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값 폭등이 최저임금 상향 때문?

최저시급 조회수 : 3,508
작성일 : 2018-09-07 08:28:20

여기 유저들이 얼마나 부자들인지 모르겠지만, 상위 10% 부자 아니고 자녀분들이 있으시다면 최저임금 인상에 찬성하셔야 합니다.

중소상공인들도 정부에 후속조치를 요구해야지 무조건 최저임금 내려라, 시위하고 탓하면 한국의 미래는 없습니다.


가령 제 친구를 보면 "교사들 방학 때 월급 주면 안된다. 공무원 연금 축소해야 한다" 맨날 떠들더니 자기 아들이 사범대 가니 말이 싹 바귑니다.

제가 '네 아들 교사 됐는데 방학 때 월급 안 나오면 좋겠냐'고 했더니 '절대 안되지'로 답합니다.

그 집 아들이 공무원 시험도 준비 준비 중이라는데 역시 같은 대답입니다.

저는 타 직종이 나보다 대우가 좋고 복지도 후하다면 "우리도 그렇게 해달라"고 요구해야지 남 잘사는 것을 깍아내리려고 하면 안된다고 봅니다. 질투는 나의 힘도 아니고.


최정임금도 마친가지입니다.

우리 자식들이 다 정규직 될 것 같습니까?

비정규직이 대부분인데 최저임금 올라야 애들의 미래가 그나마 살만할 겁니다.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은 정부에 자신들에 대한 지원을 요구해야지 '최저임금' 탓만 하면 머지않아 본인들에게 부머랑으로 돌아 올 겁니다.

제 아이는 지방대 의대에 다니는데 벌써부터 페이닥터 하거나 이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노동강도가 너무 쎄다는 겁니다.

하물며 문과 쪽 아이들은... 둘째는 문과인데 이건 뭐 미래가 없더군요.

제발 남 깍아내리지 말고 함께 잘 사는 쪽으로 가십시다.

덧) OECD에서 한국노동시간과 최저임금 순위 좀 찾아 보세요. 창피합니다.






IP : 211.227.xxx.13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9.7 8:36 AM (49.167.xxx.131)

    집값이 오르는건 군중심리 너도나도 사야한다는 생각에 ㅋ제생각입니다. 최저임금탓이란건 말도 안되는 억지

  • 2. 그러게요
    '18.9.7 8:42 AM (211.227.xxx.137)

    여기 글 읽다 보니 최저임금 상향 때문에 집값 오르는 거라는 본문이 있어서 좀 어이가 없었습니다. ^^;;

  • 3. 동의
    '18.9.7 8:52 AM (27.179.xxx.153)

    최저임금으로 집값 오른다는건
    기득권에 논리죠.
    집값은 오년전부터 올랐고
    집값올라 분양금도 올랐는데
    임금에도 반영해야지
    회사 혼자 다차지하나요?
    글고 집값은 하루가 다른게 오르는데
    임금이 안오르면 어떻게 집을사나요?
    주위에도 이런말 하는 지인
    생각없이 줏어들은말 내뱉는데
    한심하고 무식해보여요.
    얘들도 키우는 사람이.

  • 4. ..
    '18.9.7 9:07 AM (121.158.xxx.122)

    상위 10%라도 찬성합니다
    모두가 찬성해야 건강한 체질로 개선이 될거에요
    불의는 참아도 불이익은 못참는거 좀 고치면 좋겠어요

  • 5. 그러니까요..
    '18.9.7 9:11 AM (118.218.xxx.190) - 삭제된댓글

    나만 잘 먹고 잘 살면 돼!~~..이런 생각들이 가득한 자들의 여론지이나 봐요..
    어떻게 최저임금으로 도시 생활 가능 하다고 하는지
    가진자들의 여론에 넘어간 것이라봅니다..

    젊은이들이 잘 살까봐 배 아픈가진 어른들의 못된 농간 같아요..

