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처음부터 어른변기에 유아시트만올려 적응하는게 좋을까요?

유아변기 조회수 : 1,667
작성일 : 2013-01-28 03:41:48

이제 18개월이라 배변훈련 하려고 합니다.

어린이집에서도 따로 아이변기는 없어 보이고 그냥 세면대옆에 일반 변기만 있던데요.

집에서는 배변 훈련할때 (처음시작 시) 유아변기 따로 적응하다가 어른변기로 건너뛰면 되나요?

IP : 116.33.xxx.25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8 3:47 AM (119.67.xxx.66)

    아이가 불안해할것 같아요. 발도 허공에 뜨고 붙잡을수도 없고 떨어질까봐 내나 옆에 붙어있어야 할 거 같고. 유럽에서 변기가 너무 높아 발이 안 닿아 본 경험이 있는데 안 되겠더라구요.

  • 2. ...
    '13.1.28 4:00 AM (222.121.xxx.183)

    저희는 그냥 어른변기에 사용했어요..
    대신 발 올려놓는건 따로 있구요..
    아이가 그걸 원했구요.. 애들마다 다 달라요..

  • 3. 가다가
    '13.1.28 4:11 AM (118.216.xxx.5)

    저희 아기도 그 무렵 배변훈련시작해서 20개월에 완전히 뗐는데, 전 아기 전용 변기 썼어요.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무래도 아기들은 발이 안 닿는 걸 불안해하니까요.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에서도 어른 변기보다는 유아 전용 변기에서 시작하는 걸 권장하더군요. 예민한 아기라면 배변 자체를 거부할 수도 있으니까요.

  • 4. ..
    '13.1.28 8:19 AM (1.241.xxx.27)

    발받침 사용했어요.
    그리고 유아변기 사용했구요.
    엄마가 화장실에 있는 모습 자꾸 보여주었구요.
    우리집 아이들은 그 오리변기가 전혀 필요없었어요.
    엄마처럼 한다는데 대해 너무 기쁨을 느껴서 그런가
    근데 그대신 배변훈련 시기가 아주 짧았고 꽤 늦게 시작했어요.
    남들은 이미 기저귀를 뗐다는 나이 두돌 지나서요.
    그냥 본인이 기저귀 답답해 할때 떼었어요.
    알아서 기저귀 벗고 어른 변기위에 고추 올려놓고 누더라구요.
    시간도 안걸렸어요.
    실수도 두어번도 안했구요.
    28개월. 맞다 그즈음이네요. 늦게 시작했고 빨리 끝났고 스트레스도 없었고 서로가 좋았어요.
    요즘은 다들 일찍하는 분위기인데 어짜피 어른되서도 기저귀 차고 있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니 마음편해지더라구요. 그러니 28개월아이니 어른변기를 좋아했을수도 있네요.

  • 5. 맘맘
    '13.1.28 8:41 AM (124.153.xxx.172)

    꼭 유아변기 강추해요..저도 큰애 유아변기사용할때 얼마나 유용했는지, 사용할때마다 선물해준 사람이 고맙더군요..근데 몇년후 버리고나서 둘째낳고 사용할땐 사실 고민이었어요..
    왜냐면 울동서가 자긴 비위가 약하다며 응아나 쉬 화장실가서 버리기 그렇다..냄새나고 어쩌고해서
    또 들어보니 그렇더군요..그런데, 울동서아이랑 울둘째 화장실 잘 안갈라하더군요...
    저도 아이가 급해하는데, 화장실 신발 갈아신기고, 유아시트 깔아야하고..발받침대 갖다놔야하고..
    볼일보고나면 유아변기시트 또 한번씩 씻어야하고..오줌이나 튀어요..말려야하고..
    넘 귀찮았어요....그래서 예쁜 헬로키티 변기 다시 사놓으니까, 아이가 자기가 알아서 뛰어가서 쉬하고
    넘 편했어요..다시 유아변기의 위력에 감사했죠....화장실에 앉혀놓으면 자꾸 불안해서 들어가봐야하고
    음..너무 번거롭고 싫네요..

