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오늘 변호인을 보고 온 75년생입니다.

1994 조회수 : 3,277
작성일 : 2013-12-29 01:45:06

75년생입니다.

오늘 끝난 응답하라 1994의 주인공들과 동갑내기인 토끼띠입니다. 같은 시대를 살아왔네요.

오늘 변호인을 보고 왔습니다. 중반부터 울컥하는 마음이 끝날때까지 눈물을 흘리게 하고, 쉽게 일어나기 힘들게 하더군요.

요즘 핫한 코드 2가지가 오늘 제 맘속에서 뒤엉켜 버려서 여기다 풀어놓고 싶어졌습니다.

 가입하고 첫글이네요.^^

제가 고2였던 해 겨울에 92년 대통령 선거가 있었습니다. 선거 다음 날 친구들과 교실에서 어른들을 이해 못하겠다며 한바탕 성토가 있었던 기억이 있네요. 네. 고딩들 눈에도 삼당합당이 추잡한 야합으로 비춰졌답니다.

수능 첫 시행 대상이라 고1 첫 날 부터 선생님들의 겁주기가 참 엄청났습니다.

그래서인지, 전무후무하게 수능을 한 해에 두 번 봤네요.

그렇게 대학을 가고,

 IMF위기 속에서 졸업반이 됐고, 정말 힘들게 입사를 했죠.

첫 출근 바로 전날 대통령 선거가 있었구요, 제가 뽑은 첫 대통령결정 되는거 보고 참 뿌듯하고 설레는 마음으로 첫출근했떤 기억이 나네요.

금모으기 운동이 시작됐고, 벤처붐이 일었구요,

마침 제가 다니던 회사가 벤처기업으로 지정받고 코스닥 상장돼서

우리사주 배당받은 선배들이 출근하면 주가 알아보는게 하루의 시작이었습니다. 참 많이 부러웠더랬지요.

그렇게 빠르게 IMF에서 벗어났네요.

뜨거운 열정이 넘쳤던 2002년 월드컵, 그리고 이어진 벅찬  경선과정과 제가 뽑은 두 번째 대통령님이 나오셨고,

그 분의 힘들었던 임기를 지켜 봤습니다. 어떤 좋은 일을 해도 화제는 되지 않고, 무조건 비난만 받으셨고,

때문에  퇴임하실 때 좋아하시던 모습도 안타깝게 지켜봤습니다.

퇴임하시니 인기가 더 높아지시더군요. 많이들 방문하기도 했네요.

그렇죠. 그렇게 욕하며서도 이해하기 힘든 사람을 대통령을 뽑아놨으니 말입니다.

돌아가시던 해에는 정말 많이 울었습니다.

그 때의 울분이 가시기도 전에 또 다른 한 분의 대통령님까지 돌아가시고....

정말 이해하기 힘든 분이 대통령이 되는 모습을 한 번 더 봤네요.

 

 

그렇게 1994년부터 2013년이 며칠 안 남은 지금까지...

20년의 시간이 흐르고, 전 마흔을 며칠 앞두고 있습니다.

돌아보니 참 많은 일들이 있었네요.

지금까지 그냥 되는대로 열심히 살려고 노력했다. 라고 밖에 말 못하겠네요.

그리 노력도 많이 한 것 같지도 않아요.

후회되는 것도 많구요...

마흔이 되면 그 사람의 인생이 얼굴에 나타난다는데 제 얼굴은 어떤 인상일지 두렵기도 합니다.

영화가 끝나고 서울에서 열리는 집회에 참석하고 싶은 마음이 정말 들더군요.

너무 먼 곳에 사느라 어려웠어서 참 아쉬웠습니다.

송우석 변호사가 그랬지요.

내 아들은 이런 나라에서 살게 하면 안되니까 우리가 바꿔 줘야 한다고....

.

.

그런 분들이 그렇게 노력하셔서 아마도 제가 그나마 밝고 희망 넘쳤던 20대와 30대 초반을 지나왔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이 암울하고 절망적이면서 1등만을 강요하는 경쟁과 성공만이 최고라는 이 사회에서

제 아이들에게 어떤 교육을 시켜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무조건 공부만해라 하기도 힘들고.

저 분처럼 훌륭하게, 불의에 참지 마라 하기도 겁납니다. 그 길이 얼마나 어렵고 험난한 길일지 눈에 보여서요.

