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기봐주시는 어머님 용돈 어느정도 드려야 할까요?

큰딸 조회수 : 5,354
작성일 : 2013-01-07 17:00:21
아기 낳고 한달 뒤쯤 친정 가서 아기를 키우려고 합니다.
전 3~4개월 쉬고 복직할 예정인데
친정에는 가사도우미를 주 2회정도? 불러드리려구요. 친정어머니께 생활비? 용돈? 정도 드리려고 하는데 얼마정도 드려야 할까요? 아예 아기가 두살될때까지 저랑 아기랑 친정 들어가서 살려구요 조언부탁드립니다^^
IP : 211.246.xxx.79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7 5:02 PM (14.63.xxx.22)

    월 150~200정도요?!

  • 2. ㅇㅇ
    '13.1.7 5:04 PM (211.237.xxx.204)

    원글님과 원글님 남편 그리고 애기까지 셋이 들어가 사는거라면
    생활비만 최소 100은 드려야 하고 (식비+ 난방등 공과금) + 아기 도우미 비용 100은 드려야 할듯..

  • 3. 원글
    '13.1.7 5:07 PM (211.246.xxx.79)

    헉 생각보다 많이 드려야 하는군요
    저랑 아가만 들어가 살꺼긴 한데
    주2회 도우미는 월 50정도 들걸로 예상했고
    친정어머니껜 한 100만원 드릴까 했는데..적은건가요?;;

  • 4. ...
    '13.1.7 5:09 PM (110.14.xxx.164)

    들어가 사신다면 생활비까지 드려야 하니 최소 150-200 요
    아이보는 비용 150 님 식비잡비 .. 50 정도 치고요
    근데 어머님이 넉넉하시면 좀 덜 드려도 될거 같아요 도우미 비용 따로 내시니까요
    도우미도 50은 들테고요
    거기다가 아이 분유 기저귀...은 따로 사다드리세요

  • 5. ..
    '13.1.7 5:13 PM (211.117.xxx.42)

    물론 각자 형편따라 케바케겠지만요.
    원글님.. 집에서 가사 안하고 애만 보는사람 12시간 불러도 백만원갖고는 어림도 없어요.
    친정 들어가 사시면 어머님께서 애만 보시는거 아니고 밥하고 원글님도 챙겨주실거잖아요.
    도우미 쓴다해도 살림이란게 매일매일 안할수가 없잖아요.

    100 드린다면 눈치껏 장보기 + 주말엔 어머님꼐 시간 드리고 가끔씩 뭐 사드리고..많이 챙겨드리세요.
    주변에 후배가 친정 들어가 살았는데 월 100 드리고 자기는 매일 야근하고 회식갈거 다가고 애는 친정엄마한테 맡기고, 장보는거도 엄마가 하셔..주말엔 딸 사위 밥해바쳐..그러다 결국 친정엄마 폭발하신거 봤어요.

    잘 하시겠지만 .. 애보는게 내자식 봐도 힘들잖아요. 돈 100에 가사도우미 불렀다고 나몰라라 하지 마시고
    이거저거 많이 챙겨드리세요. 애들 크기전까진 이래저래 시터비용에 남는게 없더라구요.

  • 6. ........
    '13.1.7 5:16 PM (1.252.xxx.234)

    82랑 현실이랑 다른데, 이런 부분 비용은 82가 엄청 세더라구요.
    주변에 물어보기도 하시고, 형편 내에서 하시면 될거에요.

  • 7. ...
    '13.1.7 5:19 PM (122.42.xxx.90)

    본인이 생각이 있다면 입주도우미 비용 검색해보면 금방 나오잖아요. 아무리 주2회 가사도우미를 부른다해도 유아 있는 집인데 결국 어머님이 입주도우미+가사도우미 역할을 하셔야하는데 100만원에 그거 다 해주는 사람이 어디있나요. 가족이니, 가족인데 이런 소리는 베푸는 사람이 해야 그나마 그 의미가 있지 님 입장에선 해당 안되는 얘기구요.

  • 8.
    '13.1.7 5:19 PM (114.204.xxx.151)

    82는 이부분 비용 너무 세게 측정하는 거 맞아요 주변에 물어보시고 어머니와 상의하는거 어때요

  • 9.
    '13.1.7 5:30 PM (223.62.xxx.188)

    이 가격이 세다구요? 제 주변은 다 이정도 하는데.. 평범한 맞벌이 서민이고요.

    현실은 그런 보통 얼마 드리세요?

  • 10. 글쎄
    '13.1.7 5:33 PM (121.134.xxx.90)

    82 가 이 부분을 과하게 측정하는게 아니라
    가족이라는 이유로 부모님의 손을 저렴하게 빌리려는거 아닐까요?
    아이돌보면서 살림한다는게 연세드신 분에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먼저 생각해 봐야죠
    주 2회 가사도우미 와도 애때문에 부모님이 꼼짝못하고 매여있는게 현실이니까요

  • 11. 복길
    '13.1.7 5:37 PM (211.246.xxx.169)

    들어가 살지 않고 애만 봐주시는 경우
    4-5년전에 50이 대세였거든요
    그러니 지금은 70-80 이 맞는거 같구요

    들어가 살 경우 생활비가 추가 되겠죠.
    따로 드리기 부담스러우면 협의하에 관리비, 가스비, 마트 장보는 비용 등을 전담하기도 해요.
    위에 분들은 따로 3식구 나와 살 경우에도 돈 200-300 드니 넉넉하게 드리라는 이야기 같아요

  • 12.
    '13.1.7 5:40 PM (223.62.xxx.7)

    진짜요? 4년 전에 출퇴근해서 웃집 아기 봐주시던 이웃 할머니가 월 180받으셨는데...
    친정엄마 DC가 큰가보군요.