  • 6. 그러니까요.
    '18.9.7 9:13 AM (118.218.xxx.190)

    나만 잘 먹고 잘 살면 돼!~~..이런 생각들이 가득한 자들의 여론전이라고 봐요..
    어떻게 최저임금으로 도시 생활 가능 하다고 하는지
    가진자들의 여론에 넘어간 것이라 봅니다..

    젊은이들이 잘 살까봐 배 아픈 가진 어른들의 못된 농간 같아요..

  • 7. ㅎㅎㅎ
    '18.9.7 9:18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다른 걸 다 떠나서 최저임금 오른다고 집값오른다는 논리는 누가 펼치는 건지....돌대가리 아닌가요?
    최저임금 1만원 해봐야, 월 209만원 입니다.
    4대보험, 세금 떼면 실수령 200만원도 안 되겠죠?
    이 돈으로 입에 풀칠 하기도 바쁠텐데 몇 억 땡겨서 집 살까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8. 제목보고
    '18.9.7 9:24 AM (125.188.xxx.225)

    화나서 들어왔어요
    글읽고 고개 끄덕거립니다
    맞습니다 소득주도성장이 정답입니다

  • 9. 저도요
    '18.9.7 9:52 AM (211.227.xxx.137)

    소득주도성장이 답입니다.
    언제까지 정부가 재벌에만 퍼주고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자 외면할 겁니까.
    이제 분배정책으로 나가도 늦었는데...
    경제 망한 남미국가들이 복지 때문에 소득주도정책 때문에 라고 진단하는 건 박정희 시대 때 애기입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상위 10%를 제외한 것은 인간이 마냥 이타적일 수가 없으니... 그냥 자식 키우는 사람이라면 생각 좀 해보자, 라는 뜻이었습니다.

  • 10. ...
    '18.9.7 10:14 AM (122.36.xxx.161)

    최저임금 받는 사람이 집사서 집값오른다고 이해하는 분들 있네요. ㅎㅎㅎ 최저임금, 복지등으로 풀린 돈을 버는 사람이 집을 사겠죠. 그보다도 시중에 돈풀리고 물가오르면 당연히 집값도 오르겠죠. 이렇게 비정상으로 오르는건 정책도 그지같아서 그런거지만요. 최저임금하면 일자리가 줄어드는것이 가장 무섭죠. 전 인플레보다도 쉬운 일거리로 조금 벌어서 생활하려는 사람들의 일자리가 없어지는 것이 가장 걱정스럽더라구요.

  • 11. ^^
    '18.9.7 10:48 AM (211.231.xxx.126)

    그럼요 그래야죠
    내년엔 8300 원
    내후년엔 만원까지도 올라야 합니다
    가즈아~~~!!!

  • 12. ...
    '18.9.7 11:04 AM (125.128.xxx.118)

    집값이 자꾸 오르는건 시장에 돈이 남아돌아서 그런거 아닌가요? 한가지 이유만으로 할수는 없지만...뭘 해도 돈벌이가 안되니 그런거 같아요. 장사해도 망하고...투자할 데라고는 없으니...우리 세대보다는 다음 세대가 정말 걱정이네요

  • 13. ㅎㅎㅎㅎ
    '18.9.7 11:15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122.36.xxx.161

    님 바보예요. 최정임금으로 무슨 돈이 풀려요. 그깟 게 얼마라고? 최저임금은 최저생계비인데, 생계비 빼고 남는게 뭐가 있다고 시중에 돈이 풀어져요??? 답답하네.

    시중에 돈이 남아도는건, 몇년째 금리가 낮고, 이전 정권이 돈을 풀었기 때문이지요.

  • 14. 최저임금
    '18.9.7 11:38 AM (118.218.xxx.190)

    8300 원 현재 시행되고 있나요??
    내년 인상분 아닌가요? 시행되지 않은 걸로 아는데 무슨 최저임금 탓인지..

