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국 이민

차이나 조회수 : 6,126
작성일 : 2015-10-04 23:31:53
중국 이민을 생각중인데 혹시 지인이나 본인이

중국으로 이민 가신분 있으시면 아무 조언이라도 듣고 싶습니다.

한국에서 시간을 좀 갖고 준비 하려고 하는데 중국에서 외국인이 살

때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IP : 125.178.xxx.15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4 11:43 PM (27.10.xxx.7)

    어느 지역 어떤 일로 왜 가시고 싶으신건지...
    한국인이 많냐 사업이냐 취직이냐 교육문제냐 등등 알아야 답변이 가능할 듯요

  • 2. 차이나
    '15.10.4 11:46 PM (125.178.xxx.159)

    지역은 광저우 쪽으로 일단 생각중이고
    중국인 상대로 장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 3. 광저우
    '15.10.5 12:02 AM (114.205.xxx.184)

    굉장히 더운 곳으로 가시는군요. 더운건 각오하셔야 해요. 광저우 밑이 둥관이고 둥관 밑이 션쩐(심천)이고 그 밑이 홍콩인데 그 벨트에서는 션쩐이 제일 살기는 좋은 것 같아요. 둥관은 중국제일의 음란지옥이었는데, 새로 부임한 광동성장과 시진핑이 대대적인 단속을 벌인 이후에는 거의 없어졌죠. 광저우는 중국 짝퉁시장의 메카에요. 뭘 파실지는 모르겠으나, 중국어 공부 계속 하셔야 하고 현지문화 익히지 않으면 안되고요. 중국가서 몇년 지내고도 중국어를 못하는 한국인들이 많아요. 한국사람들과만 지내다보니. 한심하죠. 중국이 위험하다는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떠돌지만 딱히 한국보다 위험한거 없어요. 그런데 처음에 몇년 살아보고 가시지 보아하니 중국에 대해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 덜컥 이민부터 생각하시나요? 중국은 살기는 상하이가 제일 좋죠. 아무튼 쓰촨, 윈난, 광시, 신장위구르, 티벳 이런데 가시면 어마어마한 자연을 경험하시게 될거에요. 미국, 호주, 북유럽 같은데 갈 필요가 없는.

  • 4. 차이나
    '15.10.5 12:15 AM (125.178.xxx.159)

    답변 감사합니다. 중국어는 계속 공부중이고 외국 3개국에서 십여년 살았던 경험이 있어서 현지어가 얼마가 중요한지는 잘 알고 있습니다.

  • 5. --
    '15.10.5 12:29 AM (180.157.xxx.193)

    우선 중국에 이민제도가 있나 모르겠네요.
    중국에서 10년, 20년 넘게 체류하시는 분들도 대부분 장기체류지 이민은 아니거든요.
    장기체류하려면 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일정 조건이 필요해요.
    중국에서 직장이 있거나 일정 규모 이상 사업을 해야 비자가 나오는데 생각보다 까다로웠어요.
    요즘 한류 바람을 타고 한국 프랜차이즈 카페나 식당, 상점이 정말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
    중국인 주머니에서 나오는 돈 벌기는 참 어려운 것 같더군요.
    참, 광저우는 광둥어를 쓰는 곳이에요.
    표준어를 써도 통하긴 하지만 광둥어를 알아듣지 못하면 소통이 답답할 때가 있더군요.

  • 6. ..
    '15.10.5 12:46 AM (175.223.xxx.80)

    중국인들 상대로 무슨 장사를 하실 계획이신가요?

    중국에서 수년동안 거주하며 일한 경험이 있으신지요?

    경험 없으시다면 중국에서 한국인들 상대로 장사를 하는 것이면 몰라도 중국인들 상대로 하는 것 왠만하면 말립니다.
    일단 여전히 외국인들 독자회사 설립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중국 공무원들 접대도 해야하고 법규 지켜가며 돈버는 거 만만치 않아요.
    현지인 도움 필요한데 대부분 사기꾼이고요.

    꼭 중국에 가셔야하면 광주나 심천 쪽 대학에 어학연수 일년간 하시면서 현지 분위기나 문화 경제 어떤지 배우시고요.
    그 곳 한국업체 현지 취업해서 최소 삼년간만 일해보세요.
    어떻게 해야할 지 보이실거예요.

    중국에선 되는 일도 없고 안되는 일도 없다고 해요.
    거기서 살아보시면 그 말이 어떤 의미인지 감이 오실 거예요.
    제가 중국에서 일할 때 십년 동안 일했던 직원 하나가 나가서 사업체를 차렸어요.
    나중에 그 직원이 일하던 업종이라 자신있었는데 피가 마르고 잠도 못잔다고 하소연하더군요.

    중국인들 채소 하나를 사도 꼼꼼히 손으로 만져보고 사요.
    한국인들은 중국 사람들 물건 팔고 사는 수완 못따라가요.
    이마트가 왜 중국에서 실패했는지 잘 연구해보세요.
    조선족들 가능한 쓰지말고 십년 이상 거래한 중국 업체라도 절대 믿지 마시고요.

  • 7. ..
    '15.10.5 12:50 AM (175.223.xxx.80)

    중국 경험없이 무작정 뛰어든다면 그냥 돈 버리는 거예요.

    한국에서 궁리하지 마시고
    일단 중국가서 시장상황 살피고 경험부터 쌓으세요.

