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애가 용돈을 잃어버렸어요

초5아들엄마 조회수 : 2,670
작성일 : 2014-11-18 19:11:06
달래주시나요? 혼내시나요?
2주쯤 전에 5천원을 잃어버렸는데 그날
속상해서 울더라고요
안됐어서 주의하라하고 위로했는데
오늘 또 그랬네요
게임기를 뽑겠다고
200원 짜리 뽑기를 7000원어치 할 생각에
잠바주머니에 넣고 가다 흘렸나봅니다
전화해서는 떼쓰고 뽑기뽑아 달라는데
이 녀석 어쩌죠?
오늘은 단단히 혼을 내야할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좀 잘 챙기고 조심할까요?
IP : 61.80.xxx.53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이
    '14.11.18 7:13 PM (175.121.xxx.181)

    얘기에는
    나이와 성별을 적어주셔야 합니다.

  • 2.
    '14.11.18 7:14 PM (211.36.xxx.10)

    애가 몇살인가요?

  • 3. 초5아들엄마
    '14.11.18 7:15 PM (39.7.xxx.158)

    라고 닉넴에 나와있는데

  • 4. 초5 아들이라고
    '14.11.18 7:15 PM (111.118.xxx.140)

    닉에 나와있네요
    용돈 관리요령을 교육하는게 우선순위같음
    7천원어치 뽑기!!!!!헉!!!!

  • 5. ..
    '14.11.18 7:17 PM (211.109.xxx.242) - 삭제된댓글

    부모가 잘못했네..

  • 6. 아이
    '14.11.18 7:21 PM (175.121.xxx.181)

    전 중1아들 키우는데
    저희앤 뭘 잃어버리지를 않아서..
    초1때 사준 가방을 지금도 소중히 간직하는 아이라서...

    아이마다 성향이 다릅니다.

    님 아들같은 성향의 아이는 안키워봤습니다만.
    일단 상습범? ㅋ 이네요.

    애를 혼내기전에...집안 환경이
    좀 물건을 잘 잃어버리거나,,허술히 다루는 분들이 있지않을까...싶네요.

    아이구..하여간 복잡하네요.
    남 가정사를 알아야 이건 좀 해결 가능한 문제라.
    부부간에 이 일로 대화를 해보시고

    부부와 아이 3명이 모여 또 대화를 해보세요.
    각자의 가정이 처한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요.

  • 7. 잃어버리는건
    '14.11.18 7:22 PM (39.7.xxx.158)

    어른도 하는실수니
    조심시키식고
    뽑기도 한때더라구요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마시고
    야단치지마시고
    좋은말로 타이르세요

  • 8. 그냥
    '14.11.18 7:33 PM (211.207.xxx.205)

    그냥 성향이에요.. 윗분 말씀처럼.......... 저희 남편은 어렸을때 물건을 자주 두고 다니고 잃어버리고 했다는데 지금도 똑같아요. 심지어 차키 조차도...

  • 9. 저라면
    '14.11.18 7:34 PM (121.144.xxx.56)

    용돈 잃어버려 속상한 마음은 위로해주고 관리를 제대로 할줄 모르니 앞으로는 용돈을 주지 않겠다 하겠어요.
    돈은 버는것도 힘들지만 쓰는것도 심사숙고 해서 써야 하고, 잃어버리지 않게 잘 간수해야 하는데 뽑기를 하겠다고 7천원이나 들고 간것은 돈을 그냥 버리는 것과 마찬가진데 잃어버린것도 모자라 떼까지 쓰는 것은 잘못된 행동임을 일깨워 줘야지요.

    먹고싶은것, 하고싶은 것 모두 다 하는 사람은 짐승과 같아요. 제대로 된 어른이 되려면 절제하는 법부터 배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용돈이 필요하면 집안일을 거들어서 네가 벌어서 써라 하겠습니다. 힘들게 벌어봐야 돈 아까운 줄 알죠.

