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1층 이사와 방음시설에 대한 문의

매지션 조회수 : 2,127
작성일 : 2016-03-08 11:01:36
저희집에 4살이지만 2살 반정도나이인 남자애, 9살남자애
가 있습니다.

둘째가 요즘 좀비수준이죠. 혼내도 바로 화내며 후다닥 뛰어가버리는 그런 나이요.

저녁 늦게 외출 거의 안하고 손님초대하면 또래 손님들까지 오니 층간 소음 신경쓰여 밤에 손님초대 한번 안하고 애들 9시면 누워 자게 했어요. 그런데 . , . .

얼마전 이사오신분들이 정말 못살겠다며 여러차례 말씀하시더라구요
층간소음의 주범이 된거죠. 저희집 50평대인데 삼둥이 매트 다 깔려있어요. 매트따윈 도움이 안되나봐요.

아이가 움직이기만해도 제가 가슴이 졸아들어요. 그래서 집에 잘 안들어가요.

아파트 1층으로 이사가고 싶은데 1층 단점이 그렇게 많나요? 필로티 구조에 1층,즉 2층은 좀 괜찮지않을까요?

살아보신분들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저희소리에 넘 집중하니 윗집 소리가 더 크게 들리기 시작했어요. 며칠째 대학생 된 윗집 총각이 운동을하는지 새벽2시까지 다다닥 다다닥 쿵 해서 잠을 못자요.
정신병일까요? 꽂혀서 더 크게 들리는. 제가 소머즈가 된것같아요. 건진할때 청력 나빠져서 점점 가는귀 먹을꺼라던데. . ,

이사가면 윗집에 신경안쓰게 방음시설도 할까 싶은데 차단이 될까요?

이럴꺼면 주택가라. . . . 저도 그럴까싶은데 애들이 어려서 통학부터 모조리 차량이동은 엄마가 해야한다고 해서 결정이 쉽지않네요.

1층과 방음시설로 맘편하게 살수있을까요?
IP : 117.111.xxx.10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3.8 11:04 AM (114.204.xxx.212)

    단점에도 불구하고 아이들 위해선 가심이 좋죠
    해가 잘 드나 보고 윗층 누가 사나 확인 하시고요
    천정 방음시설은 아래위층이 같이 하면 낫다고 하는데 ...

  • 2. ...
    '16.3.8 11:15 AM (110.35.xxx.98)

    많은 사람들이 애들 뛰는 소리가 커 봐야 얼마나 클까 생각하시는 분 많으실텐데
    애들은 체중을 다실어 뛰기 때문에 소리가 정말 장난이 아니예요.
    소리잠이나 매트깔아도 전혀 도움안된다고 생각하심 되요.
    매트 같은건 뭘 떨어뜨리거나 하는 소리는 잡아주지만 뛰는건 전혀 막질 못해요.
    매트 깔았다고 마구뛰는 분들 계시던데 정말 답답해요.
    그냥 1층으로 이사가시는게 나을거예요.
    집이 자가시면 전세를 주고 전세를 살거나 하는 방법으로.....
    저도 윗집에 5~7세로 추정되는 여아 두명있는 집 이사오고 사는게 지옥이예요.
    하루종일 쿵쿵쿵쿵 콩콩콩콩 두두두두두 다다다다 쿵 쾅 쿵 쾅.......
    본인들은 그게 아랫집을 괴롭힌단걸 모르나봐요.
    그렇게 몇번이나 얘기했는데도 계속하는걸 보면....답답합니다.
    전 애들 어릴때 아파트 1층 전세로 살았어요.
    춥고 습하긴 하지만 장점도 있고 애들 클때 몇년 사는 정도면 살만합니다.

