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책 많이 읽는다고 공부 잘 할 거라고 장담할 수 있을까요..

분서깽판유 조회수 : 2,700
작성일 : 2012-11-21 17:25:37

제가 수능 외국어 영역 강사입니다.

예전에는 상담오는 부모님들께도, 학생들에게도 독서 정말 많이 강조했습니다.

"고등학교때 갑자기 치고 나오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독서량이 많거나, 목표 의식이 뚜렷하고, 머리가 비상하고, 수학 성적이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라면서요

 

지금도 독서의 힘 굳게 믿고 있습니다만.

 

하지만. 그냥 시간 때우고 재미로 책을 읽.어. 치.우.는 독서보다는 천천히 읽고 씹으면서 온 머리와 몸을 다 쓰는 책읽기가 중요하단 생각이 듭니다. 점점 더요.

 

저만 해도 어렸을 적부터 책을 많이 읽어 잡지식은 많지만, 뭐랄까, 전체를 보는 능력, 논리력과 문제 해결 능력은 부족하다는 것을 많이 느끼거든요.

에효, 어머니 모임에 나갔더니. 하도 책 읽기, 책 읽기 이야기들이시길래. 주저리 주저리 써봅니다.

 

IP : 222.110.xxx.10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반드시 그렇진 않아요..
    '12.11.21 5:31 PM (39.112.xxx.208)

    그치만 문장 이해력은 확실히 높아져요. ^^
    제 경우는 사춘기를 책과 지냈으나 주로 문학과 로맨스에 편중됐던지라....... 공부는...ㅋㅋ
    그치만 국어 점수는 늘 높았어요. 문법 공부를 딱히 안했는데도 그냥 쉽더라구요. 자연스럽게 정립된듯..ㅎ

  • 2.
    '12.11.21 5:40 PM (58.151.xxx.157)

    확실한건 안읽는거보다야 몇배는 더 좋은거죠.
    님이 말씀하신건 그냥 책읽는것보다 더 집중해서 읽는게 좋다는거구요.
    다시말해 안읽는거보다는 읽는게 좋고 그냥 읽는거보다는 집중해서 읽는게 더 좋고..

    확실한건 우리아이나 조카들을 보면 티가 나던데요.
    책만 많이 읽는다고 잡지식이 많거나 논리정연하거나 그런것도 없지는 않겠지만 그것보다 생각을 더 많이 할 수 있다는거, 그리고 문장력이나 언어력이 더 뛰어나진다는건 있는거 같아요.
    유치원때부터 초등저학년때까지 책을 많이 읽으면 초등 고학년 이후부터 차츰 보이는것 같더라구요.

  • 3. ...
    '12.11.21 5:40 PM (180.224.xxx.55)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었는데.. 국어는못했는데..

  • 4. 우리집 두 아이들
    '12.11.21 5:45 PM (121.148.xxx.172)

    고등 아이는 간단 간단하게만 책을 읽는 스타일,책만 읽으면 잠온다는...
    중3 아이는 이미 초등때 한국고전문학까지,하여튼 책사서 아깝다는 생각 전혀
    안들 정도로 많이 읽는 다독+정독이지만 게시글 마지막에 적혀 있는 그대로입니다
    잡지식은 그 뒤로 문제해결 능력부족 그대로입니다.
    큰아이 국어(언어)는 물론 학교성적 나중에는 어쩔지 모르지만 현재까지는 중요과목
    내신과 모의 등급 아주 잘나옵니다.(평가방법이 이것밖에)
    제 결론은 책을 많이 읽고 안읽고가 아니라고 봐요.

  • 5. ...
    '12.11.21 5:55 PM (222.109.xxx.40)

    책 많이 읽으면 공부도 도움 되지만 사리 판단과 분별력이 있어요.
    그리고 청소년기에 조용하게 잘 보내요.
    말을 조리있게 잘하고 이해력도 있고요.
    그리고 엄마가 잔소리 많이 안해도 알아서 하고요.

  • 6. ㄹㄹ
    '12.11.21 5:56 PM (58.236.xxx.20)

    제가 산증인입니다 책 엄청 읽어댄 활자중독자.. 그러나 공부엔 취미가 없는...
    소설책 잡지 과학도서 인문도서 신문등등 종류를 가리지 않아요..
    얕은 지식은 엄청 나죠..ㅎㅎㅎ 공부엔 전~~~혀 관심이 없었어요
    근데 중3부터 고1때 공부 하는 시늉좀 해볼까 싶어 시늉좀 했더니
    수학 빼고는 금세 10등안으로 들긴 하더라구요.. 작심 2년 이었네요..