  • 10. 아이
    '14.11.18 7:38 PM (175.121.xxx.181)

    근데....돈을 그냥 주머니에 넣어가면 안돼요.
    저는 아들에게 어릴때부터
    돈을 주머니에 그냥 넣으면 미끄러워서
    돈이 올라와서 빠져버린다.

    전 아들이 돈 넣어갈때는 항상
    지퍼있는 주머니나
    가방...등

    돈이 올라오지 못하게 단속 한번 하고 나가라고 해요.

    원글님도 천원짜리 돈 청바지 주머니 같은데 넣고 나가보세요.돈이
    슬슬 삐져나와서 도망가 버려요.
    실제로 주머니에 7만원 정도 넣어다니다가 잃어버린 아짐도 봤구요.

  • 11. 행복한 집
    '14.11.18 7:56 PM (125.184.xxx.28)

    다 쓰고 잃어버렸다고 하는거 아니여~
    그러고 모른척 오천원을 다시주면

    아이도 느끼는게 있지 않을까요?
    뽑기에 돈을 쓰는건 좀 아깝다라고 짦게 이야기해주세요.

  • 12. ...
    '14.11.18 7:56 PM (223.62.xxx.37)

    왜 엄마가 잘못한걸까요??

    전 그렇게 생각안하는데요..^^

    일단......
    많이 속상해한다면
    꼬옥 안아주고...

    도와줄걱 같아요...

    돈을 다시 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그게 아니여도 지지해줄래여..

    좋은 방법 생각해내시길 응원합니다

  • 13. ㅡㅡㅡㅡ
    '14.11.18 7:57 PM (49.174.xxx.58) - 삭제된댓글

    본인이 잃어버리고 떼를 쓰나요?
    용돈을어떤식으로 주시는지모르지만 용돈받을자격이안되는 아이같은데요?
    주당 얼마 정해두고 일급으로만 주세요

    용돈이란건 본인이 관리못했으면 그기간은 궁핍도스스로감당해야
    용돈받을 자격되는 겁니다

  • 14. 초5아들맘
    '14.11.18 8:00 PM (61.80.xxx.53)

    밥 먹으면서 다시 차근차근 물어보니 뽑기를 6천원 정도 하면 원하는 게임기가 나올것 같았대요 .
    가득 차 있는 것이 아니라 몇개밖에 없었던 거죠 .
    천원은 붕어빵 사먹고 나머지는 될때까지 해보려했대요.
    그렇게 갖고 싶은 게임기가 도대체 뭐냐 누군가 친구중에
    가진 아이가 있냐 물어봤더니 그냥 갖고 싶었대요.
    뽑기를 해도 원하는 것이 나오는 경우는 정말 거의 없다고 항상 말해줘도 귓등으로도 안듣네요.
    이 한 때가 얼른 지나가면 무서운 중 2가 될까요?
    남자형제도 없이 자랐는데 아들키우기 참 힘드네요.

    성향이 그래요. 급하고 못 기다리고 ... 어릴때 스티커모으기도 하려했으나 절대 성공한 적이 없었어요 .
    원하는 건 어떻게 해서든 꼭 얻으려하고.
    용돈은 한달에 오천원 줍니다.
    맞벌이라 늘 집에 간식이 있고 필요하다고 하는 건 다 사 줍니다.
    또 할머니나 어른들이 주신 용돈 잘 모아두는 편이에요.
    가끔씩 지갑보면 돈이 제법 모여 있어서 통장에 넣기도 합니다.
    벼룩시장 같은 곳에서 딱지같은 것 팔아봐서 자기 돈 소중한 것도
    돈 벌기 힘든 것도 안다고 생각했는데 ..
    제가 속상한 것 이상으로 저도 속상하겠지요 어떻게 모은 돈인데..
    지갑에 넣어다녀라 말했지만 안듣네요.
    잘못에 대한 지적보단 본인도 위로를 바라는 것 같은데 그게 잘 안됍니다. 휴
    댓글들 감사합니다.

