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상부장에 많이 수납하세요?

씽크대 조회수 : 3,700
작성일 : 2016-04-24 22:47:18

이다음에 제 맘대로 리모델링할 수 있다면 씽크대 상부장을 없애고 싶어요.

상부장 자리에 선반 다는 것은 별로고요.

차라리 상부벽은 비워두겠어요.

기본적으로 주방살림이 적은 편이라 시도할 수도 있긴해요.

상부장에 무거운 그릇들 꽉 찬 거 보면 무너질 까 겁이 나요.

상부장이 지탱할 수 있는 하중이 얼마나 되는 지 알면 덜 불안할 텐데....

높은 데서 꺼내려면 의자 사용해야 하는데 오르내리며 무릎 쓰는게 내키지 않기도 하고요.


전 요리 하기를 즐기는 편이 아니지만 주방은 밝고 넓고 수납공간이 많아야 할 것 같아요.

손 닿는 곳에서 착착 꺼내고 넣고 ㅎㅎ



IP : 218.55.xxx.60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4.24 10:53 PM (118.38.xxx.144) - 삭제된댓글

    싱크대 할때 손 닿지 않는 곳은 죽은 공간같아서 과감히 포기했어요
    자주안쓰는거 넣어 놓는다고 해도 그런건 그냥 계속 안써지더라구요

  • 2. 라일락사랑
    '16.4.24 11:00 PM (175.113.xxx.180)

    저도 손닿는 곳 딱 한군데 빼곤 다 비웟어요 전세라 고칠수도 엄꼬!

  • 3. 씽크대
    '16.4.24 11:01 PM (218.55.xxx.60)

    좀 전에 다른 사이트에서 씽크대 상부장의 효율적 수납이란 글과 사진을 봤는데
    퍼오기가 안 되어서 못 가져왔어요.
    깔끔하고 훌륭한 수납이긴 한데 전 무너질 까 겁나더라구요.

  • 4. ...
    '16.4.24 11:02 PM (175.115.xxx.38)

    저도 싱크대 상부장 무너질까봐..그릇 많이 안넣어요.다른 집들 가면 접시며 가득가득 넣어놨는대 그거 보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있더라구요..근데 또 주변에서 상부장 떨어졌다는 말은 들은적이 없긴 하네요.^^;

  • 5. 어느 블로거
    '16.4.24 11:05 PM (211.33.xxx.72) - 삭제된댓글

    상부장 떨어져서 보행기 타고 있던 딸아이 저세상 보낸 얘기 인터넷에서 봤어요. ㅠㅠ
    그 다음부터 상부장에 가벼운 플라스틱 종류만 넣어 놓아요.

  • 6. 저 어렸을때
    '16.4.24 11:10 PM (211.201.xxx.147)

    주방의 상부장 떨어져서 그릇들 많이 깨졌던거 기억나요.
    다행히 사람이 주방에 없을때 떨어져서 다친 사람은 없었지요.
    그 집은 좀 오래된 주택..그 다음해에 새로 지으려고 했던 집이라 좀 오래된 주택이긴 했어요..

  • 7. ...
    '16.4.24 11:14 PM (175.115.xxx.38)

    댓글들 보니 무너지는 경우가 있나보네요. 무거운것 뭐 넣어둔것 없나 살펴봐야 겠어요.

  • 8. 오잉꼬잉
    '16.4.24 11:23 PM (180.228.xxx.106)

    저의집 무너졌어요. 씽크대 7년만에요. 전 끝부분에 도자기류 그릇을 둬서 무너진것 같아요. 아예 전부 뜯고 타일다시 붙이고 상부장ㅈ없이 살아요. 그런데 지금은 너무너무 만족하고 살고 있어요.

  • 9. ,,
    '16.4.24 11:36 PM (121.254.xxx.94)

    주택 지을려고 여기저기 구경도 많이 다니고
    인터넷도 많이 들여다 보고 했는데..
    살림 많지 않고 상부장이 있는것의 불안함과 답답함 때문에 안하는 사람도 많더군요.
    그런데 이분들의 특징은 후드가 있어도 창을 넓게 하거나 여유있게 낸다는것이였어요.
    한결 주방이 밝고 환기도 잘되고 여류로워 보이고 좋았답니다.
    아파트라면 어쩔 수 없는점이 있겠네요.
    저도 지금은 상부장에 혹시나 무너질까 하는 염려때문에 빈 플라스틱 통만 넣어두고 있습니다.

