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하우스 푸어, 알바로 이자 갚느라 허리 휘고.....

참맛 조회수 : 3,309
작성일 : 2012-07-12 09:42:00
하우스 푸어, 알바로 이자 갚느라 허리 휘고.....
남들은 운동삼아, 봉사삼아 알바를 해서 적금도 들고, 여행도 하는데, 하우스푸어는 은행이자 갚느라 허리가 휩니다.

경기가 좋아져서 집값만 올라가면, 팔리기만 하면 고달픈 알바생활도 끝나는데.

집값이 올라가길 바라는 마음이야 굴뚝 같겠지만, 경제 사정은 갈수록 안 좋아 지는 거 같네요.
국채 거래 사상 최대 … 안전지대로 돈 몰린다
유럽 위기 확산에 … 주식 거래는 1년새 반토막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20712005106520

747은 냅두고, 파산 걱정부터 해야 할 판입니다.

<국민연금 2053년 고갈…"사적연금 확대가 대안">
그리스 공적연금 확대로 대형 위기 세제혜택 확대 등 자산 축적 유인책 필요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20712045906758

그나마 노후대책이랄 수 있는 최후의 보루도 무너지고 있고.

하우스푸어들은 원인을 생각할 겨를이 없습니다. 하루가 매순간이 괴로운 겁니다.

하우스헌터, 즉 집투기꾼들은 왜 조용히 있을까요? 집값이 바닥을 칠때까지 기다리나요?

타짜를 보면 도박판에서 전주는 판을 보면서 돈빌리는 사람이 크게 잃어야 돈을 빌리러 오는 걸 압니다. 본전 심리라는 거라네요. 본전만 하면 되. 뭐 위험하면 중간에 그만 두면 되지. 그러나 게임은 게임을 하는 순간, 게임의 다양한 논리로 다른 생각을 할 겨를이 없어집니다.

IMF때 하우스헌터들은 법원경매로 나온 물건들을 사서 큰 재미를 보았지요. 그것도 고르고 골라서.

아파트 매매에 따른 세금이나 다주택보유세를 경감해준다고 당장 집을 살 사람들이 아니라는 거죠. 시장이 올린 주택가격이 아니라 집주인이 올린 비정상적 주택가 인상으로 인한 버블이니 오래 갈 수가 없는 거죠. 국가가 나설 수도 없고.

그나마 살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경기는 갈수록 바닥으로 치닫고.

하우스푸어의 문제는 갈수록 수렁으로 빠져 들고 있지만 정치권이 건드리기에는 쉬운 문제는 아닌가 보네요. 하우스푸어의 은행부채를 건드릴려면 모든 국민의 부채를 다 건드려야 하는 거라서.

아마도 이 문제는 푸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겠네요.

국가부도로 국민부도까지 이어져서 모든 부채가 제로로 되는 것. 그러면 곧 바로 아프리카 최빈국 수준이 되겠지요.

또 한가지는 남북합의 이행같은 큰 경제변수가 일어 나서, 그나마 부채의 상당수라도 해결되는 싯점에서 부채를 정리할 수 있는 것.

이번 대선서 어떤 형태로든 이 문제가 나오겠지만, 하우스푸어들의 선택은 어느 쪽일까요? 또 다른 한방을 기대할까요, 아니면 피해최소화를 기대할까요?
IP : 121.151.xxx.20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답은 하나
    '12.7.12 9:55 AM (211.61.xxx.218)

    인플레이션 수준의 1.7배 이상의 집값 상승 뿐

    부동산 반토막 나면 은행권 채권회수 들어가고 우리나라 튼튼한 중소기업도 싹 말려서
    흑자부도 납니다. 개인파산은 말할 것도 없고.

    흑자부도.. 아마 우리나라 중소기업 씨가 마른다고 보시면 될듯.
    부동산 담보로 중소기업이 어음돌리고 자금회수하는것이 상식인데..

    은행권에서는 살려고 다 회수하면..

    제가 볼땐

    삼성외엔 다 무너질 겁니다.

    어느 정권이나 그래서 집값 하락을 정책 아젠다로 삼지 못하지요.

    박원순 정책도 조만간 민주당에 의해서 난도질 당할겁니다.

    두고 보세요.

    분양원가 공개 반대, 후분양제 반대가 다 이유가 있는 겁니다. 멍청해서 그런것이 아니라..

  • 2. 당대의 해악보다
    '12.7.12 9:59 AM (211.223.xxx.180)

    이후의 후유증이 더 걱정되는 이런 막장정권을 앞에 두고서 희망이 안 보입니다.
    명품사치가 늘어간다는 보도를 보면 사람들도 될대로 되라는 자포자기 심리인 것 같기도 하고요.

  • 3. 1. 7배 상승하면
    '12.7.12 10:06 AM (118.91.xxx.85)

    그 비싸진 가격을 다른 누군가가 또 다시 대출을 일으켜서 막아주어야 하는거고, 결국
    집주인만 바뀐채 되풀이 되는거잖아요. 계속 원금 상환 유예하고 또 하고.... 그러다 은행이
    원금 회수 하려는 움직임 나오면, 국가가 망하네 어쩌네 하고 다시금 소동이 벌어지겠죠.

  • 4. 그걸 알면서도
    '12.7.12 10:08 AM (211.61.xxx.218)

    경기부양위해 돈 찍어내는 미국 유럽이 바보라서 그러는게 아니에요.

    돈이라도 풀어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만 꾸준히 일어나면 채무유예는 가능하지만..