  • 3. 매지션
    '16.3.8 11:40 AM (117.111.xxx.103)

    네 점세개님
    제 애가 체중실어 뛰는걸 엄마인 제가 옆에서보고 있어도 장난 아니란걸 알 수 있어요. 그래서 집에 있질 못하겠네요. 춥고 습하군요. 그래도 1층이 맘편하긴 하겠네요

  • 4.
    '16.3.8 12:13 PM (14.39.xxx.117) - 삭제된댓글

    1층에서 뛰어도 위층으로 소리가 올라가긴 해요. 제가 3층 사는데.. 1층 아이들 친구들까지 와서 뛰면 그 소리 장난 아니게 올라온답니다. 그렇지만, 바로위층에서 뛰는소리처럼 괴롭지는 않으니 뭐라고 1층에 말해본적은 없어요.
    아무튼 원글님은 1층으로 이사가시는게 마음의 평화를 위해 좋으실것 같아요.
    위층 총각 발소리 들리는 부분은 원글님이 워낙 예민하게 소음에 신경쓰다보니 지금 귀가 열려시셔 그런건데요. 1층 살며 좀 마음이 편해지시면 괜찮아질수도 있어요.. 어쨌든 1층 소리도 위로 다 올라가니 그건 참고하시구요.

  • 5. 미르
    '16.3.8 12:14 PM (14.39.xxx.117)

    1층에서 뛰어도 위층으로 소리가 올라가긴 해요. 제가 3층 사는데.. 1층 아이들 친구들까지 와서 뛰면 그 소리 장난 아니게 올라온답니다. 그렇지만, 바로위층에서 뛰는소리처럼 괴롭지는 않으니 뭐라고 1층에 말해본적은 없어요.
    아무튼 원글님은 1층으로 이사가시는게 마음의 평화를 위해 좋으실것 같아요.
    위층 총각 발소리 들리는 부분은 원글님이 워낙 예민하게 소음에 신경쓰다보니 지금 귀가 열려서 그런건데요. 1층 살며 좀 마음이 편해지고 귀가 좀 둔해지면 괜찮아질수도 있어요.. 어쨌든 1층 소리도 위로 다 올라가니 그건 참고하시구요

  • 6. 매지션
    '16.3.8 12:25 PM (117.111.xxx.103)

    네 미르님
    소음이란게 그렇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1층에가서 방음시설도 할까 싶어요

  • 7. 저는....
    '16.3.8 1:38 PM (112.172.xxx.133)

    저는 다른이유로 아파트 살다가 빌라 필로티2층으로 이사왓어요.
    밑은 주차장이고 바로위에 있지요.
    빌라의 단점은 아무리 새건물이라해도 겨울에 결로는 어쩔수 없나봐요.
    엄청 단열에 신경써서 지은것은 알겟는데 끝부분의 방은 많이 춥고 결로도 잇습니다.
    또 1층이다 보니 햇볕을 보기 힘들어요...(저희집 특성일수도 있고요)
    아무래도 다닥다닥 붙어있어서...

    위층에 같은 또래 엄마가 사는데 밤이고 낮이고 빨래는 어찌나 해대는지...
    그래도 아파트보단 애들 뛰어놀게 할수있어 좋아요.
    아파트나 빌라나 서로서로 조심하면 큰문제없을 듯 해요.

  • 8. 귀가
    '16.3.8 4:05 PM (121.147.xxx.170)

    글쓴분 증상 보니 귀가 트였네요. 아마 아래층 소음피해갈까봐 내 집 소음에 예민해져서 일일이 신경 쓰다보니 예민해져서 귀가 트인 겁니다. 귀가 트이면 그전까지는 무심코 들었던 오만 잡소리까지 다 귀에 쏙쏙 박혀서 사람 환장해요. 보통 층간소음 피해 당한 사람들이 귀가 대부분 트여서 피폐해지는데 글쓴분은 너무 신경 쓰다보니 귀가 트인 상황 같네요. 매트 경우는 어른이 발꿈치 좀 찍는 경우에 약간 도움되고 물건 떨어지는 소리는 보완이 되는데 애들 대놓고 체중 싣고 뛰는 건 못 막아요. 기왕이면 주택 가시는 게 좋죠. 글쓴분도 귀가 트여서 설사 1층에 산다고 해도 만약 2층에 층간소음 심하게 내는 사람이 이사올 경우 이미 글쓰눈 귀가 트여서 귀 안 트인 사람보다 몇배로 더 힘드실 거예요. 정 아파트 가신다면 그래도 1층이 마음은 좀더 부담이 없겠죠. 머리 위에서 쿵쿵대는 것보다는 그나마 조금은 나으니까요.

