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돈 많이 벌어도 짠돌이 성향은 어쩔 수 없네요

아... 조회수 : 4,744
작성일 : 2016-07-12 00:38:53
정말 십몇 년을 살아도 사람 성향은 안 바뀌네요.
남편 전문직이라 돈 많이 벌어요.
저도 맞벌이해서 벌 만큼 벌고요.
근데 시댁 생활비 대 드리는 거 아까워하지 않고
멀쩡히 잘 사는 자기 동생ㅡ행시 출신 공무원입니다ㅡ 돈 보태 주고 싶어 난리하면서
저희 가족 뭐 쓰는 건 진짜 아까워하네요.
이번에 애가 고등학생이라 어디 여행 가기도 그렇고
호텔 가서 하루만 쉬고 오쟀더니
네 식구라 방 두 개 잡으면
70만원 정도 들 텐데 너무 비싸다고
싫답니다.
예전에 미국에 살면서 여행 다닐 때도
인에 묵으면서 거기 화장실에서 밥 해 먹고 다니거나
차 안에서 밥이랑 김이랑 해서 밥 먹고 그랬어요.
그게 여행의 낭만이라네요 ㅠ
아... 진짜, 여행 자주 가는 것도 아니고..
가끔은 돈 써도 되지 않나요?
IP : 124.51.xxx.155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래서
    '16.7.12 12:42 AM (112.173.xxx.251)

    짠돌이랑 살면 재미 없다고 하지요
    짠순이랑은 살아도 짠돌이랑은 못산다고 하더군요

  • 2. ...
    '16.7.12 12:45 AM (58.227.xxx.173)

    님이 번걸로 쓰시면 안되나요?
    제 남편도 짠돌이라 그럴땐 내 돈 쓴다! 그러면 아무 소리 안하드라구요

  • 3.
    '16.7.12 12:45 AM (114.204.xxx.212)

    성질내고 돈 쓰세요
    님도 버는데 시가엔 그리 주면서 왜 못쓰게ㅡ하냐고요ㅜ
    내 자식, 아내 위해서도 좀 써야죠

  • 4. ㅇㅇ
    '16.7.12 12:46 AM (58.140.xxx.221) - 삭제된댓글

    짠돌이는 아니죠. 본가에는 돈 잘쓰잖아요.
    여행가서 화장실에서 물받아 부인한테 밥하라고 시키는 남편이랑 그런데 꼭 여행 다녀야하나요?

  • 5. 근데
    '16.7.12 12:46 AM (58.227.xxx.173)

    제 남편은 자기 가족한텐 더 안써서 그나마 봐줄만... ;;

    근데 원글님처럼 시댁엔 펑펑 쓰고 가족한테 안 쓰면 정말 정 떨어질듯

  • 6. 그렇네요
    '16.7.12 12:48 AM (124.51.xxx.155)

    그렇네요. 짠돌이는 아니네요 ㅠㅠ
    저도 되도록이면 맞춰 살려 했는데
    나이가 드니까 점점 짜증이 나고
    이게 뭔가 싶어요

  • 7. 1박에 70만원은
    '16.7.12 12:49 AM (218.51.xxx.70) - 삭제된댓글

    적은돈은 아니긴 하네요.
    돈잘버는 사업가 형제가 공직자 형제 지원해주는 마음이 어떤건지 경험자라서 알아요. 기죽지말고 적은 월급으로 혹여 나쁜일에 휩쓸리지 말고. 아무리 사업가라도 고위공직자 형제는 또 자랑이고 그렇습니다. 깊은 속뜻과 형제애가 있을거에요.
    남편에게 넘 기대지말고 필요하면 쓰시면 되겠네요. 개인적으로요. 본인도 버시니까요.

  • 8. 그렇네요
    '16.7.12 12:58 A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에휴... 형제애요? 시동생, 동서 명절 전날에도 일하러 오지도 않습니다. 저만 그 전날부터 시댁에 가서 일해요.
    시댁 생활비도 시동생은 십만 원도 안 보태요. 저희가 월 200만 원씩 드리고 그 외 큰 돈 들어갈 거 다 냅니다.
    지 동생이니 남편은 귀하겠죠.

  • 9. 호텔
    '16.7.12 1:07 AM (87.146.xxx.72)

    하루 70은 과소비구요, 차라리 돈 더해서 여행을 가세요.
    생활비 받으시나요?

  • 10. 그렇네요
    '16.7.12 1:13 A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하루 70이라 생각하면 과소비지만.. 애가 고등학생이라 여행은 좀 부담스러워서 여행 갔다오는 셈 치면 괜찮지 않을까 해서요.
    그리고 시댁 식구들이랑 밥 먹을 때면 저희 남편이 한 번에 40ㅡ50만원은 써요 식구들이 많은데 저희 남편만 돈 내니까요. 그거 생각하면 70만원이 참...

  • 11. 그렇네요
    '16.7.12 1:28 AM (124.51.xxx.155)

    하루 70이라 생각하면 과소비지만.. 애가 고등학생이라 여행은 좀 부담스러워서 여행 갔다오는 셈 치면 괜찮지 않을까..
    그리고 시댁에 돈 쓰는 건 한 번 식사에도 40ㅡ50만원 턱턱 내길래 저 정도 쓸 수 있지 않을까 기대했었네요
    그냥 접고 어디 가까운 콘도나 알아볼까 봐요..