  • 7. 친언니
    '12.11.21 6:19 PM (125.152.xxx.169)

    책열독으로 잡지식 무장한 언니 딱 국어만 잘했고 다른 과목은 그다지 ㅜㅜ 대학 그냥저냥 나와서 그냥 학원 선생.. 말은 잘해요..또 책 많이 읽어서 약간 선무당.. 암튼 공부와 연결은 잏지만 꼭 그렇지 만은 아님

  • 8. 옳소
    '12.11.21 6:43 PM (1.225.xxx.85)

    핵심을 잘 얘기하셨네요~

  • 9. xy
    '12.11.21 7:19 PM (180.182.xxx.140)

    제 개인적인 의견은 좀 더 첨가하자면요..
    원글님 말씀 뭔말이지 알겠기에 동의하구요..사실 그냥 책 많이 읽는건 크게 도움안된다고 봅니다..
    우리애랑 저를 비교해봤거든요.
    우리애 국어하는거 가만 보면...비문학 제외하고 문학인 경우..공감능력.상대에 대한 이해가 깊은 아이가 국어를 잘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는 국어를 좋아하진 않았어요..물론 국영수 성적이 좋은편이였음에도 그중 국어는 딱히 저랑 잘 맞지 않았고.무엇보다 저는 제 생각 위주로 국어공부를 했었어요.
    우리애는 그 글을 쓴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려고 했고..그 담에 자기생각이 나중에 덧붙여지더라구요.
    이게 참 중요한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제 답이 왜 틀렸는지 가끔 이해가 안되는경우가 나왔구요..
    우리애는 오답체크할때 빨리알아차리더라구요.
    그능력이 부러웠어요.
    이런 부분에서는 딸이지만 질투가 나더라구요.

    책을많이 읽으면서이런능력이 보태지기도 하지만 애 성향의 차이도 있을거라 봅니다.
    그리고 고전을 많이 읽혀야겠단 생각 많이 들었어요..

  • 10. 책은
    '12.11.21 9:10 PM (222.235.xxx.69) - 삭제된댓글

    단지 시험점수만 잘나오라고 읽히는건 아닌게 확실합니다.책만!읽으면 문제가 될수있겠지만 책 많이 읽는거는 사고력에 도움많이주죠.소설책만 읽는다던가 편독을 해선 물론 안되는거구요.

  • 11. 독서
    '12.11.22 10:21 AM (125.128.xxx.63)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으면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지고 인생이 좀더 풍부해지는것 같아요
    하지만 요즘 엄마들 너무 책책 하는건 보기 안좋은건 사실이구요

  • 12. 공부
    '12.11.22 1:21 PM (121.162.xxx.6)

    도 역시 책 읽는 게 기본 아닌가요?
    교과서도 책이잖아요
    저는 책 읽기도 중요하지만
    읽은 후에 글쓰기 훈련도 중요하다고 봐요
    읽은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도 하고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는 과정이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9141 새누리당은 없어져야 할 당 3 .. 2012/12/05 857
189140 다카키 마사오 다시 1위 등극 14 ㅋㅋㅋ 2012/12/05 8,053
189139 감기 후 온몸이 뻐근한게 잘 안낫네요 3 마음 2012/12/05 891
189138 의견 입장 취향의 차이가 너무 크네요 알록달록 대.. 2012/12/05 685
189137 어제 토론 ㅋㅋㅋ 2 옮겨왔음 2012/12/05 1,088
189136 어린나이에 부모님 여의시고..ㅉㅉ 5 닭대가리 2012/12/05 2,168
189135 출처를 모르는 돈이 입금되었네요 2 쐬주반병 2012/12/05 6,312
189134 새누리 “선관위, 특단의 이정희 대책 마련하라“ 5 세우실 2012/12/05 1,865
189133 아직 나꼼수 봉주 23회 못들은 분들을 위한 버스! 5 바람이분다 2012/12/05 1,519
189132 다까끼마사오 얘기 어디나오나요?? 6 네이버 2012/12/05 1,266
189131 혹시 주변에 크루즈 승무원 하는 분 계신가요...? 혹시 2012/12/05 1,787
189130 센스 교수님의 출석 점수, '헤어져 힘들다면 출석 인정?' 2 ㅋㅋㅋ 2012/12/05 1,408
189129 이정희후보 현수막 바뀜. 30 광팔아 2012/12/05 21,614
189128 김치냉장고에 동치미보관은 김장코스하면 되나요? 2 동치미 2012/12/05 1,355
189127 유시민, 어제 토론서 "직접 네거티브를 박근혜 후보가 .. 1 참맛 2012/12/05 2,065
189126 미국 안 좋아하지만 선거 비교해보면... 2 유권자 2012/12/05 925
189125 눈오는데 뭐 신고나가세요? 5 레이요우 2012/12/05 1,654
189124 누님들 커피 이렇게 먹는거...? 1 드라첸코 2012/12/05 1,479
189123 강아지 발바닥에서 팝콘냄새 15 ^^ 2012/12/05 3,375
189122 이거 맞나요? 4 사탕별 2012/12/05 1,008
189121 눈 장난 아니에요 ㅠㅠ 6 눈폭탄 2012/12/05 2,384
189120 이말의 안타까움 1 이 와중에 2012/12/05 1,597
189119 박근혜의 재산.... 3 난 궁금한.. 2012/12/05 1,556
189118 신생아 키우는집 온도는? 5 우웅 2012/12/05 3,607
189117 ′26년′ 개봉 6일 만에 100만 관객 돌파 8 샬랄라 2012/12/05 1,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