  • 6. .....
    '13.1.28 9:11 AM (203.226.xxx.183)

    저도 번거롭지만 안전사고 걱정되어서 유아변기쓰는데 이제 세돌되니 지가알아서 벗고누고 보고하고 나름편한점도있어요.

  • 7. ..
    '13.1.28 9:13 AM (220.85.xxx.38)

    아이마다 달라요
    우리애는 허공에 뜨는 그 느낌이 무지 무서운 거 같더라구요

  • 8. 어..
    '13.1.28 10:16 AM (121.147.xxx.224)

    18개월이면 배변훈련이 좀 이르지 않나요.
    아이가 두돌 이상이고 키가 좀 크면 어른 변기에 시트만 올려도 스텝퍼 딛고 올라가 사용하기 무리 없지만
    두돌 이전 아기면 아무리 키가 크다고 해도 발이 좀 버둥거리기도 할테구요.
    어린이집 변기는 아예 어린이용 변기 아니던가요?

    조금 더 큰 이후에.. 올 여름이면 대충 두돌 되겠는데.. 그때 변기에 바로 하시던가
    지금 굳이 시작하시려면 유아변기 사용하시는게 나을거에요.
    근데 유아변기 사용하면 그거 변기에 버리고 닦고 말리고.. 그 과정이 또 귀찮더라구요.
    그래서 저희 애들은 2월 5월생이었는데 그냥 둘 다 두돌 넘어서 돌아온 여름에 바로 시트 올려서 했어요.

  • 9. 원글
    '13.1.28 11:10 AM (116.33.xxx.25)

    네^^ 답변 감사합니다.
    책에서도 그렇고 18개월이면 슬슬 시작하라고 본거 같아서요..
    몇일 지켜 보니.. 아침엔 정해진 시간쯤에 응가하러..이리저리.. 구석으로 가는것 같더라구요. ㅋ
    제가 따라 다니면 자꾸.. 뭐 마려운 표정으로 다른방으로 가는걸 보니.

    어디서 보니 어른 변기에서 바로 하면 나중에 다시 적응안해도 된다하시길래 ㅎ
    유아변기로 해야 겠어요. 그런데 어린이집 아직 등원안하는데.. 얼핏 보니 유아 변기는 안보이는것 같아서
    이왕이면 같은 방법으로 하는게 낫지 싶어 고민중이였어요.

  • 10. ...
    '13.1.28 11:20 AM (175.223.xxx.222)

    5월생 남아, 두돌 좀 넘어 여름에 성인변기에서 배변훈련 시작해서 금방 끝냈어요.
    착탈식 배변시트말고 어른용이랑 붙어있어서 올렸다 내렸다 하는 시트 썼구요.
    발받침 썼구 바닥에는 새천매트 깔아서 맨발로도 다닐수 있구요. ..
    굳이 일찍 시도할 필요가 있나 싶어요.
    따뜻해지고 나서 시작하셔도 될것같은데...^^

  • 11. ㅁㅁㅁ
    '13.1.28 3:08 PM (58.226.xxx.146)

    두 돌은 겨울이었고 2개월 더 있다가 봄이라 봄에 배변 훈련 시작했어요. 유아 변기에요.
    결국은 혼자 옷 벗고, 앉고, 배변하는걸 하게 하는거라 생각해서
    유아 변기에 혼자 앉는 것부터 시작했어요.
    늦게 시작해서 일주일만에 낮,밤,외출,소변,대변 다 가렸고요.
    유아 변기에 익숙해진 다음에는 화장실에 변기시트 올려놓고, 계단식 발받침 밟고 올라가게 했어요.
    화장실에서 세수하고 양치할 때 자기 신발 신고, 발받침 밟고 세면대에서 씻는건 이미 할 때라
    화장실에 가서 방향만 바꿔서 변기에 앉는 것도 금방 적응했어요.
    아, 그리고 유아 변기 쓸 때 기저귀는 계속 채웠었어요.
    팬티만 입히거나 벗겨놓거나 하는건 싫어서요.
    자기가 기저귀 벗고 앉아서 쉬 하고 그때 쓰지도 않은 그 기저귀 그냥 갈아줬었어요.
    팬티만 입혀놓으면 팬티에 쉬 하고, 그거 축축해서 쉬 가리게 한다기도 하는데 전 그게 싫었어요. 으..
    봄되면 해보세요~
    추우면 쉬도 찔끔찔끔 나오고 배변훈련하기 적당하지 않아요.