  • 9. 저는
    '16.3.8 4:07 PM (221.153.xxx.228)

    2층 사는데 1층이 어린이집이예요.
    윗집엔 에너지 많은 남자아이 살구요.
    저는 아이 없고 강아지 2마리랑 하루종일 집에
    있는데 많이 시끄럽진 않아요.
    방음시설이 잘 된편이라 그래두 다행인데요.
    간혹 잘 지어진 아파트가 있더라구요. .
    그런 아파트를 찾아보시고 1층으로 가시면 맘 편할거예요 ㅎㅎ

  • 10. ...
    '16.3.8 9:21 PM (211.172.xxx.248)

    1층의 단점은 돈으로 어느 정도 카바가 돼요. 그리고 일층만의 안정감, 장점도 또 있어요.
    1층도 입지에 따라 소음이나 사생활보호, 도난 위험 등등이 다 다르구요.
    사서 수리하면 한 십년은 맘편하게 사실테고, 그 담엔 또 일층 찾는 사람에게 팔면 되지요.

  • 11. 매지션
    '16.3.8 10:21 PM (112.160.xxx.137)

    네 귀가 트여서 진짜 괴롭고 저희때문에 이러하실 아랫집분들께도 너무 죄송해요
    말씀해주신것처럼 1층집을 잘 찾아봐야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3028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교무실에서 발급해주나요? 5 증명서 2016/03/29 822
543027 세월호 2차 청문회 2일차 (오전분 재방중) 2 팩트티비 2016/03/29 357
543026 암보험의 불편한 진실 10 ㄴㄴ 2016/03/29 4,841
543025 82cook 모바일 배너 광고 이희* 닷컴 넘 이상하네요 1 핸드폰 2016/03/29 939
543024 대상포진 경험자분께 여쭤요. 8 .... 2016/03/29 2,358
543023 조울증환자 가족분들 조언좀 부탁드립니다.글이 길어요. 16 고민 2016/03/29 7,166
543022 혹시 보물단지 된장 아는분 계세요 2016/03/29 2,490
543021 중1 수학 여쭙니다. 8 수학 2016/03/29 1,256
543020 전업주부, 국민연금 가입하신분? 48 ... 2016/03/29 3,593
543019 82님들 25평 부모님 쓰실 쇼파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쇼파추천 2016/03/29 2,160
543018 원주로 이사해요. 7 쾌할량 2016/03/29 2,506
543017 40대초반 미혼여자분들 이럴경우 결혼 할수 있으세요? 28 ㅡ두 2016/03/29 7,975
543016 닭백숙에 있던.... 고기만 남았어요ㅠㅠ 15 질문 2016/03/29 2,133
543015 직구싸이트에서 구매하려는데요 직구싸이트 2016/03/29 490
543014 국회의원 4년에 국회신기록을 세우신 안철수의원님. 16 멋지심 2016/03/29 1,732
543013 춘천, 더민주 허영 후보로 후보단일화 성공 4 샬랄라 2016/03/29 885
543012 까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질문 드려요 5 ... 2016/03/29 755
543011 회사 창립 기념일 이라면 선물 뭐 받고 싶으세요 9 두롱두롱 2016/03/29 1,644
543010 강아지한테 얼굴할퀸게 계속짜증나요! 19 따가워 2016/03/29 5,147
543009 한살림물품같은 친환경재료로 만든 반찬가게~ 11 반찬가게 2016/03/29 2,608
543008 문재인에게 아직 지원을 요청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할 계획이 없.. 8 양향자 측 2016/03/29 1,051
543007 반모임 밤에 하시나요? 13 2016/03/29 3,029
543006 백화점 옷 인터넷으로 파는건 싸구려 뿐이에요 26 경험 2016/03/29 8,029
543005 분노가 치밀어 오를때가 있어요 3 후.. 2016/03/29 1,406
543004 저도 덕담한마디 아래 댓글보.. 2016/03/29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