  • 8. **
    '15.10.5 1:10 AM (180.158.xxx.176)

    중국은 이민이 없어요. 위에 댓글 쓰신분 말씀대로 장기체류 비자를 받던 해서 갱신해서 살아야하는곳이지요. 중국에서 회사 다녀보시며 경험해보시고 도전하시는건 어떨런지...
    한국에서 여행 다녀오신분들이 하는 얘기, 언론에 보이는 중국의얘기
    실제와는 다른 부분 많습니다.
    네이버 카페에 가보시면, 중국에서 자영업하시는분들의 카페, 중국 관련 동호회가 많습니다.
    가입해서 읽어보시면 아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실듯해요.

  • 9. 차이나
    '15.10.5 1:22 AM (125.178.xxx.159)

    여러 조언들 감사합니다. 공부 더 많이 해야겠네요.

  • 10. 위에
    '15.10.5 9:42 AM (218.233.xxx.2)

    광저우에서 광동어가 쓰인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근거없는 말은 하지 마세요. 광저우도 요즘 광동어 잘 안쓰고 홍콩 빼고는 보통화로도 다 통해요. 중국이야 워낙 방언이 많아서 보통화 하나로 소통이 쉽지 않은 곳이 있지만, 광동어를 배우는건 시간낭비에요

  • 11. --
    '15.10.5 9:56 AM (116.231.xxx.122)

    물론 표준어인 보통화를 모르는 상태에서 광둥어부터 배울 필요는 없죠.
    한국에서 광둥어를 배울 방법도 없구요.
    하지만 중국인 대상으로 사업을 하신다니 알아는 두시라고 말씀드렸습니다만...
    상대가 외국인인 걸 알면 표준어로 얘기하지만
    나는 보통화만 할 줄 아는데 상대방끼리 광둥어로 말하면 답답하더군요.

  • 12. 샤방샤방
    '15.10.5 11:32 AM (49.77.xxx.97)

    현재 중국에 있는데요..
    광저우는 남쪽이라 덥기도 하고 거긴 사기꾼이 많다고 들었어요..
    아무래도 도시가 크니 인간도 많고 사기도 많겠죠..
    암튼 제일 치안도 안좋다고 들었어요..
    제가 있는곳에서 보니 한국인지 조선족인지 음식업으로 장사가 잘되기도 하더라구요.
    공략을 잘하셔야 할듯요,
    그런데 조선족인지 중국말도 잘하시고 중국에 오래 사신분도 사기인지,
    가게를 매매해서 열었는데 몇달후 그 건물을 부시는 상황이라 할수 없이 접은걸 보았어요..
    중국인들은 굉장히 양심이 없더라구요..
    잘알아보시고 하셔야 합니다.
    중국에 나오면 한국사람이 많긴하고 한국음식점이 있긴해요.
    북경,상해,남경,소주,무석,광주,서안등 한국사람도 많을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9417 수능날 도시락 샌드위치 어떤 것이 좋을까요? 6 고3 2015/11/09 1,547
499416 청심환 불안할때 먹으면 4 2015/11/09 2,060
499415 둥글둥글한 파마 이름이 뭘까요 3 ㅇㅇ 2015/11/09 1,836
499414 남편이 퇴사 예정인데, 이래저래 많은 생각이 드네요.. 6 tt 2015/11/09 3,579
499413 직장... 자아실현이라고 하기엔 너무 거창하고 집에 있는게 너무.. 8 ........ 2015/11/09 2,042
499412 bb크림, cc크림 어떻게 다르고 뭘 선택 해야 하나요? 49 ........ 2015/11/09 3,277
499411 위안부 할머니들 ‘생활비’ 끊는 정부 12 세우실 2015/11/09 1,472
499410 요즘 파리 날씨가 어떤가요-? 3 11월 2015/11/09 1,104
499409 조성진 방송한거 뭐뭐있나요? 6 ㅇㅇ 2015/11/09 1,259
499408 통계청 인구조사원 저도 소름요 49 컨피던셜!!.. 2015/11/09 4,579
499407 스스로 안하고 시키기 힘든 아들 49 너무 힘들어.. 2015/11/09 1,468
499406 꾸미기 좋아하는 언니도 나이가 드니.. 7 나이들어 2015/11/09 4,113
499405 제주도 게스트하우스에서 배드버그 물렸습니다 14 파란하늘 2015/11/09 7,609
499404 중학교 절대평가 성적 여쭤봅니다 3 리아 2015/11/09 2,714
499403 재수하면 내신 영향 안 받나요? 9 재수 2015/11/09 3,469
499402 추위에 떠는 난민들 빨리 숙소 달라…베를린시 고소 2 이른추위 2015/11/09 1,217
499401 쌀벌레 퇴치법 알려주세요. 2 계란 2015/11/09 1,115
499400 자녀의 직업으로 의사와 변호사중에 14 ㅇㅇ 2015/11/09 4,220
499399 제발요, 100만원초 예산, 첫 명품백 골라주세요 ^^; 49 데이지 2015/11/09 3,458
499398 전에 살던 동네 엄마가 카톡으로 놀러온데서... 12 000 2015/11/09 5,314
499397 봉지굴이랑 그냥 팩에 들은 굴이랑 무슨차이에요?? 1 2015/11/09 1,285
499396 독신과 죽음 9 2015/11/09 3,798
499395 여자도 직장생활 꼭해야한다..! 외쳤던 사람인데 49 직장 2015/11/09 2,219
499394 남편이 오피 다녀왔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47 휴.. 2015/11/09 30,354
499393 '비밀투성이' 국정교과서…집필진 '초빙' 늘리나 3 세우실 2015/11/09 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