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비정규직은 신한국당 날치기 작품입니다.

자수정 조회수 : 1,397
작성일 : 2012-05-29 23:41:54

정규직과 비정규직.........

똑같은일을 하여도 대우와 월급은 하늘과 땅......

노조도 정규직의 이익만 대변하여 귀족노조란 단어가 심심찮게 나돌고있으니

현정권 옹호하는분들이  비정규직 양산은 국민의 정부때문이라고 이야기할때

 저는 아무  이야기도 못했어요.  노동자에 대하여 아는것도 없고 국민의 정부시절이후로  

비정규직이란   단어를 들어왔으니.......  막연히 IMF 타개하기 위하여 인건비절감하여 

기업 살리려고  국민의 정부시절에   비정규직을 양산했는줄 알았어요,

조금전에 읽은 백화점 직원이야기  댓글중에   김대중전대통령 시절이라고 알고계신 분이

있기에    전에 읽은글을 찾아봤어요..

신학국당에서 날치기해놓고  국민의 정부에 죄를 덮어씌웠네요.   순수함만 가지고는 정치판에서

 살아남을수없고 적당한 권모술수와 왜곡해서라도 포장하여 어리석은 국민들  감정에 호소하여  우리가 남이가........

전술면에서는 새누리당이 월등한것을 인정합니다.   번번이 당하기만 하는 민주당 ... 멍청한건지..  젠틀한것인지..

좀더 현명하고 저돌적이지 않다면 희망은 없어요.  입으로하는 애국, 키보드로 하는애국,

  과연 어느것이 옳은것인지...... 회의가 오는 요즈음입니다.

****************************************************************************************************

국민의 정부가 욕먹고있는 비정규직은 어떻게 생겼는지 알려주는 글이있어 옮겨왔습니다.

 

내가 노동법을 공부하기 위하여 책을 고르던 전해 였으니까 

96년 12월 말경이 맞을것 같습니다.

그때 신한국당(지금의 한나라당)에서 노동법을 날치기 통과 시키는 바람에
노동법을 공부하던 내가, 97년도에 다시 새 책으로 공부를 해야 해서 투덜 투덜 거리던 기억....

당시에는 정치권에서 무슨일이 벌어지는가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단지, 그저, 노동법을 공부하고 있는데, 노동법이 개정되어서, 다시 공부를 해야 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과 일종의 짜증도 좀 났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97년 1월 이었을 것입니다. 개정된 노동법을 공부하면서
이런 법을 날치기로 통과시킨 신한국당(지금의 한나라당)을 국민들이 가만두지 않을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내 생각과는 다르게 신한국당(지금의 한나라당)이 큰일이 나지는 않더군요.
당시, 지금의 내 나이가 되는 어떤 분께 물어보았습니다.

"노동법이 개정되었는데, 불안하지 않으세요?"

그러자, 그분의 대답은 아주 간단했습니다

"지들 끼리 싸우던 말던.. 먹고 살기 바쁜데 그런것에 신경쓸 여력이 어디있냐!"

그 말을 듣고 말문이 막혔습니다. 먹고 살기 바쁜 사람일 수록 관심을 가져야 할 내용인데... 

당시 월급쟁이들이 고생좀 하겠구나 하고 생각하게된 이유는 이렇습니다. 

그전에는 없었으나 96년 개정을 통하여 새롭게 등장한
변형근로제, 정리해고제, 파견근로제.... 이러한 용어들 때문입니다.


당시 개정된 노동법에 정리해고제 라는 용어가 보이시지요?
다시 말하면 그 전에는 정리해고라는것이 없었다는 말이 됩니다.

파견근로제라는 용어가 보이실 것입니다.

이놈의 파견근로제 때문에 비정규직이란 용어가 생겨나게 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그전에는 비정규직이 없었습니다.

월급쟁이라면 당연히 눈이 뒤집힐 노동법개정이었는데
이상하게 일반 사람들은 관심이 없더라는 것입니다.

노동계에서는 난리를 치고, 방송에서도 보도를 함에도
일반인들은 자기와는 상관없는 그런일로 생각을 했습니다. 

비정규직, 정리해고와 같은 말이 과연 지금의 나와는 상관이 없는 말일까요?

김대중이 대통령으로 취임을 합니다. 그리고 김대중 정권때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이란 용어가
비처럼 내리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조중동은 말할것도 없고, 사람들은 김대중을 욕합니다.
김대중이 비정규직을 양산했다고 하면서 말입니다.

나는 그러한 상황들이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욕을 하려면 한나라당과 김영삼 욕을 해야지
왜 김대중 욕을 하는 것이지??? 저사람들 바본가??


