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근데 그냥 공부보다 기술 설계 이런쪽이 더 어렵지 않나요?

dsfd 조회수 : 1,190
작성일 : 2016-04-05 16:30:58

어렸을때보면 공부못하는애들이 공고 실업고 가잖아요

그리고 전문대 무슨 입결낮은 대학일수록 기술쪽에 초점이 맞춰져있는데

사실 문과보다(경제학 빼고) 기술이나 설계쪽이 더 어렵지않나요?


근데 왜 공부못하는사람일수록 이런쪽으로 빨리 길을 틀거나 빠지는걸까요?

고등학교도 일반고가서 중학교때배운거 좀더심화해서 배우는게 더 수월하지않나요?

그리고 공고 전문대 이런데서 가르치는 기술 설계같은게

 공부못하는애들이 따라갈수 있는 그런수준인건가요?

진심 궁금합니다. 중고등때 공부못하던애들 기술 설계쪽으로 빠져서 밥벌이하고 사는사람들


어떻게 중고등학교때 공부는못했는데 그 복잡한 설계도는 익혀서 돈은 버는걸까요?

설계도도 보면 엄청나게복잡한데 그런애들이  하는거보면 신기해서요

(물론 설카포 넘사벽 공대도 있지만요)

알보고면 간단하고 빨리배우고 그런건가요?

IP : 221.238.xxx.2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oops
    '16.4.5 4:34 PM (121.175.xxx.130) - 삭제된댓글

    기능과 기술의 차이겠죠.

    공업계 실업고 등에서 가르치는 기술이란 건 사실 거의 대부분 기능영역이죠.

  • 2. ㅎㅎ
    '16.4.5 4:36 PM (220.85.xxx.210) - 삭제된댓글

    기능이되면 기술도 늘겠지요
    이론으로 먼저 접하는것보다
    현장에서 체득하고 나면
    설계도가 저절로 머릿속에 들어올것같은데요
    우리도 음식 해 본것과 설명만 듣는것과 다르듯
    좀 해본사람은 설명만으로 응용도 된다는거

  • 3. oops
    '16.4.5 4:40 PM (121.175.xxx.130)

    기능과 기술의 차이겠죠.
    공업계 실업고 등에서 가르치는 기술이란 건 사실 거의 대부분 기능영역이죠.

    예를 드신 설계도 경우에도
    그런 설계도를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걸 그려내는 게 기술영역이라면
    기능영역에선 이미 작성된 설계도를 읽어내는 요령이나 규칙?같은 걸 익히는 것이죠.

  • 4. 윗님
    '16.4.5 4:58 PM (119.14.xxx.20)

    말씀이 얼추 맞고요.

    기능은 실물 가지고 반복적으로 익히면 습득가능하잖아요.
    유추해내고 뭔가를 창조해내야 하는 분야가 아니니까요.

    아마 공고에서는 그 기능을 중점적으로 배울 거예요.

    하지만, 그 기능습득이라고 쉬운 건 아닐테고, 성실이 바탕이 돼야 숙련공도 되고 하겠죠.
    그렇게 일단 숙련공 되고 성실하면 잘 먹고 잘 살 수 있어요.

    그러니 어른들이 공부 안 되면 기술 배우라 하는 거고, 그 때 말하는 기술은 기능을 얘기하는 경우가 많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9112 제20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정당별 득표, 더민주 37.5% 1위.. 4 샬랄라 2016/04/15 950
549111 만약에 결혼할 사람이 1 2016/04/15 2,435
549110 6세 아이가 한말인데요.. 6 익명中 2016/04/15 2,743
549109 용인 어린이집 사망사고 너무 안타까워요.. 6 읽어주세요 2016/04/15 6,985
549108 호남 민심은 이겁니다. 34 ..... 2016/04/15 3,867
549107 나라를 팔아먹어도 새누리 33.5% 5 2016/04/15 1,094
549106 인제 기대돼네요 1 gg 2016/04/15 541
549105 김종인 욕하는 것 보니 역시 뒤통수 전문당 맞네요 16 참나 2016/04/15 1,697
549104 기본적인 도덕심도 없는 조.중.동 2 없애는방법이.. 2016/04/15 578
549103 고무나무식탁, 아카시아 원목 식탁 4 식탁 고민 2016/04/15 4,253
549102 갑자기 모르겠어요 이거 맞는 말인가요? 2 영어가 2016/04/15 543
549101 다시보기 사이트 좀 가르쳐주세요 1 ㅇㅇ 2016/04/15 2,181
549100 오늘 들은 빵터지는 얘기 3 ㅇㅇ 2016/04/15 3,743
549099 음란마귀 씌인날 7 .. 2016/04/15 3,551
549098 리모델링한 집 안나간다던 ...(비법대로 했더니 나갔음) 6 /// 2016/04/15 5,366
549097 평소에 복식호흡하세요? 2 .. 2016/04/15 1,291
549096 반신욕기 있는 집. 자주 사용하시나요? 2 반신욕 2016/04/15 1,658
549095 무서운 영화를 보고 나오니 힘드네요.. 9 힘들어요 2016/04/15 4,155
549094 성격이 서로 같아야 잘사는거죠 7 결혼 2016/04/15 2,194
549093 요즘 러그 까는 인테리어 유행이던데 먼지는 어떻게 해결하는것인지.. 7 ... 2016/04/15 3,987
549092 중학생 자녀두신 학부모님들만.. 11 2016/04/15 2,697
549091 김어준. 김용민. 이동형 이런 인간들은 정치평론 하지 말아야.... 23 .... 2016/04/15 3,890
549090 해법경시 5월에 있는것 문의드려요 2016/04/15 529
549089 친정엄마 얘기 7 hakone.. 2016/04/15 2,446
549088 연어샐러드에 연어 어떻게 재우는건가요? 3 .. 2016/04/15 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