    젏은이들이 부모세대 고생해서 번 돈 빼앗아 빌 붙어 살게해야 좋겠어요..
    나라에 돈이 없는 것도 아니면 젏은이들이 일을해서 미래를 계획하며 살게 해야죠.
    사람이 살면서 자신의 노동력으로 삻을 일구어 가는 구조가 좋은 사회 아닌가요.
    최저임금으로 먹기만하고 더 이상 다른 문화나 편안함을 유지 못한다면 그게 좋은 나라입니까..

    최저임금이 왜? 이슈가 되겠어요..
    기업들이 임금협상의 기준이 되니 가진자=기업들이 기필코 막으려는 여론전 한거라 봅니다..

  • 15. .ㅀㅀ
    '18.9.7 11:42 AM (61.77.xxx.22)

    최저임금 찬성입니다. 더 올려도 좋아요. 하지만 그게 의미 있으려면, 집값을 좀 안정화 해야죠..
    개미 만큼 임금 올려놓고, 집값은 하늘 끝까지 올라가도록 방치하면 임금 올린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 16. ...
    '18.9.7 12:00 PM (122.36.xxx.161)

    최저 임금 뿐만이 아니에요. 지금 노인들 복지로도 많이 나가고 있어요. 그리고 어디서 봤다고 바보라고 하시나요? 초등학생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0659 에어컨을 24시간 가동해도 되나요? 6 .... 01:29:36 400
1740658 장례에 남편부부동반 질문이요 1 경조사 01:12:26 203
1740657 단골 카페 아는체 하면 부담스럽나요? 23 혹시 01:08:02 581
1740656 신축 아파트 벽 갈라진거요 3 01:06:31 453
1740655 김건희 모조품 ㅡ 일부러 짭을 인척네집에 숨겨 놓았을 수도 있죠.. 2 ㅇㅇㅇ 01:03:38 663
1740654 경희대 중간 공대와 한양대 높은 공대 9 차이 00:57:15 429
1740653 한심한 인간 5 한심 00:41:01 773
1740652 세계에서 가장 빠른 21주만에 태어난 아이 ㅇㅇㅇ 00:39:59 562
1740651 최강욱 - 아버님을 푸른 나무 아래 잘 모셨습니다 3 ... 00:35:42 656
1740650 저녁에 만든 스파게티 상할까요? 4 ㆍㆍ 00:24:05 457
1740649 도와주세요 우버 카드등록!!! ........ 00:12:32 230
1740648 시어머니 요양병원 계시니 자식들이 빈집에 더 자주 가네요 7 마지막주 00:09:56 2,369
1740647 네이버페이 줍줍 1 ........ 00:09:52 395
1740646 성인아들 독립 3 결정 00:08:40 858
1740645 SPC가 대통령이 나설 '수준'의 일이 아니라는 사람에게 17 800 00:06:05 1,412
1740644 농협·신협·새마을금고 비과세 혜택 단계적 축소 4 ... 00:02:51 831
1740643 파프리카 한박스 들어왔는데 4 ㅇㅇ 00:02:00 628
1740642 연예인 요리 진짜 잘 하는걸까요? 1 차*련 00:00:23 934
1740641 말티푸를 가족으로 맞이했어요 12 ㅎㅎ 2025/07/27 1,280
1740640 '양양·여성 비하 발언' 논란 김성수 부산 해운대구청장 사과 3 둥둥 2025/07/27 748
1740639 9월 초 베트남여행 괜찮은 시기인가요.  2 .. 2025/07/27 418
1740638 김보라라는 배우 이쁘네요 3 ........ 2025/07/27 1,722
1740637 80대운전자가 단독주택 돌진해 10대사망 21 .. 2025/07/27 3,639
1740636 이런 카페 수요 없을까요? 6 ........ 2025/07/27 1,164
1740635 딸돈은 안아까운 친정모 1 딸돈 2025/07/27 1,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