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결혼식 축의금은 누구꺼에요?

ㅜㅜ 조회수 : 2,887
작성일 : 2010-09-26 19:38:57
이제서 왜 이제서야 이런 궁금증을 자아내는지....
다 아버지가 가져가신줄 알았는데 잘 생각해보니 결혼식비용등으로 반정도 사용된거 같아요
양가에서 다른 도움 하나도 없었구요
지금은 신랑신부가 다가져가는것도 같던데...
IP : 203.227.xxx.150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9.26 7:40 PM (119.200.xxx.202)

    그것도 다 부모의 빚입니다.

    도로 다 갚아야 하거든요.

  • 2. .
    '10.9.26 7:45 PM (183.98.xxx.10)

    부모님 지인들이 낸 건 부모님것, 신랑신부 친구나 직장동료가 낸 건 신랑신부것,
    따로 의논없이도 양가 똑같이 위의 규칙대로 나눠서 주시던데요.

  • 3. 저희집은요
    '10.9.26 7:47 PM (124.216.xxx.69)

    오빠하나 언니하나 남동생하나 그냥 저희집은 조금 여유가있어그런지 결혼식하고난뒤 축의금 그대로 저희 주셨어요 본인비자금으로 사용하라고 하면서 저는 18년전돈 그대로 은행에 있어요 이자가 생각보다 많이 붙었어요 저는 그돈 나중에 저희아이들 대학가고난뒤 유학간다고하면은 보내주려고 있어요 남편도 모르는돈이지만

  • 4. ...
    '10.9.26 7:48 PM (203.232.xxx.45)

    저희는 부모님께 드렸어요

  • 5. ...
    '10.9.26 7:50 PM (58.239.xxx.90)

    당연 부모님들께 가야죠
    처음 들어보네요 신랑신부가 가져간다는건

  • 6. ..
    '10.9.26 8:02 PM (183.107.xxx.13)

    부모님 돈이라고... 판례도 있었던 거 같은데요...

  • 7. g
    '10.9.26 8:02 PM (211.208.xxx.5)

    후...결혼식 = 부모님이 청첩해서 이루어지는 행사 / 청첩의 주체 = 부모님

    결혼식하기 더 싫어지네요. 신랑신부는 당일 배우처럼 연기하고 나오면 된다더니 정말 그러네요. -_-;;

  • 8. ..
    '10.9.26 8:04 PM (121.136.xxx.58)

    저도 윗분 의견에 동감해요.
    학교 때 나이 드신 선생님 말씀이 결혼식이 신랑 신부가 주인공 같지?
    아니야... 부모들이야, 부모들...
    부모들이 내 자식이 이렇게 컸다하면서 사람들한테 공식적으로 보여주는 자리라나요...
    나이 드신 분들은 이런 생각이 강한 거 같아요.

  • 9. --
    '10.9.26 8:04 PM (116.33.xxx.43)

    식대 계산도 해야 하니.. 부모님으로 가야겠죠.
    가끔 10만원내고.. 가족들 와서 먹는경우도 있고 하니. 들어오는거 만큼 식대도 나가더라구요.
    저흰 부모님이 가져가시는데.. 대신 친한 친구들은 저희 한테 직접 줬어요
    저희도 그렇게 했었기 때문에.. 그렇게 주는듯. 좀 덜 친한 동료외엔..

  • 10. .
    '10.9.26 8:06 PM (111.65.xxx.81)

    축의금은 원래 부모님 몫입니다.
    그동안 뿌린 돈이 만만치 않을텐데...
    그래도 요즘 형편이 되셔서 자녀에게 주시는 분들도 있는것은 알고 있지만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 생각하는 것입니다.

  • 11. 전 원글님
    '10.9.26 8:44 PM (121.181.xxx.86)

    이런 질문 올리는 마음 충분히 이해가 가요
    저희도 양가 도움 하나 없이 식 올렸어요
    특히 저는 더 더욱 친정 도움 없었답니다
    정말 그 하나의 도움도...
    근데도 제 이름으로 들어온 축의금 부모님이 싹 다 가져가더군요
    축의금에서 이 친구들 밥 값 빼고도 꽤 많은 금액이 거의 100정도..
    나중에 돌려달라고 해서 받았어요
    부모가 저한테 한게 너무 없어서 정말 뭐라고 내 명의로 들어온 축의금까지 가져가나 싶었네요

  • 12. 저도
    '10.9.26 9:19 PM (222.107.xxx.96)

    이해가요. 그리고 저 친정엄마한테는 미리 준비해 놓으신 예단용 은수저 말고는 받은 게 없어요. 받을 형편도 못 됐구요. 받고 싶지도 않았구요. 결혼준비 전부 제가 벌어서 다 하고 축의금은 부모님 다 드렸는데 제 손님 꺼는 도로 주셔서 결혼비용에 보탰어요.

  • 13. 축의금은
    '10.9.26 9:20 PM (121.166.xxx.104)

    말 그대로 축하하는 뜻이므로 당연히 신부 신랑 가져야하지요.
    그러나 부모님께서 결혼식비용을 쓰신경우에는 부모님이 가지셔야하죠.
    하지만 요즘 젊은이들은 직접 알아서 결혼식전문인들에게 맡겨하니 신부 신랑이 갖게되겠죠.
    옛날관 달라진것 같아요.