  • 15. ㅇㅇ
    '14.11.18 8:10 PM (222.107.xxx.79)

    저도 초딩 남자애 둘을 키우는데 용돈 잃어버린적 종종있죠
    우선 전 용돈을 주면 소유권이 넘어갔으므로 잃어버렸든 누굴줬든 일절 상관안해요
    잃어버려서 속상하겠네. 담부턴 더 잘 챙겨라...하고 끝
    잃어버린 돈 다시 주지도 않고 야단이나 위로도 그닥 하지 않고..몇번 잃어버리고 그러더니 이젠 알아서 지갑에 넣어다니네요

  • 16. 용돈
    '14.11.19 12:00 AM (218.48.xxx.202)

    잃어버리는것보다...
    200원짜리 뽑기를 6000원어치 하려고 했다는게
    더 문제인듯요 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4087 초5 수학 문제 쉽게 좀 설명해주세요. 4 어렵다. 2014/12/06 1,063
444086 반찬,국 다 보내 달라는 아들 ㅠㅠ(도저히 사먹는거 못먹겠다) 38 겨울 2014/12/06 18,284
444085 5세 유치원 두군데 모두 떨어졌어요. 어린이집 보내도 되겠지요?.. 8 유치원 2014/12/06 2,036
444084 변기에 끓는물 부으면 깨지나요? 5 김효은 2014/12/06 4,217
444083 코수술 해보신분 계세요? 미간이 너무 푹 꺼져서... 7 ㅂㅂㅂ 2014/12/06 5,560
444082 [로그인] 떠나보낸 사람들 세우실 2014/12/06 573
444081 바둑두면 머리좋아진다는게 정말인가봐요 7 규규 2014/12/06 4,722
444080 세월호235일) 아홉분의 실종자님들이 가족 품에 돌아오시길 바랍.. 10 bluebe.. 2014/12/06 513
444079 60평에서 40평대로 이사가요 17 이사싫어 2014/12/06 13,387
444078 병원 돈;;; 어떻게돈지불해요?;; 아민망 ㄷ 6 cook좋은.. 2014/12/06 2,232
444077 싯다르타(헤르만 헷세) 읽는 중이에요 6 독서중 2014/12/06 1,183
444076 충청권에 호텔급 단체숙소 어디 있을까요? 2 고급콘도 2014/12/06 831
444075 요즘 잡채 냉장보관 얼마정도 가능할까요? 2 .. 2014/12/06 3,197
444074 에네스 카야 사건을 보면서 5 girlsa.. 2014/12/06 3,497
444073 자격증 종류가 꽤나 많던데, 시간이 남아서리... 3 자격증 2014/12/06 2,943
444072 홍대 국문과 와 동대 국문문예창작 님이라면 어디 10 등록하실래요.. 2014/12/06 2,297
444071 치핵일까요?봐주세요ㅜ 2 대설주의보 2014/12/06 2,009
444070 아들 군대 땜에 마음이 힘드네요.. 18 2014/12/06 5,462
444069 Papais33 해경에 대한 생존학생 증언 무섭네요 1 ㄷㄷㄷ 2014/12/06 1,648
444068 학교선택 도와주세요. 5 mirabe.. 2014/12/06 1,423
444067 박원순 시장.. 15 djn 2014/12/06 2,512
444066 브라질리언 왁싱이랑 레이저 다 해봤는데 궁금한분 없을까요? ^^.. 23 그냥 2014/12/06 17,716
444065 근무보고서 쓸 때 계약직 정규직... 4 어찌 2014/12/06 927
444064 무한도전 해외판 극한알바 19 ㅇㅇ 2014/12/06 4,926
444063 가방색상 좀 골라주세요 9 결정장애 2014/12/06 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