  • 12. 애기엄마
    '13.1.28 3:22 PM (114.224.xxx.161)

    저희 딸이 19개월에 떼는 연습해서 일이주만에 다 가리더라고요. 그땐 말도 못하던 아이였는데요.
    근데 딸애가 그전부터 엄마아빠가 변기에 쉬하는거에 관심이 많았고요. 한동안은 제가 화장실 갈때 문 열고 일봣답니다.
    혹시나 해서 마트에서 유아변기 3천원짜리 하나 사고 어른변기 위에 걸치는거 하나 더 샀는데 저희딸은 유아변기를 싫어하더라고요. 저도 비위가 약해서 유아용변기는 치우기 힘들었고요.
    애들 좀 크면 어른변기위에 덮는거 어차피 필요하니깐 함 사보시고 아이가 거부한다 싶으면 유아용변기사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7467 충주에 사시는 분들 도움 좀 주세요. 5 꼬맹 2013/02/05 1,126
217466 레알사전.......후회란????? 2 점심후디저트.. 2013/02/05 849
217465 헐 희대의 살인마 검거됐단 소식 떴네요. 25 진정한사랑 2013/02/05 13,847
217464 10-20년후엔 의학계에 어떤발전이 있을까요? 3 ,,, 2013/02/05 723
217463 올해 입학하는 예비초등생입니다. 방과후 특기적성교육... 1 2013/02/05 912
217462 하동균 목소리 너무 좋지않나요. 3 .. 2013/02/05 1,497
217461 갤럭시노트2(할부원금49만원) 이 조건이면 괜찮은건가요? 2 갤럭시노트2.. 2013/02/05 1,948
217460 의료행정이요 3 진로 2013/02/05 842
217459 설날에 한복입을건데 머리가 걱정이예요. 4 걱정 2013/02/05 896
217458 남편회사 경리분이 공인인증서랑 비번,계좌이체비번을 요구 26 why 2013/02/05 6,378
217457 단설유치원 졸업문의 1 간장이 2013/02/05 665
217456 체능단출신들이 체육은 확실히잘하나요? 9 체능단 2013/02/05 1,252
217455 명절에 오는 손님. 5 일복 많은 .. 2013/02/05 1,644
217454 힐링캠프 무료보기 어디가면 볼 수 있나요? 6 . 2013/02/05 2,941
217453 혼용율 좀 봐주세요 4 옷감 2013/02/05 695
217452 입주청소/이사청소 뽀송이청소 2013/02/05 710
217451 제가 그렇게 잘못한건가요? 66 ... 2013/02/05 12,498
217450 강아지 몇살이세요?? 8 .. 2013/02/05 1,544
217449 이번 겨울 젤 많이 입은 아우터는? 13 말해봐요~ 2013/02/05 2,618
217448 도움절실하네요.ㅠㅠ 11 대학선택 2013/02/05 1,608
217447 의사나 변호사 안 나오는 드라마는 없나요 7 ssok 2013/02/05 1,452
217446 아들의 의리 16 아들사랑.딸.. 2013/02/05 3,047
217445 영유1년차다니고 레벨테스트받았는데요..좀 안좋게나왔는데... 5 영어레벨테스.. 2013/02/05 4,552
217444 집값이 명절 전에는 오르나요? 2 집값 2013/02/05 1,070
217443 제사상차리고또삼일지나면설차례상차리기싫어요!!! 6 제사상 2013/02/05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