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선천적?! 아닙니다. 엄마(아빠)가 키우기 나름!!!!

교육이야기 조회수 : 2,545
작성일 : 2012-03-21 19:03:21

아무래도 학기초다보니 요즘 82의 최대 이슈 중 하나는

"교육"인가봐요. 이제 곧 더 크고 중요한 일이 다가오긴 하네요. 아뭏든.

 

머리가 원래 좋았다. 원래 그렇게 타고 나는 사람이 잘 한다는 글이

많이 읽은 글에 있기에 전 다른 의견을 내 보고자 합니다.

 

전, 교육 특히 주교육자(대부분 엄마겠지요?)의 힘이 대단히

굉장히 중요하고 엄청난 영향을 끼친다는 걸 경험했어요. 그렇게 믿구요.

 

실제 예로...(저희 아이가 2005년생 초1입니다)

제가 1박2일 초창기부터 팬이었어요. 한 때 정말 너무너무 좋아했지요.

그 팀이 2008년에 전국노래자랑에 나가 "무조건" 노래를 불러 큰 반응을 얻었었죠.

방송을 본 후 제 아이가 처음엔 엎드려 절하는 걸 흉내내더니

그 후로 곧잘 노래까지 따라하더군요.

마침 차 네비게이션에 노래방 기능이 있는데. 오고가며 틀어주면서

신나게 같이 부르곤 했어요.

그러더니 ...어느새 완창까지 하더군요.

자랑이 아니라..^^;;;그 꼬맹이가 서울랜드에서 하는 노래자랑에 나가 상도 받았어요.

옆에서 잘한다 잘하다 하니까 그 후로 ..장윤정의 "어머나"까지 섭렵..

 

어느 순간..

아.......이래서 ....트로트 신동이 나오는구나 하는 걸 깨달았답니다.

하루종일 트로트 노래 틀어주고 부모가 따라 불러주고

잘한다 이쁘다 하면 아이는 신이 나서 더~더~~잘 하게 되겟지요?!

 

솔직히 말하면 이렇게 키워서 방송에 나오는. 소위 말하는 스타 한번 말들어볼까.하는

욕심도 들긴 했어요. 배우는 속도나 거거에 반응하는 걸 너무 좋아햇으니까요.

 

그런데..그러면서 다른 활동은 시시해하는걸 보니

마음을 완전히 접었어요.

 

처음엔 틀어줘. 왜 안 불러? 하던 아이는 서서히...흥미를 다른 곳으로 돌렸고.

그냥저냥 평범하게 키우고 있습니다.

 

선천적이다라는 이론을 말씀하시면서 긴연아, 조수미. 박태환 얘기 많이 하시는데요.

 

물론. 그 분들의 뛰어난 잠재적 재능까지 폄하하는 건 아닙니다만.

그 재능을 진짜 실력으로 꽃 피운 건

어쩌면 자기 자신까지 포기한 '엄마'의 역할도 무지무지 컸다는 걸 잊지 않았으면 해요.

 

오래전에 본 거라 정확한 워딩은 자신없지만

무릎팍 도사에 나왔던 조수미씨 엄마는....본인이 성악을 하고 싶어하셔서.

어린 조수미에게 가난한 단칸방에 살면서도 피아노 엄청 치열하게 시켰다고 했고.

김연아 선수 엄마도 피겨 선수 무청 동경했다고 ...기억해요.

박태환 선수는 천식인가 ..아파서 수영보냈는데 너무 좋아해서 성공한 케이스라 들었고.

 

물론....아무 택도 없는 싹도 있습니다.

 

통통족이자 운동젬병인 우리 부부에서 태어난 저희 아이..

거의 매주 수영장에서 놀았는데...무서워..무서워..하더니 1년만에 ...

손 안 잡고 떴습니다. 얼마나 기특하던지!! ㅋㅋㅋ

 

선천적인 거 ..전혀 무시할 수는 없겠지요.

원래 잘 못하는 분야도 있을 것이고..조금만 노력해도 확 느는 종목도 있겠지요.

 

중요한 것은

그래..원래 그렇겠지..별 수 있겠어....이런 마음.

아이가 직접 말로 듣지 않는다고 못 알아차릴까요??

