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본이 붕괴된 이유./지식채널e

강추요 조회수 : 3,092
작성일 : 2014-10-15 23:52:09

겁나네요. 진심.
이 나라가 비슷하게 가는 것 같아서 .....

-------------

일본이 붕괴된 이유.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2&mbsIdx=1255614&cpage=...
IP : 110.70.xxx.13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0.15 11:55 PM (125.186.xxx.76)

    금리낮아지는거보니까 자꾸 닮아가는거같네요.

  • 2. 닉넴
    '14.10.16 12:03 AM (124.213.xxx.38)

    상대할 가치를 못느끼는 논리

  • 3. 정말
    '14.10.16 12:07 AM (118.219.xxx.146)

    금리낮아지는거보니까 자꾸 닮아가는거같네요.222222222222222

  • 4. 은없는데
    '14.10.16 12:14 AM (220.76.xxx.199)

    흠...닮은점도 있으나 아닌점도 있다 보여집니다.
    닮은점은 거품을 유지하기 위해 토목건설로 버블버블 정책을 피워
    호미로 막을걸 삽으로 막을까 말까한 미친짓을 펼친 꼴이 되었어요.
    세계최대 규모의 댐건설 한다며 신나게 공사하며 기념주화까지 만들고 완공 코앞을 두고
    중단을 한 이유..뭐 깨어있는 시민의 힘? 그리고 자연앞에선 아이고 의미없다.
    요기서 흡사한 닮은점이 보이죠?명박이의 군부대까지 동원시켜 먹튀를 가득 품고
    기를 쓰며 완공하려 했던,,입찰했던 것부터..설명회 그 모든것이 담합..
    보여주기 위한 쇼로...참...눈막고 귀막고...에휴..두통이 옵니다.
    여기서 다른점은..이미 우리나르이 집값은 참여정부 시절 최고점이 됐습니다.
    이건 집값 안정을 위한 정책을 조금 더 검토에 검토를 거듭하여 신중했다면 좋았을텐데..
    발표할 때마다 상승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은거죠.
    근데 그렇게 흘러가나 싶었는데...미국에서 리먼브러더스 사태가 발생하지요.
    우리나라는 그나마 타격이 덜한 이유는 외환보유도 보유지만
    미국처럼 무자비하게 무담보 대출을 해주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한번의 고비는 넘겼으나..
    대신 무리한 대출은 집가진 거지란 단어를 등장하게 되지요.
    사람들이 하나만 봤거든요.
    자신의 소득대비 대출상환 능력이 금리가 올랐을 때
    생활과 맞물려 들었을 때 어떤 결과가 오는지를 몸소 깨달았던 거죠.
    그땐 집값이 오르고 거래가 돼니 빚내도 괜찮아가 통했다면
    이젠 현실을 인정하게 된거에요.

  • 5. 은없는데
    '14.10.16 12:39 AM (220.76.xxx.199)