  • 10. ....
    '16.4.24 11:58 PM (43.251.xxx.122)

    가벼운거 위주로 둬요

  • 11. ...
    '16.4.25 12:00 AM (112.149.xxx.183)

    무너지는 경우 더러 있더군요. 전 아무것도 모르고 꽉꽉 올려 수납했다 친정 엄마한테 뭘 모른다, 큰일난다..그러다 무너진다 욕 먹고;; 몽땅 아래 수납장에 넣고 상부엔 최소한도, 플라스틱 통만 있어요..

  • 12. 전에
    '16.4.25 6:28 AM (180.70.xxx.236)

    신발장 무너져서 초등생 아이 둘이나 ㅠㅠ 절대 씽크대 위쪽에 물건 무거운거 두지 마세요. 무너지면 신발장 만큼이나 위험해요

  • 13. 차라리...
    '16.4.25 8:26 AM (218.234.xxx.133)

    상부장 없애고 차라리 전체 장을 짜 넣는 게 수납면에선 좋지 않을까 싶어요.
    개수대/가스레인지 있는 공간 위에 상부장 두는 건데, 창 있는 쪽에 개수대/레인지를 놓고(상부는 창)
    다른 편에 책장이나 옷장처럼 붙박이 수납장을 만들어 넣는 편이 훨씬 많이 들어갈 듯해요.

    저는 상부장에 있던 그릇 다 꺼내서 다른 곳에 넣었어요. 5년차 새 아파트인데 상부장 문짝이 계속 어긋나는 거에요. 경첩 문제인가 싶어 잘 조절해서 맞춰놓아도 다시 또 그래요. 겁나서 상부장 그릇 다 빼고 다시 문 맞췄는데도 시간 지나니 또 그러네요.(상부장 비어 있는 상태에서도요)

  • 14. ...
    '16.4.25 8:40 AM (175.121.xxx.16) - 삭제된댓글

    플라스틱류나 하여간 안깨지는 거 수납해요.
    무거운건 무서워서 못 넣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2794 창문만 열면 공기청정기가 미친듯이 돌아가요. 6 .. 2016/05/30 3,529
562793 캠핑.. 요즘도 좋아하시는분 계세요? 9 ㅇㅇ 2016/05/30 2,507
562792 디마프 안볼랍니다-- 3 00 2016/05/30 4,760
562791 파리 여행 질문드려요 3 여행자 2016/05/30 988
562790 노무현 대통령 첫번째 다큐 2 기록 2016/05/30 954
562789 8살 딸아이 때문에 ..(원글내용 지웁니다.) 20 힘들다 2016/05/30 16,397
562788 부산 해운대 근처 쇼핑할만한 곳 어딜까요? 2 푸르른 나무.. 2016/05/30 2,332
562787 모래위 초록색 물결 대리석 인테리어 구경해보세요. ㅇㅇㅇ 2016/05/30 651
562786 중1아들이 여친 생겼다는데요.. 5 2016/05/30 1,658
562785 옷 반품하는데 너무 기분 나빴어요 14 hh 2016/05/30 6,029
562784 오해영 본방기다리는데 6 ㅋㅋ 2016/05/30 1,942
562783 국민연금 정말 재산 압류하기도하나요? 4 궁금 2016/05/30 2,188
562782 조들호는 사인처럼 또 본인을 희생시킬려 하나보네요 3 .. 2016/05/30 1,271
562781 역시 시댁식구 남이구나 싶었던 순간.. 31 그냥 2016/05/30 8,584
562780 엄마랑 상속때문에 기분 나빴어요 7 alice 2016/05/30 3,867
562779 제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3 흠.. 2016/05/30 1,080
562778 정신병자가 많아지는것같아서 무서운데.. ㅣㅣㅣㅣ 2016/05/30 774
562777 일반사업자가 투잡을 뛸 경우 2 사나 2016/05/30 1,393
562776 4살 여야 M자로 자꾸 앉아요 ㅠ 16 82쿡스 2016/05/30 5,353
562775 올메텍 고혈압약 드시는 분 3 대웅제약 2016/05/30 1,615
562774 초등학교 아이들 몇시에자나요? 9 수면시간 2016/05/30 1,843
562773 쇼핑홀릭♥ 이제 휴가 준비해요~ 5 들리리리리 2016/05/30 1,223
562772 응봉동 대림 1차 아파트 아는 분들~ 싸게 내놓음 팔릴까요. 1 . 2016/05/30 1,829
562771 전남 영광고 수준 어떤가요? 33333 2016/05/30 664
562770 문재인 양산집까지 찾아온 광주시민들 20 감동입니다... 2016/05/30 9,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