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가 좋아하는 두 남자의 건축 이야기

.... 조회수 : 2,239
작성일 : 2012-10-14 21:51:53
조국교수님과 승효상 선생님의 대담입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55723.html
IP : 140.247.xxx.51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12.10.14 10:02 PM (14.40.xxx.61)

    “건축이라는 단어는 일본 사람들이 만든 말입니다. ‘세울 건’과 ‘쌓을 축’ 자를 조합했는데 노동을 뜻하는 말일 뿐, 건축을 설명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단어입니다. 영어에서 건축을 말하는 ‘아키텍처’는 으뜸이란 뜻의 ‘아키’와, 기술을 뜻하는 ‘텍처’가 합쳐진 말로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으뜸이 되는 큰 기술이란 뜻이죠. 건축가를 가리키는 말은 ‘아키텍트’입니다. 앞글자인 에이자를 대문자로 쓰면 조물주가 되지요. 중국 사람들은 건축을 원래 ‘영조’라고 썼습니다. ‘가꿀 영’, ‘만들 조’ 자를 합친 것이니, 그 뜻 역시 큽니다. 우리말에 가장 좋은 말이 있는데, ‘짓다’입니다. 건축은 ‘세우는 것’이 아니라 ‘짓는 것’입니다. ‘지음’이란 것은 질료에 자기 사상과 이념을 넣고 기술을 사용하여 전혀 다른 물건을 만드는 것이죠. 건축은 사유의 과정을 거친 창조입니다. 건축을 부동산으로 이해하는 것은 가장 저급한 이해지요.

    건축을 조금 낫게 봐주면 공학으로 보고, 더 잘 봐주면 예술로 봅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도 다 잘못된 시각입니다. 건축의 본질은 공간, 특히 내부공간을 만드는 것입니다. 내부공간은 우리가 사는 방법 때문에 있는 것입니다. 공간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삶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내부공간이란 것이 눈에 보이지 않으니까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우리가 어떤 곳에 가서 감동하면 그 공간에 감동한 것입니다. 이 감동을 설명하려면 그 사람들이 사는 방식을 표현하는 것이 가장 설명을 잘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사는 방법을 조직하는 것이 곧 건축인 것입니다. 그래서 설계를 잘하려면 남들이 어떻게 사는지 잘 알아야 하고, 남이 사는 방법을 공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문학이나 영화, 역사를 알아야 하고, 우리가 궁극적으로 왜 사는지 알아야 하니까 철학도 필요하죠. 곧 ‘문사철’이 건축의 가장 기본이 되는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폭파시킬 만한 분기는 노상 갖고 있죠.(웃음) 여기서 문제의 핵심은 건축가가 누구에게 봉사하느냐는 것이겠죠. 1차적으로는 건축주에게 봉사하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사회와 시민에게 봉사해야 합니다. 건축주에겐 건물의 ‘사용권’이 있을 뿐 ‘소유권’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건축의 진정한 소유권은 사회와 시민에게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소유한 집만이 아니라 옆집이나 거리의 건물한테서도 얼마든지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건축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는 공공성입니다. 건축주 이익만 따라 공공성을 낮춘다면 그 사람은 건축주의 시녀나 하수인일 뿐 건축가가 아니라고 봅니다. 다행히도 이 성질 나쁜 건축가를 선택해주시는 귀한 건축주 분들이 많습니다.”

    가장 기본은 ‘문사철’

    -‘우리나라 정부에는 건설 정책만 있고 건축 정책은 없다’고 일갈하신 적이 있지요.

    “우리나라 관공서 구성을 보면 토목 하는 사람들이 도시와 건축을 지배하고 있어요. 건설회사와 야합해서 말입니다. 건축가가 낄 틈이 없어요. 신도시 대부분은 정치권력과 건설권력이 야합해서 만든 거예요. 우리나라는 건설 정책도 물량 위주였지 삶의 질을 위한 정책은 펴지 않았습니다. 국토해양부에 건축이 속해 있는 것은 난센스입니다. 프랑스처럼 문화부 산하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설계와 건설을 분리하는 게 정상입니다.”

    -(손뼉 치며) 건축이 문화부 소관이 된다, 멋진데요. 대선 후보들이 이런 정부조직 개편 공약을 내걸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기득권을 가진 ‘토건족’의 반발이 만만치 않겠죠?

    “사람들이 저보고 한국 대표 건축가라고 하는데, 제가 우리나라 대표 건물을 설계해본 적이 없어요. 건축가와 건설사가 합쳐서 오라고 강요하는 ‘턴키방식’을 정부가 선호하기 때문이지요. 이건 마치 검사하고 변호사가 의견을 통일하여 법정에 들어오라고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건축가와 건설사는 자금력이 비교가 안 되기 때문에 턴키로 하면 건축가가 건설사의 말을 들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도 국토부는 이 방식을 버리지 않습니다. 그 먹이사슬이 굉장히 완강한 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028 서울시민 이제 안심하고 택시타겠네요 10 웬일 2012/10/15 2,670
166027 가격 미리 물어보시는 편인가요? 9 .. 2012/10/15 1,752
166026 전세계에 전세 있는 국가는 우리밖에 없을겁니다 예외야 있을수도... 7 루나틱 2012/10/15 2,093
166025 잠실리센츠로이사게획입니다 2 잠실 2012/10/15 2,320
166024 파사트 차 괜찮나요?? 13 장롱면허 2012/10/15 2,882
166023 일본은 대부분월세인가요? 7 궁금 2012/10/15 2,477
166022 요즘 소래에 꽃게 1kg에 얼만가요? 10 화이팅~ 2012/10/15 2,364
166021 회원장터 규칙중 한달에 4개만 글 쓸수 있는 거 좀 봐주세요~~.. 4 회원장터 2012/10/15 1,072
166020 소금갈이 어디꺼 쓰시나요? 소금갈이 2012/10/15 1,371
166019 아파트 로열층 주택담보대출 더 받는다네요.. 기사 2012/10/15 1,378
166018 보통 장례식 비용이 어느 정도 되나요? 2 장례식비용 2012/10/15 4,183
166017 sky교육학과 여학생 학교가 재미없다고 다시 재수한다 하네요 13 딸 맘 2012/10/15 3,002
166016 오뎅국(어묵국) 어떻게 끓이세요?? 11 피곤한주부 2012/10/15 4,102
166015 문재인의 '흙구두' 3 달님화이팅!.. 2012/10/15 2,130
166014 술에 취하고 잠들기까지 말이 많아진 남편 1 아침햇살 2012/10/15 1,139
166013 10월 15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10/15 1,011
166012 시내에 가죽자켓 입고들 다니나요.. 3 queen2.. 2012/10/15 2,343
166011 수면팩 추천해주세요~ 7 수면팩 2012/10/15 3,043
166010 한겨레특종행진: [단독] MBC 이진숙 “정치적 임팩트 굉장히 .. 4 .. 2012/10/15 1,734
166009 PMP와 MP3 아이에게 사 주신 분 계신가요? PMP와MP.. 2012/10/15 844
166008 제가 왜 이러는 걸까요? 6 이상해 2012/10/15 2,192
166007 이불털던 윗집아저씨의 말.. 4 .. 2012/10/15 3,599
166006 평생을 깨워줘야 하는 남편.. 26 .. 2012/10/15 3,656
166005 kb스맛폰 예금 해지하면 바로 입금되나요? 1 궁금 2012/10/15 1,086
166004 아파트에서 개 우쭈쭈 하며 키우는 사람들은 30 ?? 2012/10/15 3,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