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몸에 자꾸 멍이 들어요

이상 조회수 : 8,069
작성일 : 2016-07-18 15:14:48
어디 부딪치거나 다친적도 없는데 팔 다리에 멍이 자주 들어요
지금도 다리에 세곳 멍들어 있고
그전억 멍들었다가 옅어져서 파란색만 도는 곳도 2곳
팔보다는 다리, 허벅지쪽에 많이 들어요
이거 왜 이럴까요? 병원가서 진단해봐야 하나요?
평소 혈압이 낮은편이고 앉았다 일어나면 현기증 자주 오곤 합니다
관련있을까요?
IP : 112.154.xxx.98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큰병은
    '16.7.18 3:16 PM (175.126.xxx.29)

    아니고...뭐가 좀 안좋아서 그렇다는건 알고 있어요
    저도 한동은 그랬던적 있거든요.
    검색해보면 이유는 나올거예요...

  • 2. 지나가다
    '16.7.18 3:16 PM (1.233.xxx.85)

    증상을 멍자국만 보고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보통 칼륨이 떨어지면 멍이 많이 듭니다.
    이런 경우 단순히 진단내리기 쉽지 않은 경우가
    많으니 순환기내과나 내분비내과로 문의하셔서
    대형병원 가보세요.
    심각한 질환이라서가 아니라 원인을 잘 찾아야 하기 때문이라서 그렇습니다. 덜컥 겁먹지 마시고
    꼭 병원 가보세요.

  • 3. ㅇㅇ
    '16.7.18 3:22 PM (211.237.xxx.105) - 삭제된댓글

    혈소판 질환일수도 있고, 아스피린같은 혈액을 묽게 해주는 약을 복용해서일수도 있고,
    골수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살성이 지나치게 여린경우도 가끔 그렇습니다.
    일단 복용하는 약이 없다면 근처 내과에 가서 혈액검사 해보세요.
    혈액검사상 문제가 있다면 큰병원으로 가셔야 해요.

  • 4. ....
    '16.7.18 3:22 PM (59.15.xxx.86)

    혈소판 감소증이라든가?.

  • 5. ㅇㅇ
    '16.7.18 3:24 PM (211.237.xxx.105)

    몸 다른곳보다 다리 허벅지에 멍이 많이 든다는건 부딪혀서인데 다친적이 없다면..
    본인이 인식하지 못할정도로 살짝만 부딪혀도 멍이 든다는거죠.
    혈소판 질환일수도 있고, 아스피린같은 혈액을 묽게 해주는 약을 복용해서일수도 있고,
    골수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살성이 지나치게 여린경우도 가끔 그렇습니다.
    일단 복용하는 약이 없다면 근처 내과에 가서 혈액검사 해보세요.
    혈액검사상 문제가 있다면 큰병원으로 가셔야 해요.

  • 6. .......
    '16.7.18 3:27 PM (118.38.xxx.47) - 삭제된댓글

    저 지금도 다친 기억도 없는데 3군데 멍이 들어 있어요
    얼마전 병원에 가서 피검사 했는데
    아무 이상 없다며 저혈압 원인으로 보더군요

  • 7. ..
    '16.7.18 3:28 PM (210.217.xxx.81)

    호중구감소증? 이란거 아닐까 모르겟네요
    제 아들이 백혈구수치 엄청 올라갔나(안좋은쪽으로) 그랬을때
    멍이 많았거든요..

  • 8. 혈압
    '16.7.18 3:29 PM (112.154.xxx.98)

    제 혈압이 최저 50, 최고 100을 넘긴적이 없어요. 최고 98정도구요

    그게 문제일까요?? 동네 내과 가서 그냥 피검사해도 되는건지 모르겠네요
    종합병원은 시간,돈 너무 많이 들어서 선뜻 가기가 쉽지 않네요

  • 9. ㅇㅇ
    '16.7.18 3:34 PM (223.62.xxx.83)

    동네 내과가서 증상 그대로 말하고 피검사 받으세요. 시간되시면 오늘 가세요. 3분이면 검사되고, 결과는 며칠 걸릴거예요.

  • 10. ...
    '16.7.18 3:36 PM (116.41.xxx.111)

    혈액관련 질환 일수도 있어요. 혈소판이나 백혈구 수 이상. 가까운 내과라도 가서 혈액검사하세요

  • 11. ...
    '16.7.18 3:46 PM (220.75.xxx.29) - 삭제된댓글

    저랑 똑같아요.
    부딪힌 거 같지 않은데 멍이 노랗게 파랗게 들어있어요. 저도 주로 다리에...
    일어나다가 쓰러진 적 한번 있고 벽잡고 서있는 적 다반사에 혈압 낮아서 60에 90 나오고요.
    기억으로는 의자 같은 거 옮기면서 다리에 닿았던 거 같기는 해요. 근데 멍들 정도는 절대 아니었구요.
    남편이 내과의사인데 검사를 올여름에 한번 해보자 하더군요... 그 반응을 보니 그냥 넘길 일은 아닌가보다 하는 중입니다. 원래 아프다 해도 무덤덤한 사람이 검사해보자 하니까...

