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댁 가까이 있으면 아이도 가끔 맡기시나요?

성격차이 조회수 : 1,951
작성일 : 2012-07-16 14:54:11

저는 애가 이제 7살 2살입니다.

시댁근처 산지는 3년째구요.

결혼한지 어느덧 10년이 다 되어가니. 시부모님과는 이제 가벼운 농담정도는 주고받을 수 있을정도로 가까워졌어요.

좋으신 분들이고 저 또한 여느 며느리 못지않게 괜찮은 며느리라고 자부하구요.^^;;

그런데. 제 성격탓이겠지만

저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시부모님께 우리 아이를 맡겨본 적이 없어요.

(단 한번. 큰 애 유치원 입학식 때 어머님이 둘째 봐주시겠다고 집으로 오셨더라구요. 저는 그냥 안고 가려고 했는데 애기 힘들다고. )

시부모님 일은 안하고 계시고 시어머님은 아직 젊으신 편이구요.

직장 다니시는 분들은 아무래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있겠지만 그런 경우 제외하고.

조금의 편의를 위해서나 아니면 부부간의 여가시간(?) 등을 위해서 아이 맡기는 분들도 계신가요?

저같은 경우는 첫째 때문에 일이 생기면 가능하면 둘째 갓난애기 데리고 제가 해결하거나 부득이 할 때는 남편시간을 조정해서 남편이 하고. (사실 병원가거나 할 때 둘째 잠깐 시댁맡기고 다녀오면 훨씬 편하긴 하죠. ),

남편과 데이트는 첫째 유치원 가 있을 시간에 남편 점심시간 맞춰서 잠깐씩 하고 (둘째 뱃속에 있을때까지. ) 영화도 마찬가지.. 첫째 학원가는 주말시간 쪼개거나..

지금은 둘째가 어려서 남편과 단 둘이 여가활동은 못합니다.

그런데 저희처럼 역시 시댁 지척에 사는 시동생네는 조카를 정말 수시로 맡겨요. 일주일에 적어도 2번정도?

애기 낳을 때도 저는 둘째낳고 산후도우미 불렀는데 동서는 첫째를 2주정도 시댁에 보내더라구요. 자기는 친정에 가있고.

꼭 맡겨야 할 경우는 열 번 중 서너번 정도 되는 것 같고 나머지는 저라면 제 선에서 해결 할 수 있을텐데 맡기더라구요.

시부모님은 또 기꺼이 아이 돌봐주세요.. 시어머님은 힘들다는 이야기 가끔 하시긴 해요. 저한테. 그래도 계속 부탁하면 봐주시더라구요.

친정은 지방이여서 맡길 일도 없지만. 가끔 우리집에 오시면 아이 두고 밤에 데이트라도 하라 하시는데 그것도 안해요.

부모님 힘드실까봐.. + 데이트 꼭 해야하는게 아니니까.

제가 너무 부모님과 선을 긋고 어렵게 대하는 걸까요?

저는 남한테 뭘 부탁하고 하는게 많이 부담스럽거든요.

님들은 어떠세요?

아래에 합가하면 며느리 좋은 점 이야기가 나오니 궁금해서요. 저는 직장다녀도 적어도 아침밥은 제가 차릴 것 같은데..

IP : 220.124.xxx.131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7.16 3:00 PM (147.46.xxx.47)

    시동생 내외가 철이 없네요.
    저도 철없을때 친정에 아이 수시로 맡겼던 적 있는데..
    지금 생각하면 후회돼요.둘째 낳고는 한번도 맡긴적 없어요.

  • 2.
    '12.7.16 3:09 PM (121.186.xxx.166)

    저랑 비슷하셨네요
    제가 그렇게 키웠거든요
    하나라서 딱히 맡길일도 없었지만요
    근데 지금 나이들어 생각해보니
    가끔 맡기기도 하고
    부모님 이야기도 들어드리고 했으면
    훨씬더 바람직한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 3. 원글
    '12.7.16 3:22 PM (220.124.xxx.131)

    맞아요. 제가 왜 이러냐면. 윗분처럼 제가 너무 내 고집대로 하느라 오히려 부모님과의 관계가 (시부모님과 저/ 조부모와 아이들/) 더 가까워 질 수 있는 걸 방해하나 싶어서요.
    시부모님이 지난번에 그러시더라구요. 조카애는 낯도 안가리고 하는데 우리애는 엄마품에만 있어서 낯도 가리고 엄마만 찾는다고. 실제로도 자주보는 조카애를 더 예뻐하시기도 하구요.
    (일주일에 한.두 번은 아이들 데리고 찾아뵙기는 합니다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3859 변호사들도 조희대 사퇴 농성하네요 16:49:12 27
1713858 리바트 가구 어떤가요? 침대 프레임 골라주세요. -- 16:48:24 16
1713857 아니 소년공 출신이 대통령 되면 자랑스러운 거 아닌가요 1 이상해 16:48:08 75
1713856 엄마의 유품 정리중.. .. 16:47:12 150
1713855 대학축제때 가수 누가 왔었어요? 1 ... 16:46:43 60
1713854 즐거우나 괴로우나 82에 글쓰기 1253 16:45:36 37
1713853 이승연 키워주신 어머니 몇살쯤으로 보여요.?? 3 ... 16:45:27 129
1713852 문통의 한 숨 2 . . 16:44:55 219
1713851 월남쌈.샐러드.마녀스프 뭐부터 먹을까요? 다이어트 16:40:37 73
1713850 한덕수보다 김문수가 나아보여요 13 16:40:27 511
1713849 지금저구호가 뭐예요 왜저래 16:40:10 217
1713848 3박4일 여행 짐 바리바리 싸가서는 ** 16:38:54 190
1713847 신축 아파트 인근 노후 주택가 1 ... 16:38:00 280
1713846 매불쇼 진짜 웃기네요 ㅋㅋ 8 링크걸어요 16:36:28 975
1713845 둘이 바둑두나.. 모듬순대 회동중 귀염뚱이 16:35:17 229
1713844 한덕수 김문수 만남 라이브 보세요 3 .. 16:34:02 609
1713843 줌 수업이요.. 강사 초상권 같은거 잘 지켜지나요? dd 16:32:56 102
1713842 7시 골프인데. 간식 뭐준비해가시나요 4 골프간식 16:31:20 303
1713841 미국에서 사기치고 귀국한 뇌졸중으로 쓰러졌던 80세 넘은 할머니.. 8 진짜 16:31:18 781
1713840 폭싹 영범이어머니 사망하셨네요.. 54세 3 . . 16:29:36 1,174
1713839 아이 없이두? 괜찮을 것도… 1 16:28:47 266
1713838 권영세 "대선 지면 김문수 탓" 17 ... 16:28:43 886
1713837 동안의 아이콘이라는 서정희씨요 6 16:26:55 746
1713836 여러가지 배우는데도 시간이 너무 남아돌아요 6 시간 16:22:28 546
1713835 금팔찌분실 10 금팔찌 16:22:26 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