    제로그라운드로 들어가면

    전쟁이 터질수 밖에 없어요. 경기부양 위해..

    돈으로 세워진 시스템이라 돈으로 해결밖에 못합니다.

  • 5. fpdlrjs
    '12.7.12 10:27 AM (112.150.xxx.65)

    미국은 레이건때이후 버블이래요
    그때 가격으로 집값이 떨어진다고해요

    우리는 김대중 정부부터 버블이었어요
    그러니, 김대중 정권때 집 가격으로 떨어질거에요

    그게 종착이에요

    버블 시작할때의 가격으로 돌아가는 거에요. 10년전 가격 살펴보면 답이 나오죠

  • 6. ,,
    '12.7.12 10:39 AM (220.88.xxx.191)

    다덜 돈 평평 사교육 특목고 해외여행... 겉보기는 아무도 어려운 사람이 없네요

  • 7. .........
    '12.7.12 10:40 AM (118.219.xxx.34)

    버블은 터지지말라고 해도 때가 되면 터집니다 그리고 버블이 끝나면 원래 가격보다 밑으로 떨어집니다 이건 어느나라나 예외가 없었답니다

  • 8. 미국 스똬~일..
    '12.7.12 10:44 AM (218.234.xxx.25)

    미국 드라마 보면 이상했던 게요, 실직되면 갑자기 거지되는 거요. 영화, 드라마라 더 과장한 것도 있겠지만
    전 "어떻게 실직했다고 몇달만에 저렇게 알거지가 되나?" 하고 궁금해 했는데 그게 한달 벌어 한달 펑펑 쓰는 거 같아요. 거기다가 집값 대출도 많이 받고.. 벌어서 저금할 돈이 없는 거죠. 쓸 거 다 쓰고 대출도 갚고..

    그러니 실직 후 1, 2개월만 지나도 빚에 허덕이는데, 지금 우리 상황이 점점 닮아가는 거 같아요.
    대기업 아니면 10년차여도 실수령 200만원 좀 넘고, 이 돈으로 대출금 이자에 아이들 사교육 시키면 저금 자체가 없잖아요.

  • 9. 무슨소리...
    '12.7.12 12:54 PM (121.162.xxx.111)

    결국 뼈를 깍는 구조조정을 할 수 밖에 없어요.
    1차적으로 하우스푸어 자체에서(30~50% 가량 할인을 가감히 하여 리스크를 부담)
    2차적으로 전세채권우선순위 보장금액 지금의 두배인상(이러면 은행들이 상당부분 리스크 부담)
    3차적으로 취등록세 완화(이번에는 정부가 보전)

    등으로 어렵지만 구조조정이 잘 될 수 있는 방안으로 이 위기를 넘겨야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4164 만능찜으로 요리한후... 1 전기밥솥 2012/08/20 1,608
144163 언니야, 고마워 2 동생 2012/08/20 2,092
144162 너무 습하다 못해 보일러 돌리고 있어요 9 yaani 2012/08/20 3,300
144161 요리 궁금한 점... 4 d 2012/08/20 1,458
144160 김연아 새프로그램 엄청나나봐요 15 ........ 2012/08/20 6,289
144159 영남권 어민들은 독도를 팔아먹으면서 이권을 챙기려 하면 안됩니다.. 2 알자 2012/08/20 1,227
144158 미국이나 영국의 인테리어 tv 프로그램 좀 알려주세요 ^^ 3 .... 2012/08/20 3,165
144157 전업이 전 부럽던데요 17 2012/08/20 3,893
144156 경주 숙소 추천해주세요. 5 달노래 2012/08/20 2,247
144155 불팬 사이트는 어떤 사이트인가요? 2 .. 2012/08/20 1,963
144154 머리카락 덜 빠지는 샴푸 추천해 보아요.. ^^ 7 음냐 2012/08/20 6,393
144153 회사가 미친듯이 가기 싫고 회사 인간들이 다 짜증 날때는 어떡해.. 아아악 2012/08/20 1,973
144152 여행 와서 남편이랑 싸우면 어떻게 하시나요ㅣ! 4 나는누구엄마.. 2012/08/20 2,013
144151 토론토 사시는 분들.미용실 추천 부탁드려요. 3 ㅠㅠ 2012/08/20 3,843
144150 식이조절만으로 다이어트 성공하신분 계시나요 6 다욧 2012/08/20 4,170
144149 항암후 4년지나고있는데 채식시작하려구요..채식요리책 추천좀 해주.. 10 임파선 2012/08/20 3,199
144148 더위먹었을때 ㅁㅁㅁㅁ 2012/08/20 1,272
144147 충치 치료한거 레진으로 떼웠는데 뭘 먹을 때 이가 시려요 5 이가ㅠㅠ 2012/08/20 6,925
144146 나이먹는게 싫은데 왜 만으로 나이 계산하지 않죠? 13 궁금이 2012/08/20 2,930
144145 심장쪽(식도 옆) 통증이 있어요 5 건강검진 완.. 2012/08/20 2,627
144144 성당캠프로 청담어학원 1회 결석했는데 연장이 안된다네요 7 비싼수업료ㅠ.. 2012/08/20 4,253
144143 화재보험 기능있는 운전자보험 어디있어요? 11 도와주세요 2012/08/20 1,835
144142 김영로 영어 순해 책 어때요? ... 2012/08/20 2,089
144141 혹시 약수동/옥수동쪽에 있던 선약국이라고 아시나요? 5 피부연고 2012/08/20 3,319
144140 에어컨 시래기가 뭔가 했어요.. 110 오모나 2012/08/20 2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