㅇ 2019/01/30 1,083
899650 40대인데 홍역 예방접종 다시해야해요? 4 ... 2019/01/30 2,011
899649 쇼핑 신나게한 후기 4 Jj 2019/01/30 3,865
899648 저도 제주도여행 후기 34 강가딘 2019/01/30 5,694
899647 감사합니다 3 엄마 2019/01/30 1,163
899646 잠실나루역~수서역 사이 스시 추천 부탁 드려요. 3 .. 2019/01/30 1,563
899645 대학생 돈많이 들어가네요ㅠ.ㅠ 73 @@ 2019/01/30 18,435
899644 조기 위암 내시경 수술 받으신 분 계신가요? 2 위암 2019/01/30 1,967
899643 금 처음 팔아보려고 하는데요. 1 금팔사람 2019/01/30 658
899642 1년 미만으로 만나시고 결혼하신 분들 15 9876 2019/01/30 4,307
899641 생각이 많은거같습니다 1 소나무 2019/01/30 443
899640 만수르가 한국 와서 놀다 간다는 말이 사실인가봐요. 4 연예부기자 2019/01/30 4,446
899639 초등5학년 수학 어려워요 28 ㅜㅜ 2019/01/30 3,955
899638 용돈은 얼마나 대만패키지여.. 2019/01/30 474
899637 집에 두고 쓸 프린터기는 레이저 vs 잉크젯, 어떤 제품 쓰시나.. 4 집 프린터 2019/01/30 1,161
899636 뺑반 볼까요 극한직업 볼까요? 9 ... 2019/01/30 1,981
899635 스노우크랩vs영덕대게 뭐가 맛있나요? 3 ... 2019/01/30 1,025
899634 양승태 구속에 대한 외신들의 반응 1 light7.. 2019/01/30 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