 

저 역시 공부 머리 좀 타고 태어나지..ㅠㅠ

운동 신경 좀 더 있었으면...ㅠㅠ ..바랄 때가 없진 않지만.

그래도 ..선천적으로 될 놈보다는

노력하면 잘 될 놈쪽으로 열심히 키우고 있답니다^^

IP : 182.209.xxx.147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3.21 7:07 PM (121.151.xxx.146)

    주양육자가 어찌 하냐에 따라서 달라진다는말 동감합니다
    그러나 주양육자가 조금의 도움은 줄수있지만
    아이가 하고자하지않는이상은 그저 욕심일뿐이고 제대로 되지않는다는거죠

  • 2. ᆢᆞ
    '12.3.21 7:09 PM (222.239.xxx.140)

    다 키우고 나서, 성장해서 보게요.
    보편적인 얘기를 하는거고요.
    폰이라..

  • 3.   
    '12.3.21 7:36 PM (211.178.xxx.130)

    엽기경제학 책 보시면
    '부모가 어떻게 하느냐'가 아니라
    '부모가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아이가 달라진다고 하더라구요.
    부모가 '꽃을 사랑해라'라고 백날 말해도
    아이는 부모의 무의식적 행동 중에 꽃을 싫어하는 행동을 보고 따라한다구요.

    유전을 이야기하는 분들은
    "그래..원래 그렇겠지..별 수 있겠어..."가 아니라
    공부도 다 유전이니 아이가 유전받아 제일 좋아하는 걸 시키자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고 하죠?
    노력하는 사람은 그 분야를 '즐기는' 사람을 절대 이길 수 없습니다.
    제 주변에서 나름 그 분야를 좋아하고 잘 나가는 사람들은
    그 분야가 아무리 돈이 잘 안 되도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이었어요.
    게임업계가 정말 고생스러운 분야라 해도 자기가 즐기는 사람은 그쪽으로 길이 열립니다.

    유전이라는 거
    정말 그 아이가 뱃속에서부터 가지고 나와서 즐길 수 있는 게 뭔지 그걸 찾아줘야죠.
    심지어 공부조차도 즐기는 아이들을 노력하는 애들이 따라갈 수 없어요.
    즐기는 애들은 1시간 보면 될 걸 노력하는 애들은 일주일을 봐도 그걸 못 따라가요.

  • 4. 교육이 강조되는건
    '12.3.21 7:40 PM (112.153.xxx.36)

    아이의 잠재성을 일깨우기 위함이죠.
    잠재성이란 것이 원래 가지고 있는걸 개발시키는 것이죠.

  • 5. ............
    '12.3.21 7:58 PM (119.71.xxx.179)

    아이의 잠재성을 일깨우기 위함이죠.
    잠재성이란 것이 원래 가지고 있는걸 개발시키는 것이죠. 222
    명언이네요.

    아이를 부모의 뜻대로 만들수 있다고 생각하는게 위험한거예요.

  • 6. 애가
    '12.3.21 9:12 PM (14.52.xxx.59)

    둘만되도 아실겁니다
    똑같이 낳아서 똑같이 키워도 애는 180도 다르다는걸요

  • 7. 윗님 맞아요
    '12.3.21 10:16 PM (112.152.xxx.25)

    똑같은 부모에 똑같이 학습에 노출시켜 본 결과 줄째놈 아들놈이 수학적 머리를 타고 났다는게 갈수록 강하게 밀려 옵니다..
    문젠 성실성은 큰 아이가 더 하고 꼼꼼하니 머리믿고 까부는(이상하게 자기가 알더군요...67살때부터 100분 단위를 시간으로 바꿔 이야기하고 시계는 물론 장기 바둑 두는 룰을 핸드폰 게임 몇번 해보더니 다 깨우칩니다..4살때 현관 번호키외워 집으로 들어와요 ㅡㅡ6자리 까지 외우더군요)게 꼴보기 싫어요~어려운것에 도전하고 그걸 해결하려는 욕구가 강한것이 포인트인것 같아요..아까도 좀 어려운 연산집 줬더니 침을 흘리고 다 풀어냇어요~50문제를 하나도 안틀리고 ㅡㅡ?
    유전도 분명히 있어요..(참고로 엄마 아빠 수학 고딩때 3번까지 풀고 나머지 찍고 엎드려 자던 사람들입니다)

  • 8.
    '12.3.21 10:16 PM (115.136.xxx.27)

    김연아 엄마나 조수미 어머니는 어찌보면 운이 좋으셨던거죠..
    아이가 타고났잖아요.. 물론... 아이가 타고났는데도 방치하는 부모가 있긴 하죠.
    근데 그걸 끝까지 밀고 나갔으니.. 정말 위대한 어머니들이시죠..

