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직장에서 능력 없다 느껴지네요..

90 조회수 : 2,208
작성일 : 2013-11-04 21:52:52

직장생활한지 10년 조금 넘었어요..

사회생활 초년생일 때는 열정으로 덤볐고, 일도 단순 업무도 많고 그냥 시키는 일 열심히 하면 되니까 오히려 능력 없다는 생각을 못했는데...

 

이제 서른 넘어 중반 넘어가니... 뭔가 전략적인 사고도 많이 필요하고, 샤프함..자료 분석 능력... 대화술..설득력..

이런 능력이 필요함을 많이 느껴요..

 

제 성향이 단순 반복적인 거는 잘하고, 남 보좌하는 일은 잘하는데, 뭔가 리더쉽을 갖고 추진한다던지... 전략적인 사고로 마케팅을 한다던지..그런 게 많이 부족해요..

다행히 회사가 내부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작은 규모의 외국계라 이제까지 성실함으로 버텨왔는데... 이제 이걸로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까 자신이 없어지네요.

 

업종도 부품쪽 제조회사라 문과나온 제가 기술적인 지식 습득도 한계가 있구요.. 기술직이나 영업직이 아니니 지원하는 업무...대략 총무, PR, 필요할 때는 사장님 비서일도 좀 하고... 일이 경계도 모호하게 이것 저것 다양하게 하네요.  

그러니 제 자신이 자꾸만 무능력하고 실력없다고 자괴감이 드네요.. 아직은 젊으니 (30대 중반) 회사에서 나가란 소리 안하지만 마흔 넘으면 어떻게 상황이 바뀔지 모르구요..

 

그래도...회사에서 나가라고 나가라고...할 때까지 끝까지 다녀야될까요? 나가서도 막막하지만..

제가 이런 고민을 어떤 분께 털어놓으니 그분이 그러시더군요..다들 능력 있어 회사 다니는 줄 아냐고... 오래 버티는 사람이 강한자다...면서 그런 고민 누구나 다 한다면서 다독이셨는데... 날이 갈 수록 제 업무 역량에 자신 없는 상태로 버티기가 힘들 것 같아요.

 

지금 회사는 칼퇴에 그래도 아직까지는 안정적이고, 애엄마인데 필요할 때 휴가쓰는 건 자유로워서 그런 장점은 있는데, 막상 여길 나가서는 경력살려 이직도 힘들고 아마도 몸으로 해야 하는 일들...식당이나 청소일 아니면 마흔 중반 넘어서 퇴직하면 막막할 거 같네요.

 

저같은 경우는 잘 고민해 보고 다른 방향...공무원 시험 (어렵다는 것 잘 압니다.)이나 다른 자격증 시험을 붙을지 안 붙을지 모르지만 그래도 한살이라도 어릴때 죽어라 준비해서 좀 더 길게 제가 실력을 쌓아 오래 일할 수 있는 길을 빨리 찾는게 답일까요? 요즘 계속 마음이 안정이 되지 못하고 고민만 많습니다.  

 

IP : 211.109.xxx.8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4 10:00 PM (114.202.xxx.136)

    요새 저하고 같은 생각이시네요.
    저도 비슷한 생각으로 힘들었는데 얼마전 세미나가 있어 갔다가
    다른 분들 연구를 보니 의욕이 확 생기고 반성도 되고 그랬어요.

    다른 직종 찾아기기에는 좀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 같고
    지금 다니시는 회사에서 좀더 최선을 다해보면 어떨까요?

  • 2. 원글
    '13.11.4 10:05 PM (211.109.xxx.81)

    윗님...네, 제 분야에서 참 잘 하시는 분들도 계시더라구요.. 뭔가 길을 하나로 정해 매진을 해야 둘중에 하나라도 성공을 할텐데, 저는 요즘 계속 맘을 못 정하고 있네요.. 지금 회사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더 현실적일 수도 있을텐데, 제 분야가 영업지원적인 측면이 강해서...비전 별로 없다 생각하니 생각이 많아지네요..

  • 3. ...
    '13.11.4 10:09 PM (39.118.xxx.100)

    갑자기 직장의 신 생각나네요.

    김혜수도 영업지원하는건데 똑소리 나지요^^;

    30대 후반에 전환하는건
    정말 강단있어야 하는 모험입니다.
    젊다면 젊지만...