  • 13.
    '13.1.7 5:56 PM (115.139.xxx.98)

    애만 봐주는데 50이라..애를 맡기는데 70~80이면 된다고요?
    친정 엄마라서 통용되는 이야기 인지는 몰라도 요즘 남의 손 쓰려면 얼마인지 통 모르시는가보군요.
    애 맡기고 들어가 살려면 입주 시터 얼마 줘야 하는지 함 알아보세요.
    요즘 시세가요. 한국입주는 200 + 알파 에요. 조선족은 140 넘고요.
    많이 드리라고 말씀드리는게 아니라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한다는거죠.

  • 14.
    '13.1.7 5:57 PM (115.139.xxx.98)

    애만 봐주는데 그 정도라는거에요.
    시터비 외 생활비는 별도 잖아요.

  • 15. 저희 옆집 보면
    '13.1.7 5:57 PM (58.231.xxx.80)

    50정도 드리던데 그건 저도 좀 심하다 싶고 82에 친정엄마가 보면
    과하게 부르는건 있는거 같아요 . 진짜 궁금하면 시부모님이라 하면
    솔직한 댓글 달리는것 같아요 시부모라면 82도 50달리더라구요
    한번 검색해보세요

  • 16.
    '13.1.7 6:12 PM (121.88.xxx.159)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100정도 드리고 기타물품 비용 따로 지불하는 것 같아요 시터비용 그냥 다 드린다고 생각하면 차라리 친정에 시터를 부르겠지요

  • 17. ..
    '13.1.7 6:26 PM (121.165.xxx.202)

    아~~무슨 사정인지 몰라도 내집에서 사람부르는게 제일 속편합니다..

  • 18. 흠..
    '13.1.7 6:38 PM (180.67.xxx.11)

    100만원 이상은 드린다 생각해야겠죠.
    외부에 맡기는 비용보다 더 드린다는 생각으로 계산해야 해요. 내 부모니까 남에게 맡길 때보다
    싼 값에 맡겨도 되겠지는 절대 금물!!!(그런데 우리나라 자식들 대부분이 이런 생각을 하죠.ㅡㅡ;;)
    내 부모니까 남에게 맡길 때보다 더 드려야 하는 거에요. 남보다 당연히 더 안전하고 잘 봐주실 거기
    때문에.

  • 19. 나는나
    '13.1.7 6:44 PM (218.55.xxx.157)

    8년 전에 70(생활비)+50(양육비)에 가사도우미 별도 이렇게 드렸습니다.

  • 20.
    '13.1.7 8:53 PM (123.213.xxx.83)

    수입에 따라 정해지겠죠.
    하지만 전적으로 봐주시면 최소 팔십부터구요
    생활비는 따로 드리면 되겠죠.

  • 21. 근데
    '13.1.7 9:34 PM (114.177.xxx.188)

    남편분은...??
    아기 두살 때까지 아빠 없이 자라는건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6390 며칠 전 올랐왔던..솔치에 관하여.. 17 너무하네.... 2013/01/08 5,207
206389 갈수록 친구관계 힘들어요... 5 2013/01/08 3,248
206388 네파 구스다운 반품할까요 5 바다짱 2013/01/08 3,075
206387 '80년 광주' 다룬 스피드 '슬픈 약속' 뮤비 참맛 2013/01/08 924
206386 창신담요로 암막커튼한 후기에요 반지 2013/01/08 2,667
206385 요즘은 여성의 경제력 정말 중요한가봐요 5 ㄴㄴ 2013/01/08 3,252
206384 초마늘을 잔뜩 사왔어요! 4 갈릭 2013/01/08 1,651
206383 다른집보다 깨끗하면 시세보다 높게 내놔도 괜찮을까요? 1 전세 놓을때.. 2013/01/08 1,601
206382 대단해요 mb!!종교인 과세!!복지재원 마련을 위해 5 ... 2013/01/08 1,489
206381 김지하의 3천만원 드립은 너무 추하네요. 12 너희들왔니 2013/01/08 2,910
206380 분당이 살기는 참 좋네요.. 10 . 2013/01/08 4,516
206379 학창시절에 무슨과목 잘하셨어요 18 ... 2013/01/08 1,454
206378 중국 언론인들이 언론자유 수호를 위해 중국정부와 맞짱 뜨네요!!.. 4 참맛 2013/01/08 851
206377 수서쪽 아파트...학군 교통 좀 봐주세요... 6 ... 2013/01/08 3,367
206376 증권계좌에서 본인모르게 돈이 증발했는데 범인이 여동생이였다면 어.. 11 이건뭐지 2013/01/08 3,050
206375 마트 인터넷 주문 요즘 이런가요?(대체요청) 5 .. 2013/01/08 1,470
206374 남자아이 아동복 이런 건 어디서 사지요? 5 아동복 2013/01/08 1,612
206373 창원분들 화인치과 어떴나요? 창원칫과 문.. 2013/01/08 5,266
206372 출산 후 생리통 없어진 분들 많으세요? 6 으아 2013/01/08 1,791
206371 보셨나요? 문재인님 답장 보내셨대요~ 10 어머 2013/01/08 3,559
206370 팥시루떡 먹고 남은 팥고물(?) 재활용 방법 알려주세요~~ 10 .. 2013/01/08 4,037
206369 인강 어디가 좋은가요? 6 예비중,,절.. 2013/01/08 2,217
206368 전기매트 사야 하는데 구들장할까요? 아님 일월할까요? 6 재키 2013/01/08 2,900
206367 좋은 밍크레깅스 추천해주세요 6 레깅스 2013/01/08 3,036
206366 한겨레+전남+시사인묶음, 광고jpg그림파일 신청하실 분 64 믿음 2013/01/08 3,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