  • 12. 라라라
    '16.7.18 3:56 PM (175.114.xxx.191)

    빨리 큰병원가세요!!!
    혈소판 수치가 떨어져서 그래요..
    저희엄마가 몇년전 그래서 큰병원 갔어요..
    수치가 많아 떨어지면 골수검사 하자고 할거에요ㅜ
    전 멍 소리만 들어도 무서워요ㅜㅜ
    최악의경우를 얘기하는데 백혈병 얘기를해서
    그자리에 주저앉아 울었는데ㅜㅜ
    다행히 혈소판 수치가 약으로 정상화되서
    지금은 건강하세요!

  • 13.
    '16.7.18 4:36 PM (14.39.xxx.149)

    빨리 병원가세요 그거 혈액쪽 문제인데
    가장 심한 건 백혈병이고 그게 아니더라도 혈액종양쪽 병일 수 있어요

    아니면 다행이고요;;;

    일단 좀 세세하게 나오는 피검을 받으세요~~
    이거저거 다 귀찮으시면 좀 힘들긴 하지만
    바로 3차병원 응급실 가시면 그 자리에서 진단이 나와요...

    전 남편이 그랬는데
    동네에서 검사하고 기다리는 게 번거로울 것 같아
    바로 대학병원 응급실 갔다가
    그날로 격리병동에 갇히게 되었지요;; 혈액종양쪽 병으로...
    저희에게도 응급실에서 의사가 백혈병 얘기하더군요...

    그냥 단순 증상이시길 바라며
    암튼 검사는 빨리하세요

  • 14. ㅇㅇ
    '16.7.18 5:08 PM (211.237.xxx.105)

    백혈병이나 혈액종양이라고 해도 당장 오늘 내일 어떻게 되는거 아니고
    응급실까지 필요 없습니다.
    제가 보기엔 의심질병중에 제일 중한병은 백혈병 아님 뭐 재생불량성빈혈이나 특발성혈소판 감소증 정도의
    질환인데 하루이틀에 어떻게 되는 질병 아니에요.
    그리고 중증이였다면 지금 이렇게 글 쓰고 계시지도 못합니다.
    그러니 우선 동네 병원가셔서 CBC 검사 받고 혈소판이든 혈액검사상 이상이 잇다면
    소견서 받아서 큰병원으로 가세요.

  • 15. 제친구
    '16.7.19 12:23 PM (14.75.xxx.97) - 삭제된댓글

    원글님처럼 멍이 많았어요
    특히 허벅지쪽
    하루는 콧물로 병원갔다가 멍이야기를 하니
    빨 리 큰병원 가라고 해서 응급실로 가서 그날수혈받고
    입원했는데 병명이 무슨 백혈병 이었어요
    만약 감기로 병원을 안갔다면
    가서도 멍이야기를 안했다면 몰랐을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6862 주식,부동산에 이어 국민연금까지.... 반대로 22:44:46 125
1776861 한국 오래산 외국인들 꼴불견들 많아요 yoyo 22:44:41 78
1776860 지금 너무 배고파요~ 어떤게 나은가요? 1 레몬 22:44:23 50
1776859 엄마가 죽도록 미운 딸들이 어릴때부터 듣고자란 말 . . . 22:42:19 128
1776858 혼자 잘 지내시는 분 3 딸기마을 22:38:02 238
1776857 환율이 더 떨어질듯요 3 ... 22:35:39 526
1776856 제주쑥찐빵 문의 .. 22:30:09 153
1776855 계엄버스 탄 장성 첫 징계…'근신 10일' 수위 논란 1 ㅇㅇ 22:27:15 221
1776854 냄비 연마제 제거중인데 안묻어나면 3 땅지 22:26:30 190
1776853 2탄)) 고2 아이 a형 독감이라 수액 맞게 했다고 남편이.. 7 하아 22:21:36 532
1776852 미싱, 유튜브로 배울 수 있나요? 5 ㅇㅇ 22:20:15 176
1776851 73세까지 일해야 산다…은퇴해도 못 쉬는 한국인 1 걱정이네요 22:18:39 705
1776850 택배로 깜짝 선물 받는다면 어떤 게 좋으시겠어요? 1 ... 22:16:27 214
1776849 굴 먹고 탈 난 이후로…. 21 ㅡㅡ 22:09:29 1,324
1776848 김치볶음밥 간멀로해야될까요? 27 .. 22:06:14 1,013
1776847 10시 [ 정준희의 논 ] F끼리 T키타카 환율 , 금리 , .. 같이봅시다 .. 22:00:53 109
1776846 원화가 해마다 몇프로씩 낮아진다면 4 ... 21:59:20 426
1776845 찢어진 실리콘주걱 써도 될까요? .. 21:51:52 115
1776844 호빵은 삼립 말고는 없나요? 11 호빵 21:50:48 1,061
1776843 인물, 외모없는 남자에게 빠지셨던 분들 12 f 21:50:29 1,079
1776842 겨울 여행 2 초보 21:48:00 356
1776841 요즘 맛있는 과자 좀 추천해주세요 6 21:47:08 803
1776840 와파린 복용한다고 건강검진을 안받아주네요 4 참내.. 21:47:04 1,107
1776839 생강청 생강편 먹어도될지요? 일년지남 1 생강 21:45:40 132
1776838 일산 사시는 분들 ~ 방탄 RM이 일산 어디 살았는지 아시는 분.. 12 gg 21:42:09 1,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