2011년, fta가 날치기 통과 됩니다.
내용을 보면, 96년의 노동법과는 상대가 되지 않는, 말그대로 재벌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아무리 버티려고 노력을 해도 작살이 나버리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위험한 내용들에 대하여 정부나 언론은 괴담이 라는 말로 일축을 해버럽니다.
96년도의 상황과 어찌 이리도 패턴이 같은지..... 그때는 월급쟁이 들이 다치지 않을
안전장치를 마련하겠다느니 하는 말을 한나라당에서는 참 열심히 했었지요.

 

아는 동생에게 저런 것을 보면서도 투표할 마음이 안생기냐?라고 물었더니
그 동생왈....


"먹고 살기 바빠죽겠는데 그런데 신경쓸 겨를이 어디있어요. 난 원래 투표안해요."


........... 96년의 경험으로 보면
한나라당의 이번 날치기로 인하여,
다음 정권의 대통령은 김영삼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욕을 바가지로 먹게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한나라당이 저질렀던 일 때문인 것은 절대로 생각하지 않고
지금 현재 힘든 상황이, 지금의 대통령 때문이라고 말하겠지요
그리고 그 선봉에는 조중동이 있을게 눈에 선합니다.

그리고 한나라당은 다시 다수당이 될것이고, 대통령도 만들것이고
그리고 그렇게 정권을 이어가게 될 것입니다.... 96년도의 상황을 대입해 보면 그렇습니다.

이번 한미fta 날치기가 이 글을 보는 당신과는 상관이 없을듯 하지요?
먹고 살기 바쁜데 그런것에 신경쓸 겨를이 없지요?

지금 무슨일이 벌어진 것인지, 96년의 그때와는 다르게
많은 분들이 인식을 해주셨으면 하는, 그런 마음을 갖는 제가 바보가 아니기를 바랍니다.

 

[출처] 그 당시의 일이 생각납니다.|작성자 여나

IP : 116.41.xxx.23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봉
    '12.5.30 12:44 AM (221.140.xxx.247)

    저도 몰랐는데, 정보 감사합니다.

  • 2. --
    '12.5.30 1:22 AM (211.108.xxx.32)

    좋은 글 감사합니다

  • 3. 좋은정보
    '12.5.30 3:42 AM (121.178.xxx.196)

    를 알게 해 주셔서 감사해요.

  • 4. 돼지
    '12.5.30 4:40 AM (110.46.xxx.177)

    저도 저장할께요. 감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1267 혹시 배란통 있으신분 계세요? 2 ????? 2012/07/16 2,133
131266 최고의 드럼세탁기 알려주세요! 7 8년만에 2012/07/16 2,049
131265 자두엑기스 거품이 너무 많아요 띵이 2012/07/16 1,641
131264 계약만료된 휴대폰 기기 1 휴대폰 2012/07/16 1,141
131263 이쁜 웨지힐 파는데 어디 없을까요? 2 샌들 2012/07/16 1,745
131262 요즘 영화 추천해 주셔요.. 1 날개 2012/07/16 955
131261 상가같은거 하나 있어서 다달이 이삼백만 나오면.. 3 매달 2012/07/16 2,927
131260 사장님한테 이런 말씀 드리면 안되겠지요? 3 임금님 귀 2012/07/16 1,084
131259 포스터그리기는 포스터 물감으로 해야 하는거죠? 1 포스터 2012/07/16 1,275
131258 정선 쌍봉우리 식당 / 동박골 어디가 더 맛있나요? 곤드레밥 2012/07/16 926
131257 영어샘계세요? 고3영어과외때문에..제발 도움말씀좀 주세요 ㅠㅠ 8 진짜~ 골아.. 2012/07/16 4,776
131256 대출금~~~ 대출 2012/07/16 925
131255 청소하다 암흑천지 ㅠㅠㅠㅠㅠ 3 그냥 불을 .. 2012/07/16 1,286
131254 아파트 옆집 개가 유리집 앞에다 쉬를 해요2 13 어째 2012/07/16 2,241
131253 돼지갈비 돼지갈비 2012/07/16 921
131252 7세 남아 방문피아노 2012/07/16 809
131251 전세대출 알려주세여 2 돈이왠수 2012/07/16 1,118
131250 북유럽에 사시는 분들 계신가요? 1 .. 2012/07/16 1,503
131249 며칠전 여행 팁 .... 2012/07/16 1,378
131248 요즘 시계 약 어디서 가나요? 2 .. 2012/07/16 1,104
131247 홈쇼핑 콜센타는 어떤가요? 1 돈이 뭔지.. 2012/07/16 1,502
131246 영어공부 3 중학생 2012/07/16 1,378
131245 예전에 문성실 공구 르쿠르제 부페 캐서롤 22 cm가격 아시는 .. 1 단지궁금 2012/07/16 2,467
131244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 누가 부르니인가요??(스포인가?) 3 누규 2012/07/16 1,301
131243 시댁 가까이 있으면 아이도 가끔 맡기시나요? 4 성격차이 2012/07/16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