    저같은 사람은 정말 아이가 연아같은 재능을 타고났어도.. 야.. 맨날 다치고 힘들다 돈도 많이들고
    우리 그냥 평범하게 살자 하면서. 바로 그만뒀을거예요..

    에효.. 일단 천재는 어머니가 뛰어나야 하는것도 맞나봐요.

  • 9. dd
    '12.3.21 11:53 PM (125.177.xxx.135)

    보세요. 본인의 글에도 모순이 있잖아요.
    트로트 환경에 노출되어 트로트 잘하게 되어서 후천적인 환경이 중요한 듯 보이기도 했지만, 매주 수영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시켰는데도 물에뜨기까지는 1년이나 걸렸잖아요.

    제 생각에는 아이의 재능이 기회를 찾아간다고 생각들어요. 트로트 잘할 애는 트로트 환경에 있을 때 관심을 보이고 곧잘 따라하며 잘하고 엄마는 그것을 알아볼 수 있어요.
    저는 우리 엄마들이 그것을 알아채기 쉽게, 너무 어려서부터 공부공부 하지 말고 여러 길을 열어놓고 살펴볼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7815 부산 선거후기(펌)....한번 읽어볼만해요... 6 부산선거후기.. 2012/04/12 2,163
97814 강남구 투표함 문제.. 부정선거 스멜 아닌가요 12 클린선거 2012/04/12 1,303
97813 과반의석이면 ... 2012/04/12 569
97812 세상은 -- 2012/04/12 592
97811 갑자기 5세후니 넘 고맙게 느껴저요.. 3 ㅋㅋ 2012/04/12 1,316
97810 140명중에 카톡 2012/04/12 664
97809 아무리 마음을 가라 앉치려고 해도 가라앉질 않아요.. 4 .. 2012/04/12 825
97808 성향이 안맞다고 이죽거리며 왜 여기 있나... 11 헐헐 2012/04/12 1,061
97807 실망은 딱 한나절, 아직 절망할 때는 아니라고 봐요 정치 이야기.. 2012/04/12 588
97806 거실에 카펫말고 디자인매트(엘지하우시스)도 괜찮을까요? 신디로퍼 2012/04/12 1,329
97805 그분을 어떻게 보냈는데 첨맞는 총선이 이래요ㅠㅠ 4 ㅠㅠㅠㅠ 2012/04/12 766
97804 이번에 심은하 남편은 선거 출마 안했나요? 3 궁금 2012/04/12 2,262
97803 언론장악의 힘이 얼마나 무서운지 잘 아셨을꺼라 봅니다. 1 밝은태양 2012/04/12 690
97802 (죄송) 카니발이랑 소형차랑 유류비가... 2 ... 2012/04/12 1,039
97801 중선거구 부엉이 2012/04/12 535
97800 기로에 선 김문수, 대권도전이냐 지사직 수행이냐 35 세우실 2012/04/12 2,128
97799 경향을 끊을까봐요. 15 경향... 2012/04/12 2,218
97798 트위터 이분 아세요? 5 햇살조아 2012/04/12 835
97797 전 문재인님이 야권대권주자가 되셨으면 좋겠어요. 20 새누리싫어 2012/04/12 1,880
97796 허리디스크 수술..(경험담 부탁요^^) 4 질문 2012/04/12 2,574
97795 어제 투표결과를 보고.... 4 눈부신날 2012/04/12 949
97794 이번 선거에서 야권이 졌다는데 아시는 분? 2 참맛 2012/04/12 887
97793 밥 먹다 싸울뻔한 할머니들.. 14 냉정하게 2012/04/12 5,543
97792 의석수가 50석이나 늘었어요. 20 아자!! 2012/04/12 2,956
97791 집매매시 부동산중개료 계약동시에 주는거맞나요?(잔금2달뒤에 받.. 7 dprnd 2012/04/12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