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짓기.. 부엌 고민..

~~ 조회수 : 2,323
작성일 : 2012-10-24 13:40:00

내년 가을쯤 집 지으려고해요.

어떤 구조로 지을지 구상중인데요.

일단 최대한 작게 짓고 싶어요. 집이 넓으면 청소도 힘들고.. 휑한게 싫어서요. (집을 작게 짓기위해서 방과 방사이의 복도도 없앨까 생각중임)

 

고민되는곳은 주방, 거실인데요.. 작게지으려면 당연 오픈형 원룸으로 지어야겠는데..

 

지금 제가 사는 아파트가 ㄷ자 오픈주방거든요.

조리할때 거실의 남편과 대화를 나누고 티비도 같이보고 집이 넓어보이고~ 그건 장점인거 같아요.

근데.. 주방일이 끝나면 식탁에서 차도 마시고 책도 읽고싶고한데.. 거실에서 남편이 티비라도 볼라치면.. 뭘 할수가 없네요..

그래서 좀 공간을 잡게 되더라도 거실과 주방을 분리하는게 어떨까.. 고민예요..ㅠㅠ

분리된 곳은 살아보질 않아서.. 계속 집짓기 책보면서 어떨까 어떨까 상상해보는데.. 잘 모르겠어요..

나만의 공간이 확보되는건 좋은데.. 가족과 단절되는건데 괜찮을까 싶기도하고..

거실과 부엌이 분리된곳에 사시는분 어떠신가요? 장점이 더 많을까요?

 

(저만의 공간이 필요하긴하지만 방을 따로 만들고 싶진 않아요. 지금 집도 제 방이 있지만 잘 안들어가거든요...)

IP : 119.194.xxx.15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따라
    '12.10.24 1:53 PM (218.186.xxx.226)

    저는 주방이 거실 옆에 따로 분리되어 있고 방처럼 문이 달려있는 집에 살아요.(외국)
    완전히 분리된 공간이죠.
    처음엔 한국의 오픈주방에 익숙해서 구조가 왜 이런가 싶었는데, 10년 살다보니 장점이 많아요.
    삼시세끼 집밥 하는 저는 냄새나는 요리 할때는 문 닫고 하구요, 주방이 좀 지저분해도 치워야 한다는 압박감이 덜 하구요.
    특히, 일주일에 한번은 온 집에 연기를 날리며 스테이크를 굽기 때문에 독립된 주방이 좋더라구요.

    단점은 아시는것 처럼 아이들과 단절된다는것.
    아이들이 어려서 수시로 엄마를 부르는데.. 바로 옆 식탁에 앉혀놓고 숙제를 시키든.. 뭘 하면 좀 편할텐데 싶어요.

    아이들이 너무 어리지 않으면 분리하세요.

    그런데 반드시 주방 한쪽은 베란다로 열려 있어야 해요. 그래야 거실쪽 문 닫아도 통풍이 되죠.

  • 2. ***
    '12.10.24 2:22 PM (222.110.xxx.4)

    주택에서 10년 정도 살았는데 미닫이 투명 격자유리문이 있는 구조였어요.
    주방 창문이 외부로 바로 연결되는 구조였고 평상시에는 열어 놓고 사용하다가
    곰국처럼 오래 끓이는 음식이나 냄새 많이 나는 음식할 때는 닫아놓고 사용했어요.
    유리문이어서 답답하지 않았고 좋았어요.
    그런데 집을 좁게 짓고 싶으시다면 공간이 답답할 가능성도 있을거에요.

  • 3. 원글이
    '12.10.24 2:23 PM (119.194.xxx.154)

    댓글 감사합니다. 분리되는게 흔한 구조는 아니었군요.
    요즘 유행이 작은집, 독립된거보다 다용도로 쓸수 있는곳,, 그런거라 하더라구요. 전 흐름에 벗어나는듯^^
    나만의 부엌이 저의 로망이라.. 장점들이 눈에 들어오네요.

  • 4. ..
    '12.10.24 2:23 PM (112.202.xxx.64)

    주방이 거실이랑 오픈되면 아주 깔끔하고 정리 잘하시는 분들 아니면
    좀 지저분하게 보일 수도 있는데 분리되면 그런 점은 좋아요.

    사실 오픈 부엌은 서구식 스타일에 맞는다고 생각해요.
    그들은 워낙 요리가 간단하고 시간이 별로 들지 않기 때문에 후다닥 만들 수 있지만
    한국 요리는 손이 많이 가는지라 식사 준비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죠.
    공간이 넓어보인다는 장점은 있지만 요리 만들때 거실까지 냄새나고 정신 없는 면이 있으니까요.
    그래서 분리되면 음식에 집중해서 할 수 있는 점도 좋구요.

    근데 집이 아주 넓은 평수고 부엌이 분리된 구조라면 가족과 단절되는 면이 있겠지만
    집 평수가 그리 크지 않으면 염려될 것 없을 것 같은데요.

    저도 거실과 부엌이 분리된 구조인데
    부엌으로 들어가는 곳엔 따로 문이 있지 않고 아치형으로 입구가 있어요.
    완전 분리되지 않은 이런 구조도 좋은 것 같아요.

