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2060년 대한민국, 2경원 빚진 노인나라 된다(?)

학수고대 조회수 : 880
작성일 : 2012-10-25 17:59:33
미래의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요? 모두 궁금하게 생각하는 일입니다. 더욱 강하고 부유한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지요. 그런데 기대와 달리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 여파로 2060년의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의 2.2배 수준인 2경(京)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6월 2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12~2060년 장기 재정전망 및 분석’ 을 보면 대한민국 재정은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2034년부터는 지속가능성을 상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가채무 규모는 2023년에 1000조원, 2041년에 5000조원, 2051년에는 무려 1경원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연금 적자 전환과 기금 고갈 시기는 각각 2041년, 2053년으로 기존 전망보다 각각 3년, 7년 일찍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즉 48년 뒤면 한국 정부 살림이 그리스, 스페인 같은 재정위기 국가들보다도 부실해진다는 진단입니다.

잠재성장률은 2025년까지 3%대를 유지하다가 2%대로 떨어지고 2040년부터는 1%대, 2055년부터는 1% 미만으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재정 총수입보다 총지출이 가파르게 늘면서 관리대상수지는 올해 GDP 대비 1.2% 적자에서 계속 악화됩니다. 특히 2053년 국민연금기금이 고갈된 이후인 2060년엔 적자폭이 13.1%로 커질것으로 전망됐지요.

박종규 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장은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고령사회에 들어서는 2018년 이전에 비과세감면을 대폭 축소하고 국민연금 보험료율 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래세대가 막대한 국가채무를 지지 않게 하려면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보고서는 재정악화의 부담이 고스란히 중년층 이하 젊은 세대일수록 무겁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미 1957년 이후 출생한 사람부터 정부로부터 얻는 편익보다 조세 부담이 더 크다”고 합니다. “현재의 중노년 계층과, 이후 세대간 불균형 문제가 계속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비관적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우리 사회가 2026년에는 노인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기 때문입니다. 인구구조가 노령화될수록 노동투입은 줄고 민간소비나 투자도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분석엔 복지정책을 더 도입하지 않고 세법도 2060년까지 바꾸지 않는다는 전제가 깔려있지요.

그런데 오늘날 각 정당이 경쟁적으로 제시하는 무상복지 공약은 어떤가요? 경제적 측면에서 깊이 있는 고찰을 거친 현실성 있는 정책일까요? 이들이 내놓은 각종 복지정책을 시행한다면 우리경제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한번 깊이 생각해봐야겠습니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041 여행사에서 자유여행 상품을 구입했는데요. 2 여행초보 2012/10/26 856
    172040 강남사람이 노무현 문재인 싫어하는 것 이해가 안되요 6 2012/10/26 1,568
    172039 장녀라고 이래저래 짐만 있네요 6 피곤 2012/10/26 2,311
    172038 극세사 커튼은 어때요? 1 ... 2012/10/26 1,943
    172037 층간소음 저녁은 몇시 아침은 몇시라 생각하세요? 6 Zz 2012/10/26 2,185
    172036 농심 라면 산곳에서 환불해주나요? 1 너구리 2012/10/26 1,031
    172035 자꾸 옷을 사게되요 15 말려주세요~.. 2012/10/26 4,314
    172034 플로리다 여행..팁좀 주세요... 12 여행 2012/10/26 3,446
    172033 곶감망했어요 ㅠ 5 언제다시해 2012/10/26 1,920
    172032 오토비스 신형 vs 구형?? 어떤게 나을까요??? 1 지름신 2012/10/26 1,325
    172031 문재인후보 페북에 많은 알바단이 댓글을 남겨요 3 .. 2012/10/26 1,141
    172030 고속버스터미널에서 과천정부청사까지 어떻게 가는게 빠를까요 7 사랑 2012/10/26 1,985
    172029 미숫가루 만드는법 아시는분 4 2012/10/26 2,618
    172028 중국이랑 우리와의 차이가 엄청나게 벌어진 상태군요. 7 놀람 2012/10/26 2,510
    172027 리리코스 마린셀프 에스테틱 키트 3 맛사지 기계.. 2012/10/26 1,707
    172026 안철수 캠프...후원금이 많이 부족한가봐요 18 ........ 2012/10/26 3,235
    172025 남편한테 정이 안가요 2 2012/10/26 2,272
    172024 저도! 도연이라는 이름은요 9 알흠다운여자.. 2012/10/26 2,625
    172023 채현이란 이름은 어떤가요 7 .. 2012/10/26 1,801
    172022 파운데이션 더블웨어를 능가할 자 없을까요? 11 파운데이션 2012/10/26 4,708
    172021 정민이라는 이름에 관한 기억 6 정민 2012/10/26 1,581
    172020 성형수술 하고 싶은데.....지혜 좀 주세요. 10 그냥그래 2012/10/26 2,202
    172019 여동생이 눈에 피멍이들어왔어요 20 ㅜㅠㅠ 2012/10/26 14,338
    172018 밀양 얼음골에서 직접 사과 사 드시는 분 계시나요? 7 .. 2012/10/26 2,851
    172017 법률상담) 유류분청구소송에 대해서... 5 알려주세요 2012/10/26 2,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