  • 4. ...
    '13.11.4 10:45 PM (58.76.xxx.207)

    일단 성실하고 협조적이면 반은 먹고 들어가잖아요. 사실 나이 먹은 나를 봐주는 타인의 시선이 바뀌는것도 있지만 한자리에서 오래있다 보면 초심을 잃어서 평가가 바뀌는것도 있는것 같아요. 크게는 아니더라도 소소하게 자기개발해나가세요

  • 5. 빵빵부
    '13.11.4 10:51 PM (118.143.xxx.196)

    그런 고민은 직장 생활 10년차 이상 20년차 이렇게 접어들면서 점점 더 해지는 것 같아요. 저도 대학 졸업하고 20년째 일하고 있는데 요즘 일하는 친구들 만나면 공통적으로 하는 고민이 과연 조직내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버틸 수 있을까? 퇴직한 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등 이네요.. 하지만 결론은 버킹검? ㅎㅎ 그냥 오래오래 내가 하는 일을 즐기면서 회사에 공헌할 수 있는 그날까지 열심히 다니자입니다. 회사에서 노골적으로 나가라고 하면 오픈해서 얘기한 후 패키지 달라고 하시고요. 그렇지 않으면 그냥 하루하루를 최선을 다해서 직장 생활해보세요. 자고로 열심히 하는 사람에게 나가라고 얘기하는 매정한 회사는 없답니다. 화이팅 하세요 !

  • 6. DJKiller
    '13.11.5 12:15 AM (121.166.xxx.157)

    공부안하고 있다가 이제와서 이런말하는 분들은 꼭 사 오년 후에 똑같은 말 하더라구요. 그때도 역시 공부는 계속 안하고 있겠지요. 본인이 말하는 그 성실함이라는 자만에 갇혀 이렇게 무디어져 버린거죠(정작 남들이 성실하다 생각 할지도 안확실함). 답답한 분들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7156 필명'의도'라는분. 성균관대 들먹이지 마시고 당신 학교나 관심 .. 샤론수통 2013/11/29 909
327155 루나틱 국정충 맞아요 24 1234 2013/11/29 2,171
327154 제가 비뚤어진 건지.... 아주 기본적인 한국어 표현도 안 갖추.. 4 .... 2013/11/29 918
327153 3.15 부정선거보다 더 심각한 12.19 부정선거를 부정하는 .. ... 2013/11/29 778
327152 퇴근하고 오면 축 처지는 남편,,,보는 제가 더 지쳐요 2 ㅠㅠ 2013/11/29 1,149
327151 쥐눈이 콩이 싹이 안나요 ㅠㅠ 4 이상해 2013/11/29 736
327150 [‘신공안정국’ 실태와 폐해] 종북은 ‘만능키’… 정권 불리하면.. 세우실 2013/11/29 608
327149 와~지금방송에 장윤정엄마 41 진상 2013/11/29 16,794
327148 갈비찜 처음하는데 어느부위가 제일 맛있나요 2 한우 2013/11/29 2,170
327147 스티바 연고 지르고 싶은데 정말 부작용 심할까요 6 ㅇㅇ 2013/11/29 3,953
327146 크리스마스 인테리어 6 cindy9.. 2013/11/29 1,380
327145 민영화, 누구를 위한 것인가 1 sa 2013/11/29 523
327144 과외 선생님 식사 10 .... 2013/11/29 2,227
327143 최근 보기 싫은 광고 13 2013/11/29 3,021
327142 샐러드마스타 궁금합니다. 6 궁금이 2013/11/29 2,861
327141 인터넷으로 결제하자마자 바로 반값프로모션,,,, 4 ... 2013/11/29 1,334
327140 결정사 남자 회원 알바가 정말 있더군요 1 ... 2013/11/29 6,486
327139 MB 충견 김황식이가 국회해산을 언급했군요 8 우리는 2013/11/29 1,659
327138 자~ 이제 두번째 IMF를 준비합시다. 4 예화니 2013/11/29 2,531
327137 생양배추 맛있게먹을 간단한방법 뭐가 있을까요? 13 .. 2013/11/29 7,205
327136 종편은 한국 언론과 여론 망가뜨리는 암세포 종편2년 2013/11/29 760
327135 병원 어디로?(머리가 일주일째 흔들림) 4 다시시작 2013/11/29 1,149
327134 청와대‧국정원 ‘11살 채군’ 정보 불법유출 개입 의혹 원세훈 최측.. 2013/11/29 621
327133 아파트 청약 질문좀 드릴께요..꼭좀 답변좀.. 2 .. 2013/11/29 1,145
327132 연말정산 관련 질문이에요. 질문 2013/11/29 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