  • 12. ..
    '16.7.12 6:53 AM (1.240.xxx.228)

    숙박비외에 식대비까지 하면 백만원 넘게 들거 같네요
    멀리 가는거보다 서울 시내 특급호텔에서
    호텔놀이 하면서 맛있는거 먹고
    수영장에서 노는거 의외로 재미 있어요

  • 13. 짠놈들의 특징은
    '16.7.12 8:13 AM (1.240.xxx.48)

    자기네식구들은 겁나 챙긴다는..

  • 14.
    '16.7.12 1:13 PM (220.83.xxx.188)

    땡전 한푼 없던 시절부터
    넘어지면 지푸라기라도 잡고 일어나서
    지금은 꽤 넉넉하게 살게 되었어요.
    근데 절약하는 습관은 몸에 익었네요.
    지금은 여유 많지만 절대 과소비는 안합니다.
    하지만 원글님 남편처럼 차안에서 밥과 김으로 때우는건
    언합니다. 그 지방 음식 먹는것도 여행의 맛이기에.

    어쨌건 하룻밤 70만원은 제 입장에선 과소비예요.
    그것보다 조금만 저렴한 호텔가도 충분히 즐길수 있어요.

    아주 가난하다면 행복하기 어렵지만
    행복이 돈에 비례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 15. 남한테
    '16.7.13 8:44 AM (121.166.xxx.120)

    남한테나 자기 본가 식구들한테는 막 퍼주면서 정작 자기 식구들한테 짠돌이로 군 사람 있어요.

    제 친정 아버지요. 퍼다준 사람들한텐 대접 하나도 못 받고 정작 그 사람들은 고마운 거 모르고 당연한

    걸로 여기고 더 해주지 않는다고 못 마땅해 합니다.

    이런 일들로 인해 80넘은 지금도 저희 엄마한테 항상 타박당해요. 사실 자식들한테도 남한테 해준것 반도

    마음 쓰고 베풀어 주지 않았어요.

    결국 늙어서 원망 밖에 듣지 않죠.

    자식들하고 같이 사는 시간은 정말 정해져 있어요. 아들이 고등학생이면 정말 얼마 안남았어요.

    같이 다녀주는 것만도 고마웠다고 느껴질 시간이곧 올겁니다.

    물론 큰 돈이긴 하지만 자기 식구들하고 보내는 시간에 그 정도 투자하고 배려해 주면 그 자식도

    그 마음 다 알아요.

    남한테 그거 해봤자 다 소용 없어요.

    좀 안타깝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4948 오늘은 칠월칠석입니다 5 음력 2016/08/09 1,005
584947 맛있는 갈치속젓 어디서 사세요? 10 초코송이 2016/08/09 2,221
584946 에어컨 이사 가실때.. 2 2016/08/09 1,117
584945 갑자기 폭우가... 16 구로 2016/08/09 3,084
584944 중학생이 읽을 만한 중국역사책 추천해주세요. ... 2016/08/09 721
584943 김치전에 전분가루로 하면 더 바싹하고 맛있을까요? 4 튀김가루or.. 2016/08/09 1,756
584942 솔직히 본인직장 딴거없고 이쁜여자만 많다고 가정했을때 3 .... 2016/08/09 1,208
584941 백종원 호텔사업까지 하네요 56 .. 2016/08/09 24,606
584940 폭염이어도 산속은 시원한가요? 14 .... 2016/08/09 2,373
584939 요즘 자개 공예품은 어디서 파나요? 5 자개 2016/08/09 1,033
584938 예전에 집을 보러 갔는데 ㅜㅜ 2016/08/09 958
584937 2g폰 사용자인데 스마트폰 배워서 남미여행 2 무식 2016/08/09 655
584936 17살 강아지 보낸분 이야기를 보고. 14 우리아이 2016/08/09 2,623
584935 대마씨 1 kg을 샀는데 어떻게 먹어야 할지.. 5 ..... 2016/08/09 1,532
584934 요즘엔 예쁜애들이 잘 안보이네요. 36 ........ 2016/08/09 4,250
584933 린스 대용량 사서 쓰시는분 8 지혜좀 2016/08/09 2,309
584932 리오 올림픽 사상최악 불황인것같아요. 39 썰렁 2016/08/09 16,220
584931 사춘기때조차 부모에게 반항 한 번 없었던 자녀 있나요? 11 궁금 2016/08/09 2,124
584930 한글 2007에서 특수문자 질문이요 2 컴초보 2016/08/09 760
584929 이놈의 전기요금 누진제 11 망했어요 2016/08/09 2,083
584928 자라나는 손톱은 죽은세포인가요? 2 궁금 2016/08/09 1,154
584927 유도 안창림선수 정말 잘생겼네요 2 잘생김 2016/08/09 1,231
584926 항암치료중인 시아버님을 위해서 무엇을 할수있을까요? 14 힘내세요 2016/08/09 3,137
584925 무식한 질문같은데요^^계량기 어떻게 확인하죠?? 11 ㅇㅇㅇ 2016/08/09 1,522
584924 해외에서 잠시 공부해보고 3 ㅇㅇ 2016/08/09 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