  • 14. 저도
    '10.9.26 9:40 PM (222.106.xxx.112)

    부모님이 다 가져가셨구요,,전 직장생활 안해서 온 사람도 없으니 별로 불만 없어요
    친구들은 선물로 다 줬구요,,
    시댁은 다 주시더라구요,,가풍이 그래요..
    친정은 굉장히 합리적 이기적이고,,,시댁은 정은 많으나,,,전근대적,,
    결국 여기서도 받으면 받은만큼 해야한다,,는 결론이 나오죠 ㅎㅎ

  • 15. ..
    '10.9.26 9:44 PM (175.118.xxx.133)

    위에 g님 의견에 공감해요.

  • 16. plumtea
    '10.9.26 11:30 PM (125.186.xxx.14)

    저는 부모님 손님이 어마어마하셔서 당연히 가져가실 거라 생각했구요. 부조금에 쓰시는 돈이 매달 상당하셨어요. ^^ 기대도 안 하던 와중에 아버지께서 따로 200정도 주셨어요. 주시면 감사하고 안 주셨어도 서운치 않았을 거에요.

  • 17. 원글이
    '10.9.26 11:32 PM (203.227.xxx.150)

    댓글 너무 감사합니다
    잘 읽어보았어요
    글 읽으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저 이해간다고 해주신글에서 눈물이...
    아무튼 욕심이 너무 없었나 후회되는 요즘이에요
    댓글 주신분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18. 원글이
    '10.9.26 11:34 PM (203.227.xxx.150)

    위 댓글에서 욕심 어쩌구는 축의금부분은 아니에요^^;;; ㅜ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0467 결혼식 축의금은 누구꺼에요? 19 ㅜㅜ 2010/09/26 2,887
580466 지금 조리원인데 집에 가면 유모하나 두고싶어요...^^; 3 초보맘 2010/09/26 737
580465 부럽습니다. 37 요즘애들 2010/09/26 10,270
580464 외국 공항에서 사는 컴팩트, 파우더, 파데 색깔 2 한국과 다른.. 2010/09/26 467
580463 한증막에서 땀뺄때 제발 땀많이 난 몸 맛사지 한다고 문지르지 마세요! 1 한증막 2010/09/26 922
580462 잘 생긴 사람이 성격 나쁠 것 같은 건 편견이었나봐요 15 ... 2010/09/26 3,267
580461 모교가 자랑스럽기도 처음이네요 5 면박씨의 발.. 2010/09/26 1,401
580460 사채 안갚으면 어떻게 되나요?? 글 읽고 1 무서워라.... 2010/09/26 950
580459 미친것들... 제발 대형마트에서 몰상식한 행동 하지맙시다. 13 ... 2010/09/26 5,674
580458 저는 완전 감동먹었는데 남격 합창단... 31 남격 2010/09/26 11,078
580457 발이 너무 까칠하고 건조해요. 13 까칠 2010/09/26 1,562
580456 오미자 3 점순이 2010/09/26 551
580455 빙떡 먹고 싶어요. 12 제주도 2010/09/26 981
580454 이제서야 봤어요.. 존 박 완전 제 스탈이예요... 5 2010/09/26 998
580453 원글 펑했습니다. 8 계시나요? 2010/09/26 2,313
580452 고급스러운 옷 파는곳 .... 3 40아짐 2010/09/26 1,110
580451 요새 목욕탕에 때미는거 얼만가요? 5 때미는것 2010/09/26 1,451
580450 계모유산은 전처의 자녀에게 상속이 안된다는데... 3 전처자녀 유.. 2010/09/26 1,647
580449 유난히 동생한테 샘을 많이 내는 아이들이 있는가요? 1 동생 2010/09/26 320
580448 고속도로 운전, 이건 정말...... 10 김여사 올림.. 2010/09/26 2,454
580447 [급질^^;;]고깃집에서 양파, 양배추, 부추랑 주는 소스, 와사비 맛나는 거 어떻게 만드.. 3 프리즈 2010/09/26 1,340
580446 우체국 실비보험에서 보험금 받았는데요 4 단체보험 2010/09/26 2,164
580445 골프 개인레슨하면 하루에 몇분씩 레슨해주나요? 2 초짜라서 2010/09/26 738
580444 반찬 만들때 ... 3 *** 2010/09/26 975
580443 시어머님이 만두를 맛있게 만드시는데.. 36 만두 2010/09/26 10,772
580442 베이비시터와 가사도우미중에 고민이에요... 9 이쁜이맘 2010/09/26 1,173
580441 가방 뭐가 나을지 봐주세요^^ 19 ... 2010/09/26 2,398
580440 채소값 못잡으면 앞으로 이 정부 어떻게 될까요 21 ㅇㅇ 2010/09/26 2,469
580439 남편이..명품 가방을?? 19 신세계.. 2010/09/26 2,724
580438 소파 새것살까요?7년정도 쓴것 지인이 주신다는것 받을까요? 13 고민하다 머.. 2010/09/26 1,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