자신있게 네가 좋아하는 걸 하라고도 못합니다. 원하는 모든 걸 뒷바라지 해주기 힘든 형편이니까요.

선택은 아이들이 하는건데, 그 선택을 할 기준을 뭐로 심어줘야 할지 혼란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저는, 지금 우리는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걸 가르쳐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이대로 가다가는 어떤 나라를, 사회를 물려주게 될지 생각하면 정말 겁납니다.

그런 사회 미리 막지 못하는, 바위에 부딪혀 깨지기만 하는 계란일까봐 무섭습니다.

그래서 이민가있는 친구가 가장 부럽기도 합니다.

 

.

 

영화를 보고 이민가있는 친구와 통화를 했습니다.

변호인 이야기와, 정치 이야기 끝에 요즘 가장 부러운 사람이 너다. 하는 제 말에

그친구가 그러더군요.

그래도 본국이 잘살아야 이민 나와있는 우리도 기펴고 산다. 하더군요.

안그러면 우리도 무시당하고 그래... 하는말에 그렇겠지... 싶더라구요.

결국 어디를 가도 우리는 이 나라를 벗어나기 어렵구나 했네요.

송우석 변호사의 다짐대로 절대 포기하면 안되는데 쉽지 않네요.

절망은 변절이라는 말도 떠오르는데 말입니다.

.

.

저는 데모했던 세대는 아닙니다.

선배님들이 힘들게 최루탄 맞으며 변화시킨 세상에서 참 평화롭게 살았네요.

그 열매만 받아먹고 살다 고스란히 다시 빼앗긴거 아닌가 싶어요.

글을 쓰며 생각해보니, 이 나라에서 민주주의란 국민을 위한 나라란

정말 치열하게 찾으며, 지켜나가야만 하는 것이었네요.

선배들이 물려준거 편하게 쓰다가 그대로 굳어져 버리면 언제든 다시 뺏기기 쉬운 것이었어요.

저도 이젠 컴 앞에서만 고민하지 않고 오프라인에서 활동해야 겠다 느낍니다.

오해마세요. 전 참여연대 11년 장기 회원입니다. 회비도 냅니다. 매 월.

10년 되니 작은 선물도 주시더군요.^^

첫 아이 가지면서 제 아이에게 좋은 세상 물려주고 싶어서 회원 가입했는데,

10년만에 이런 세상이 돼 버려서 정말 속상합니다.

.

.

 

쓰다보니 주저리 주저리 길어졌습니다.

어떻게 써야지 맘 먹고 쓴게 아니라서..^^

응답하라 1994로 시작해서 변호인으로 끝났네요.

묻고 싶습니다.

같은 시대를 살아 오신 70년대 生이신 분들.... 어떻게 사셨나요.

앞으로 어떻게 사실건가요...

제가 어떻게 살아야 나중에 후회 안할지...정말 고민되는 밤입니다.

IP : 116.41.xxx.51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29 2:41 AM (211.36.xxx.73)

    가슴 뭉클해지네요..원글님 물음처럼 어떻게 살아야 옳은가 고민이 많아지는 밤이에요. 일단은 윗님 말씀처럼 한가지라도, 작은것이라도 실천하며 사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생각만으로는 바뀌지 않으므로...글 잘 읽고 가요. 같이 힘내요^^*

  • 2. Pp
    '13.12.29 3:07 AM (98.69.xxx.139) - 삭제된댓글

    77년생입니다
    잠시 외국에 있어서 변호인은 못봤는데 원글님 말씀에 동의해요
    저도 선배님들이 피흘려 이룬 민주주의 열매의 단물만 빨아먹고살아온 세대에요
    대학 1학년때 한총련 연대 사태때도 저는 강남역 나이트에나 다녔지 뭐가 뭔지도 몰랐어요....
    2Mb 집권 후에야 정신차리고 (그때 돌된 아기가 있어서 친정엄마에게 맡기고 여름 내내 계속 집회 참여했었죠...)
    어쩌면 제가 이명박 덕분에 세상에 눈을 뜨고 진보
    주간지 정기구독 뭐 이런 것도 하게 됐으니 명박이는 저의 스승이네요 -.-;;;
    저는 이명박 당선 전까지 정말 월급 모아 명품 사고 해외여행 계획 짜고 정치에 관심도 없는 무개념녀였거든요
    근데 2008년 여름 광화문 거리의 울분이 잊혀지지 않아요. 우리 의견을 들어달라고 나온 평화적으로 합법 집회중인 시민들에게 물대포 쏘고, 전경 군홧발로 짓밟고, 무기 하나 없는 시민들이 그리 무서운지
    겹겹이 닭장차로 광장 막아놓고...
    어제도 비슷했나보네요.. ㅠㅠ
    유치원생인 아들한테 미안해서라도 가만 있으면 안된다싶어요. 남편 몰래 여러 진보단체에 후원 중입니다 (참고로 전 맞벌이고 남편과 연봉 같음/ 남편이 골수 섹누리파라서 제가 대신 참회하는 기분으로 기부해요 -.-;; 아 근데 작년 대선에선 제 영향으로 달님께 투표시키긴 했어요, 어차피 부정개표였으니 결국 별 도움도 안됐겠지만 -.-;;)