  • 5. 원글이
    '12.10.24 2:30 PM (119.194.xxx.154)

    오픈형인 지금집은 주방이 훤히 보이니 정리, 청소에 목숨걸게 되더라구요.
    아직 남편과 저 2가족이라 콘도같은집같아 보이지만.. 아이 생기면..뭐..;;
    주방에선 요리가 주가 되어야하는데 청소하는거, 보여지는거에 더 신경쓰여지니 이건 좀 아닌거 같단 생각도 들고 그러네요.. 댓글달아주신거 보니 더더욱 그런생각이 들어요.

  • 6. 분리
    '12.10.24 4:57 PM (221.152.xxx.184)

    오래된 주택인데, 부엌이랑 분리되어있어요. 문닫으면 부엌은 아늑한 공간이 되죠
    저 분리된것이 훨씬 좋아요. 설겆이하거나 그릇시끄러운 소리도 신경안써도 되고.
    부엌문있다고 가족들과 뭐, 단절까지 됩니까, 7살 5살 아이있구요
    전 다음에도 부엌,거실 분리된 곳에서 살고 싶어요

  • 7. ....
    '12.10.24 6:30 PM (112.121.xxx.214)

    주택인데요...주방이랑 거실이 완전 일자로 나란히 있어요.
    현관 들어서면 왼쪽은 거실, 오른쪽은 주방이에요.
    미닫이 문이 달려 있는데요...문틀 폭이 주방 폭보다는 좁아요..(즉 주방 입구는 좀 좁아요 신발장땜에)
    전에 살던 사람은 주방문을 떼고 일자로 사용했고요...
    저는 문 달고..때에 따라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사용해요.
    원글님 방식엔 이런게 좋을거 같아요..구조상으로는 나란히 있지만 문을 열수도 닫을 수도 있는거요.
    저희 집은 다 좋은데..일단 문을 달면 문 하나는 항상 닫혀 있다보니 기본적으로 좀 막혀요.
    열어 놓았을때 최대한 많이 열리는 그런 문으로 하시면 좋을것 같아요...밑에 문틀도 없는..

    전에 살던 집은 주방과 거실 사이에 문은 없지만 벽으로 완전히 가려져 있었는데요...
    거실 벽 뒤가 주방이고, 중간에 다이닝룸이 옆으로 있구요...거실-다이닝룸-주방이 ㄷ자로 배열된?
    (즉 다이닝 룸에선 주방과 거실이 다 보임)
    그 구조도 나름 괜찮았는데...주방과 다이닝룸이 분리되면..깔끔한 대신 음식한거 나르는게 좀 귀찮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089 이런 상황에서 집을 파는게 옳을까요? 현명한 조언을 부탁드려요 4 ... 2012/11/06 1,763
176088 공화당의 꼼수 ‘투표율을 낮춰라’ 1 샬랄라 2012/11/06 1,214
176087 마인 코트 괜히입어봤어요 7 겨울 2012/11/06 8,099
176086 세탁소에 아끼는 니트를 맡겼더니 배꼽쫄티를 만들어 왔네요ㅠ 4 2012/11/06 2,936
176085 유모차택배보내려는데 어떻게..어느택배가 가장 나을까요?? 2 택이처 2012/11/06 3,689
176084 美위안부기림비 '말뚝 테러' 용의자는 20대 초반 일본인 세우실 2012/11/06 1,748
176083 손이 유난히 차가울땐 어느 병원으로??? 5 손시려요 2012/11/06 2,812
176082 standard luxe 라는 보세 옷 어디서 사나요? 3 82가모르면.. 2012/11/06 2,445
176081 아이들이 바를수 있는 립글로즈 있나요? 3 아이들 2012/11/06 1,546
176080 이명박그네...측근 쓰는 법도 닮았네? 그러네?? 2012/11/06 1,261
176079 고구마 탄내가.. 4 아바타 2012/11/06 1,699
176078 보풀안나는 폴라티 소재 좀 알려주세요^^ 1 폴라티 2012/11/06 4,422
176077 삐용의 울음소리에 대한 대책은..ㅠ.ㅠ 17 삐용엄마 2012/11/06 2,129
176076 수술할 시간에 밥먹으러 가는 사람 14 배재 2012/11/06 2,722
176075 영어공부할 괜찮은 원서 추천 좀 부탁합니다. 10 오키로 빠질.. 2012/11/06 3,258
176074 4인가족 제일 자주 쓰이는 냄비는 몇센치 냄비인가요??? 5 주방용품 2012/11/06 1,831
176073 특허청 근처에 괜찮은 치과 아시는 분~~~~ 국기원이나 2012/11/06 897
176072 집앞에 나갈때 맬수있는 명품가방 하나만 추천해주세요 6 30대중반 2012/11/06 2,851
176071 발도르프 어린이집하고 공동육아 어린이집 하고 차이가 무엇인가요?.. 10 쌍둥이엄마 2012/11/06 6,056
176070 36살 인데요. 노스페이스 꽃분홍 패딩이 입고 싶은데 사도 될까.. 19 나나 2012/11/06 3,227
176069 타블로생활고? 31 ,,,,,,.. 2012/11/06 10,851
176068 예비중학생 인강 추천 좀 해주세요 3 더클수있어 2012/11/06 2,941
176067 소고기 돼지고기 끓이고 기름 개수대에 6 양심이 2012/11/06 2,733
176066 폴로에서 Turtleneck(폴라티?)를 사려는데, 소재 좀 봐.. 아기엄마 2012/11/06 1,083
176065 생우유를 안 먹는 아이, 세끼 열량 어떻게 보충? 6 초보엄마 2012/11/06 1,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