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60년 대한민국, 2경원 빚진 노인나라 된다(?)

학수고대 조회수 : 836
작성일 : 2012-10-25 17:59:33
미래의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요? 모두 궁금하게 생각하는 일입니다. 더욱 강하고 부유한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지요. 그런데 기대와 달리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 여파로 2060년의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의 2.2배 수준인 2경(京)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6월 2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12~2060년 장기 재정전망 및 분석’ 을 보면 대한민국 재정은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2034년부터는 지속가능성을 상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가채무 규모는 2023년에 1000조원, 2041년에 5000조원, 2051년에는 무려 1경원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연금 적자 전환과 기금 고갈 시기는 각각 2041년, 2053년으로 기존 전망보다 각각 3년, 7년 일찍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즉 48년 뒤면 한국 정부 살림이 그리스, 스페인 같은 재정위기 국가들보다도 부실해진다는 진단입니다.

잠재성장률은 2025년까지 3%대를 유지하다가 2%대로 떨어지고 2040년부터는 1%대, 2055년부터는 1% 미만으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재정 총수입보다 총지출이 가파르게 늘면서 관리대상수지는 올해 GDP 대비 1.2% 적자에서 계속 악화됩니다. 특히 2053년 국민연금기금이 고갈된 이후인 2060년엔 적자폭이 13.1%로 커질것으로 전망됐지요.

박종규 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장은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고령사회에 들어서는 2018년 이전에 비과세감면을 대폭 축소하고 국민연금 보험료율 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래세대가 막대한 국가채무를 지지 않게 하려면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보고서는 재정악화의 부담이 고스란히 중년층 이하 젊은 세대일수록 무겁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미 1957년 이후 출생한 사람부터 정부로부터 얻는 편익보다 조세 부담이 더 크다”고 합니다. “현재의 중노년 계층과, 이후 세대간 불균형 문제가 계속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비관적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우리 사회가 2026년에는 노인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기 때문입니다. 인구구조가 노령화될수록 노동투입은 줄고 민간소비나 투자도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분석엔 복지정책을 더 도입하지 않고 세법도 2060년까지 바꾸지 않는다는 전제가 깔려있지요.

그런데 오늘날 각 정당이 경쟁적으로 제시하는 무상복지 공약은 어떤가요? 경제적 측면에서 깊이 있는 고찰을 거친 현실성 있는 정책일까요? 이들이 내놓은 각종 복지정책을 시행한다면 우리경제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한번 깊이 생각해봐야겠습니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921 영화 용의자x 방금보고나왔어요. 제 취향이었어요! 7 꾸지뽕나무 2012/11/02 2,017
    174920 고양시 행신동 사시는 분들 2 신혼부부 2012/11/02 1,649
    174919 진짜 궁금한데, 전지전능한 야훼신 이스라엘이 왜 3번망한 역사가.. 18 진짜이상타 2012/11/02 2,036
    174918 톡톡한 레깅스 추천 부탁드려요. 5 옥*이면 더.. 2012/11/02 1,943
    174917 초등5 집에서 혼자 공부할때... 도움주나요? 15 직장맘 2012/11/02 2,188
    174916 필요할때만 찾는친구? 5 섭섭 2012/11/02 3,687
    174915 마음이 울쩍해서!문화의 차이인가요??성격의 차이 인가요~~~~~.. 11 ... 2012/11/02 1,895
    174914 더럽지만 궁금한 이야기 4 좀 그런 이.. 2012/11/02 1,631
    174913 bsw 무선주전자 스테인레스로 4 영이네 2012/11/02 1,403
    174912 어르신들 제발 오지랖 좀 그만!! 7 그만 쫌~!.. 2012/11/02 2,163
    174911 혈뇨,단백뇨 수치가 높아서 신장내과 CT 찍어야 한다고 합니다... 1 ... 2012/11/02 7,947
    174910 요즘 쉐프@ 세일 안하나요? 5 곰솥 2012/11/02 1,218
    174909 궁모님 운이 슬슬 다해가나 보죠? 7 발가락다이아.. 2012/11/02 1,987
    174908 경제력있다면 여자가 독신도 괜찮을까요? 11 경제력 2012/11/02 8,106
    174907 가을끝자락 잡고싶은 반나절 여행 어디가 좋을까요? 11 일요일 2012/11/02 2,259
    174906 아이방 관련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아이하나 2012/11/02 796
    174905 1500억 베팅한 안철수가 쉽게 양보할까요? 5 글쎄 2012/11/02 1,379
    174904 훈계하던 어머니 중상, 아들이 술 마시고 때려 1 참맛 2012/11/02 1,429
    174903 허리가 아픈데 꼭 병원 가야 하나요? 3 허리 2012/11/02 1,514
    174902 감자탕에 무청 넣어도 될까요? 5 ... 2012/11/02 1,549
    174901 조카 결혼 절값 봉투에 이름을 적나요 2 11월 2012/11/02 8,845
    174900 슬전물좌 (부모님무릎앞에 앉지 말라)...이게 무슨뜻인가요? 2 어려워요 2012/11/02 1,458
    174899 서희는 상현이를 사랑했었던 건가요? 10 토지 2012/11/02 3,346
    174898 이시간에 갈만한 여행지 있을까요 2 일박이박 2012/11/02 988
    174897 배우 류승룡, 배려심 있네요 (일부 펌) 2 2012/11/02 2,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