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악공부하신 분들요 장조와 단조요..

ㅇㅇ 조회수 : 1,067
작성일 : 2014-10-04 23:22:09
인간이 아무런 음악 교육을 받지 않아도
장조를 들으면 유쾌하고 단조를 들으면 우울해지는데
그 기제는 무엇인가요? 궁금해서요..

사실 부엉이 소리나 바람소리 같은 건
들으면 스산함이 연상되는데
충분히 연상물과 관련이 있으니까 납득이되요.
장단조는 왜 인간이 본능적으로 다르게 느껴지나요?
IP : 203.226.xxx.77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와. . .
    '14.10.5 12:49 AM (218.237.xxx.135)

    생각 안 해본건지 . . .배웠는데 잊은건지.^^"
    일단 지금 생각하기엔.
    화성에서 근음이 되는 그러니까 그 뿌리음. . .맨 밑의 음과 중간음의 사이가 장,단조가 결정되는 이유인데요.
    음계나 음 사이의 거리를 나누는 방법들과 명칭들은 많이있지만
    우리가 익숙하게 듣는 피아노의 음정들을 가지고 얘기하면.
    장조보다 단조의 두 음 거리가 반음 더 좁거든요.
    장조의 울림이 더 경쾌하게, 더 완전하게 느껴지는 이유를 찾지 못한 저로서는 이 대답이 무슨 소용이 있겠냐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인간의 귀가 그 완전한 장조의 울림의 좁아짐을 불완전한 상태로 감지하는 게 아닐런지^^;;찌그러지는 느낌이랄까.
    그러니까 단조는 뭔가 구겨져 있는 뚫어야 할 대상을 찾는 상태라면
    장조의느낌은 단조의 답답함을 해결하는 넓은 울림, 해답을 주는 게 아닐지요.
    그래서 화성이 적절하고 다양하게 배치될수록 음악이 더 아름답게 느껴질것 같아요. 해결되었을 때의 희열을 준달까 .

    더 정확한 답을 주실분이 계시면 좋겠네요.
    저도 궁금합니다.

  • 2. ㅋㅋ
    '14.10.5 1:23 AM (218.237.xxx.135)

    원글님 댓글 라나 남기셨던데 어디가셨어용.
    ㅎㅎ
    이 밤에 어린 장금이가 생각나는군요.
    홍시맛이 나서 홍시맛이 난다고 하는데 왜냐고 물으신다면. . .ㅠㅠ
    음정간의 거리로는 원글님의 궁금증을 해소할 순 없겠군요.
    좀전에 댓글이 하나 있었다가 사라졌는데
    그 분 말씀도 좋았습니다.
    대부분의 서양음악을 듣고 교육받은 사람은 평균율에 익숙해져 있고 학습되어져 있죠. 그런 이유에서도 찾을 수 있을거고.
    그분 말씀처럼 자기만의 음계를 가진. . .서양음악에 걸 노출된 사람들은
    원글님이 말씀하신 단조와 슬픔의 관계에 덜 민감하다니꺼 . .이 부분도 생각해보셔요.
    아..그리고 명칭에서도 답을 유추해볼수도 . .
    단조 의 단은 짧다, 가깝다의 단이고
    장조의 장은 길다라는 뜻입니다.

    님의 머리에 누가 양동이를 씌우고 막대기로 머리를 때린다면 작은 양동이 쓰고 맞는것 보다
    큰 양동이가 머리와의 간격이 더 있으니 울림도 좋고 기분도 덜 나쁘지 않을까요 . 아이구야. .ㅎ ㅎ
    크허헉. . .제가 쓰고도 너무 웃겨서 . . .데굴거리다가...자야겠습니다. ㅋ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3642 6개월마다 통신사 바꾸면서 위약금, 현금지원이 말이 되는건지.... 3 인터넷 2014/11/04 1,412
433641 단내가 뭔가요? 2 ??? 2014/11/04 1,664
433640 은근히 까다로운 시엄마 취향ㅠㅠ 30 ㅇㅇ 2014/11/04 5,246
433639 시금치 생으로 먹어도 되나요 7 뽀빠이 2014/11/04 9,505
433638 바자회때 김치전 맛이 어땠길래. 13 뒤늦게 글 .. 2014/11/04 3,290
433637 다슬기꼬리에 녹색 모래주머니같은거 버려요? 먹는거맞지요? 6 다슬아 2014/11/04 3,103
433636 유재석-손석희 택한 서태지의 복귀 전략 왜 실패? 17 Quiet .. 2014/11/04 3,158
433635 일본산 세라믹칼은 대체할게 뭐가 있을까요? 6 ... 2014/11/04 2,227
433634 제왕절개수술도 위험한거였더라고요 9 ㅂㅂ 2014/11/04 3,610
433633 정관수술이 묶었다 쉽게 푸는 수술이라구요?? 2 ........ 2014/11/04 2,983
433632 나이들면 단거 잘안먹게 되나요? 23 음.. 2014/11/04 4,157
433631 노트북에 관한 ~~ 1 궁금 2014/11/04 550
433630 10만원정도의 선물 2 베티 2014/11/04 721
433629 스타벅스 상품권으로 커피 외에 케익도 살 수 있나요? 3 ,, 2014/11/04 1,024
433628 신해철씨의 진가를 모르고 지나쳤던 사람입니다 12 ........ 2014/11/04 2,166
433627 첫집 장만 부동산 계약시 주의 사항 알려주세요 1 첫집 2014/11/04 913
433626 진심으로 궁금해서 그러는데 장천공 2 정말 2014/11/04 1,095
433625 믿고 써도 되는 스텐제품좀 알려주세요 8 요리 2014/11/04 4,346
433624 너무 행복해서 걱정일때 5 ㅠㅠ 2014/11/04 1,337
433623 거리모금 전문가 라는게 있는데 주위에 하시는 분 있나요? 구인란에 2014/11/04 417
433622 박정희 정권때 국기하강식? 2 빡통 2014/11/04 770
433621 자궁근종 개복 수술하신 분들.. 12 질문 2014/11/04 4,440
433620 배추김치담그는거요~~ 5 2014/11/04 1,021
433619 풍년제과 초코파이 센베 택배 후기 16 .. 2014/11/04 5,841
433618 꿀로 생강차 만들때의 비율은 ? 3 월동 준비 2014/11/04 2,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