    한국에 있는 제 친구들은 변호인 세번씩 봤대요
    한번은 새누리당만 줄창 찍는 동네 아줌마들 끌고 가서 보고
    두번째는 신랑이랑 심야로 보고
    세번째는 초딩 고학년인 자녀들과 봤다더군요

    원글님 덕분에 참여연대 후원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일깨워 주셔서 감사해요

  • 3. 나무이야기
    '13.12.29 3:30 AM (27.32.xxx.140)

    글을 참 잘쓰시네요........ 부럽습니다

  • 4. ----
    '13.12.29 7:36 AM (84.144.xxx.22)

    본국이 잘살아야 이민 나와있는 우리도 기펴고 산다

    ->저도 친구분 말 댓글쓰려고 했어요..

    요즘은..어디에서 왔느냐 차라리 안 물어보고 대충 일본사람으로 넘겨 짚는게 낫겠어요.
    휴...남한에서 왔다고 대답하기 창피해요..-.-;

  • 5. 나도94학번
    '13.12.29 7:36 AM (223.62.xxx.239)

    반가워요.
    저도 요즘 시국 너무 답답하고 혼란스럽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철도파업 기사부터 검색해보는데
    오늘 아침에는 정부가 파업참가자의 해고를 전제로 신규채용한다는 기사를 보고 급 침울해있는 상태입니다.
    저도 직장인으로서 노조원이기도 한데(그냥 평노조원)
    그래서 처음부터 철도파업이 남 일 아닌 것으로 여겨졌고요,
    노동3권이 무참히 짓밟히는 과정을 보면서 너무 화가 나고 억울한데 주변사람들 너무 아무렇지 않아서 더 화가 나는 중입니다.
    아무도 아무 목소리도 낼

  • 6. 나도94학번
    '13.12.29 7:55 AM (223.62.xxx.239)

    에고 폰이라 잘렸네요.
    힘있는 자들 외 아무도 아무 목소리도 낼 수 없게 돼버린 이 현실에 저는 그냥 노비가 된 거 같아 비참하기만 합니다.
    먹는 것 갖고 치사하게 사람 조종하는 저들에게 어떻게 대항할 수 있을까요.
    결국 저도 서서히 그냥 조용히 입다물고 내 밥그릇이나 챙기자 하게 될까봐 조바심 납니다.ㅜ ㅜ

    분노하는 제게 남편은 연대가 중요하다 합니다.
    더 많은 사람이 연대해야 성공할 수 있다 합니다.
    그래서 저도 인제 사람들에게 얘기하려고요. 전엔 속으로만 생각하던 것들을 조금씩 꺼내서 도대체 남일인 양 무관심하기만 한 사람들에게 약간의 관심이라도 가져보게 하려고요.
    지금 이 시점에서 제가 할 일은 그것 뿐이네요.

  • 7. 또 눈물이..
    '13.12.29 8:52 AM (14.36.xxx.183)

    촛불집회에 나가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것이 참담해요..

  • 8. 그 시절
    '13.12.29 9:00 AM (39.118.xxx.43)

    그 때는 몰랐어요. 지금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나니~~너무 그립네요.

  • 9. 그네코
    '13.12.29 9:01 AM (218.237.xxx.147)

    윗 분님 말씀에 공감 !
    새눌당정권이 모든 힘으로 언론부터 시작해서 다 틀어막고 있으니...
    제1야당의 대표가 저리도 헤메고 있으니...
    정말 힘없는 민초들이 겨우 할 수 있는 일이 촛불집회 나가는 일,
    이렇게 사이트에서 글로나마 토로하는 일...
    참담합니다.