    핫..아직 마무리 안됐는데..에고 마우스 잘못 만져서...^^;;
    그런데 명박이때...대놓고 바람을 잡습니다.
    뉴타운?들어 보셨죠...하지만 지금의 결과를 보시면 아실거에요...
    물가상승은 있으나 임금상승은 없는 문제가 있지만
    참여정부 말, 명박이 초기,그리고 틈만나면 다 그 당시즘 요동치던 집값..
    비정상적으로 폭등한 곳은 어느정도 정리가 다 되었거나 되어가는 중이라고 보여집니다.
    제가 주도면밀하게 다 알 수 없고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던 특정지역들을 보면
    비정상적인 폭등할 시기를 빼고 시세가 완만한 선을 유지하고 있더라구요.
    아무튼 지금의 금리인하는 누군가에겐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분명한건 집값이 오르니 구입을 하라는게 아닙니다.
    인구감소,집값하락 등..많은 말들이 많은데요...
    그 감소의 혜택...여러분들이 살아계시는 동안 그 혜택 못 받아요.
    집값하락...내가 어렵게 대출금 갚고 있는데 하락하면 허무 허탈 미치지요..
    하지만..화폐가치의 평가는 내가 그 집을 현금화 하기전까진 절대 장담 못합니다.
    그리고 주거공간을 목적으로 구매 또는 소유한 1가구 1주택분들 고금리일 때
    다 같이 망하는 건 맞습니다만..현실적으로 고금리는 어렵다고 보구요..
    실거주자분들은 너무 많은 신경을 쓰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어디서 사실건가요?
    전세요?전세가 안전하니 낫다고 뭘보고 자신할 수 있지요?
    주인이 파산신청 돼면 경매로 채권단이 1순위기 때문에 전세금 100% 온전하지 못해요.
    안전빵을 원한다면...전세가 아닌 월세 내고 살아야만 하는 방법 말곤 없다고 보여집니다.
    경제가 좋건 나쁘건 개인의 무리한 대출 능력은 답이 없습니다.
    상환 능력이 있다면 분위기에 휩쓸리지 마시고 신중히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이제부터 주택에도 양극화가 생기기 시작했어요.
    여기 오르니 다 오르내가 아닌 여긴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들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학교시설,주변 편의시설,교통..세계 어디서나 통할 거주 조건의 최적화 된곳들은
    비슷하게 유지될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9372 반려견.. 어떻게 해야 할까요. 40 반려견 2014/10/21 4,316
429371 이런 경우 이사하시겠어요? 3 예비초1맘 2014/10/21 792
429370 과탄산이나 소다 2 ^^ 2014/10/21 1,039
429369 어제 이 유리 .. 2014/10/21 1,067
429368 부동산 대책이 추가됐네요. 5 ... 2014/10/21 2,825
429367 심할서 2 하하 2014/10/21 1,775
429366 스마트폰 문자보내기 엄청느려 2 질문 2014/10/21 1,294
429365 친구가 없어도 될까요? 31 음... 2014/10/21 8,314
429364 결혼한 친구~ 이런글 댓글 달았는데 삭제 3 삭제 2014/10/21 962
429363 서민 패밀리보다 서민 싱글이 낫다 2 과연 2014/10/21 1,383
429362 노모의 장염, 걱정이네요. 7 gks 2014/10/21 1,319
429361 대학입시컨설팅 상담을 해보고 싶은데요.... 8 대학입시도움.. 2014/10/21 3,188
429360 주말에 결혼식 갔다가 일베에서 보낸 화환을 봤어요 9 epd 2014/10/21 4,238
429359 우산 작은 구멍 뭘로 막을까요? 4 안알랴줌 2014/10/21 1,230
429358 식비, 최대 얼마까지 줄여보셨어요? 22 ff 2014/10/21 5,041
429357 이런일에 기분나쁜거 오버인가요 14 대주 2014/10/21 2,530
429356 ‘대통령 풍자’ 팝아트 작가 또 체포…취재하던 기자도 3 샬랄라 2014/10/21 1,128
429355 사는게 허망하고 우울하지 않으세요? 4 한국에서사는.. 2014/10/21 2,192
429354 무섭도록 두렵다.. 1 unfair.. 2014/10/21 1,133
429353 집도배하고 이사들어갈려구요 3 고민스럽습니.. 2014/10/21 1,046
429352 제가 속이 좁은건가요? 21 ... 2014/10/21 3,749
429351 활동적인 남자아이..유치원보다 체능단이 나을까요?(여자아이도 없.. 3 .... 2014/10/21 1,185
429350 디딤돌 대출보다 금리가 낮은 대출이 있을까요? 7 알쏭달쏭 2014/10/21 3,833
429349 보이지 않는 탯줄 자르기 _ 좋은 글 소개해요! 1 해피고럭키 2014/10/21 984
429348 수능영어 절대평가 한다는데요. 6 .. 2014/10/21 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