  • 10. 72년생입니다.
    '13.12.29 11:47 AM (14.36.xxx.232)

    앞으로 어떻게 살 건지 물으셔서 글 남깁니다. 전 사실 앞으로 한동안은 별 희망이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정권이 무너지더라도요. 그래서 20년 후 노년을 바라볼 때까지 시니컬해지거나 도피하지 않고 계속 지금 같은 마음을 간직하실 수 있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제도와 현실 안에서 발휘할 수 있는 실력을 가진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 이상만 있고 현실에선 무기력한 사람이 되어선 안 되겠단 생각을 합니다.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11.
    '13.12.29 11:56 AM (110.70.xxx.34)

    전 95예요
    집회 같은 거 참석해본 적 없구요
    할 수 있는 건 많다 생각해요
    하다못해 후원.지지편지.내실력강화ㅡ사회에힘되는사람되기.이런영화여러번보고 새눌지지자도 뎃구 가기

    저부터 정신 차려야겠네요

  • 12. 어제 만난
    '13.12.29 3:00 PM (1.236.xxx.28)

    독일서 교수하고있는 친구말이
    박근혜가 대통령되고 난후 창피해서 혼났다는 말을 듣고는
    이젠 이 정부 싫어 이민가는것도 못하겠구나..싶더라구요. 그건 더 창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1088 어제 mbc 박초롱초롱빛나리 유괴사건ㅜㅜ ... 07:52:48 72
1601087 부추고기 순대 사왔는데 1 .... 07:52:27 10
1601086 ㄱㅡㄹㅆㅣㄱㅏ ㅇㅣㄹㅓㅎㄱㅔ ㄷㅗㅣㅇㅛ 3 help m.. 07:47:08 298
1601085 액트지오 법인자격 박탈 보도에 석유공사 "영업세 체납했.. 4 07:44:26 271
1601084 밀양 여경... 동영상 촬영했었네요ㅜ 5 .. 07:29:30 1,494
1601083 오늘 아침 습도 높네요 ㅂㅂ 07:23:22 265
1601082 왜 82는잘 되면 인정이 아니라 질투만 할까요? 25 07:01:20 1,327
1601081 짧은 머리 다이슨 어떤걸 사야 돼요? 2 다이슨 06:47:42 618
1601080 히드로 공항 아시아나항공 1 귀국 06:45:54 756
1601079 네플릭스 하이라키 집중안됨 06:16:34 1,601
1601078 요가 같이해요 3 .. 05:15:32 1,954
1601077 글을 마무리해야하는데 7 ㅡㅡ 03:56:51 1,571
1601076 비오는날 집에 있는거 넘 좋아요 2 111 03:29:53 1,688
1601075 초등5학년이 여동생을 때렸는데 5 아무도 02:58:34 2,952
1601074 펌글) 홈마인데 뉴진스 버니즈 홈마들 떠나는 이유 알려줌 12 뉴진스 02:49:59 2,718
1601073 소방관 2600명의 밀린 임금 지급하라.. 거리로 나온 소방관 13 .. 02:47:16 3,300
1601072 학폭보다 훨씬 더 심각한 문제는 학교 밖 범죄입니다 4 학폭보다 02:27:40 1,567
1601071 대략 a아파트 2억, b아파트 2억5천 시세 착익이 있는데 어느.. 5 자유 02:26:22 1,247
1601070 테니스 보느라 못자요 ㅋㅋ 6 스파클링블루.. 02:15:25 1,784
1601069 실내온도 30도인데 강아지있으면 에어컨 켜야겠죠? 5 새벽 02:05:53 1,150
1601068 큰 믹서기, 핸드블랜더 중 갈등하고 있어요.  5 ,, 02:05:30 847
1601067 극단적 실용주의자 아빠의 제사 지내기 6 .. 01:57:22 3,041
1601066 尹부부, 178일만 순방…중앙亞'K-실크로드' 추진 20 ㅇㅇ 01:31:11 2,325
1601065 입원중인 외상환자가 집에 가고 싶다고… 4 방법 01:23:30 2,080
1601064 윤씨는 일은 하나요?신천지 알바쓰는거말고 4 신천지국정원.. 01:19:46 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