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올케하라고 올케지...^^

올케 조회수 : 1,217
작성일 : 2008-09-25 00:30:20
시댁에 가면 아주 귀여운 조카녀석이 하나 있어요...
이번 명절에 갔다가 또 이 녀석의 넉살에 배꼽을 잡았답니다...
제 이름이 좀 흔한편이라 형님이 핸드폰에 친구@@, 박@@, 이@@, @@언니,@@올케 라고 핸프폰에 입력을 해 놓았더래요...요 녀석이 7살인데, 자기 핸드폰이 생겨  엄마핸드폰의 많은 전화번호가 부러웠나봅니다...자기도 몇 개 가질상으로 보다가, 엄마@@올케가 누구야? 그러더랍니다...외숙모라고 하니...아~ 하면서 자기도 @@올케라고 입력을 시키더랍니다...너한테는 외숙모인데 외숙모라고 찍어야지 하니깐...옳게하라고 올케니깐 나도 올케할란다...그러곤 고녀석 핸폰에도 @@올케입니다...
잘못 들으심 오해하실수 있는데, 정말 귀여운 녀석의 귀여운 발언이고 이해입니다...
너무 웃겨서 82cook회원님들도 웃어라 적었는데, 글로는 고녀석의 귀여움이 다 표현되지 않네요...
근데, 정말 올케의 어원은 뭘까요?^^
IP : 221.148.xxx.32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9.25 12:33 AM (124.54.xxx.28)

    "옳게"하라고 올케니깐..이런 의미인건가요? 7살짜리가 참 귀엽네요.ㅎㅎ

  • 2. 오라버니
    '08.9.25 12:34 AM (220.79.xxx.9)

    오라버니의 계집...올케....라고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 3. 솔이아빠
    '08.9.25 1:16 AM (121.162.xxx.94)

    호칭 시비 유감

    김지형 / 건양대학교 한국어교육원 교수

    한 여성단체에서 진행하고 있는, ‘여성이 여성에게 쓰는 호칭 바꾸기’ 캠페인에 대해 새해 벽두부터 논란이 일고 있다. 불평등한 가족 문화를 바꾸고자 하는 이 캠페인의 의도는 정당하다. 불평등 해소의 출발점으로 가족 간에 쓰이는 ‘언어’를 대상으로 한 것도 효과적이다. 말은 의사소통의 도구만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를 생성하고 지배하는 큰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내용을 짚어보면 이 캠페인은 크게 두 가지의 오류에서 출발한다.
    하나는, 대상이 되는 단어의 어원에 집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며느리’는 ‘내 아들에 딸려 더부살이 하는 존재’요, ‘올케’는 오빠에 딸려서 ‘그 집에 시집와서 시중들며 살아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반드시 없애야 할 단어로 짚은 것이 대표적이다.
    어떤 말의 어원을 해석할 때에는 객관적 언어 자료와, 사회ㆍ문화적 사정을 충분히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그러고도 항상 가설(假設)에 머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런데 이 캠페인에서는 그런 고민을 한 흔적이 없다. 몇몇 정곡(正鵠)을 얻은 해석이 없는 것은 아니나, 주장의 근거로 삼은 어원 해석이 객관적 타당성을 충분히 확보했다고 보기 어렵다. 한두 학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어원 해석을 하고 그에 따라 주장을 전개하는 것은 ‘사실 왜곡’이라는 비난을 받을 수 있다. ‘왜곡’에는 반드시 현재의 욕망이 반영된다. 어찌 보면 ‘사소한’ 문제가, 특정 목적을 위해 사실을 왜곡한다는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일으켜서 이 여성 단체와 캠페인 자체가 비아냥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
    두 번째 오류는 보다 근본적인 것이다. 이 캠페인에서는 호칭 또는 지칭의 문제를 주로 여성의 입장에서 치우쳐 보고 있다. ‘올케’가 문제가 되는 것도 여성의 입장에서만 해석했기 때문이다. ‘올케’가 ‘오빠의 계집(어원적으로는 비하의 의미가 없고, 아내의 뜻을 가졌음)’이어서 문제가 되는 것인데, 입장을 바꿔 생각하면, 여동생으로서는 오빠를 중심으로 호칭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이삼십 년을 함께 산 오빠에게 시집 온 사람이라면 당연히 ‘오빠’의 아내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남자가 장가를 들면, 아내의 동기간에는 어떻게 불리는가? ‘매형, 매제, 형부’ 등등. 이것을 ‘누이의 남편’, ‘언니의 남편’이 아니라면 뭐라고 해야 할까? 아내, 즉 여성이 중심이 되는 것이 당연하다. 호칭어와 지칭어는 ‘관계’에서 생겨나기 때문이다.
    이번 캠페인은 정당하고 의미 있는 것이지만, 이에 대한 논란은 불필요한 것이다. 이런 논란을 캠페인의 주체가 자초하고 말았다는 점이 아쉽다.
    어원 해석 이전에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언어는 어디까지나 현재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타당성은 제쳐 두더라도, 어원 해석이 단어의 현재적 용법에 어떤 가치가 있는가 하는 점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백 번 양보하여 ‘며느리’가 ‘아들에 딸려 더부살이 하는 존재’라는 어원적 의미를 갖는다손 치더라도 그것은 지금 그 의미는 살아있지 않다. 우리의 기억에서 사라진 과거의 의미일 뿐이다. 만약 이런 이유로 이 단어를 폐기해야 한다면, 우리가 ‘지금’ 살려 쓸 수 있는 말이 도대체 얼마나 될까? ‘어린이’는 ‘어리석은 사람’이니까, ‘어른’은 ‘정사(情事)를 나누는 사람’이니까 써서는 안 될 말이지 않은가? ‘마누라’가 ‘귀인(貴人)’을 뜻하는 말이었다고 해서 이미 속어화(俗語化)한 이 말을 권장할 것인가? 언어는 변하는 것이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사실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
    이번 캠페인이 지금 여성 비하적 의미로 쓰이는 ‘마누라’나 ‘마누라쟁이’ 등을 쓰지 말자, 남편은 반말을 하고 아내는 존댓말을 하는 등의 언어 습관을 고치자는 데 초점을 두었더라면 어땠을까? ‘여성과 남성’의 편 가르기가 아닌 ‘우리’의 문제를 다루었다면 또 어땠을까?

  • 4. ^^
    '08.9.25 1:24 AM (210.105.xxx.217)

    울 친정 조카는 제 엄마보고 올케~~~한답니다.

    고모를 따라하는 거죠.

    글구 동서 아들녀석은 저보고 형님~~~ 이라죠.ㅋㅋㅋ

  • 5.
    '08.9.25 8:42 AM (118.32.xxx.193)

    저는 어릴 때 고모가 고모부한테 여보~ 이렇게 부르는걸 보고.. 고모부란 호칭 없이.. 다들 여보라고 불렀어요..
    고모부와 어릴때 같이 버스를 탔는데 자리가 났었나봐요..
    제가 "여보 이리로와요 자리있어요~" 그렇게 말해서 고모부가 무지 창피하셨다고 하네요..

    제 조카는 형님이 저보고 동서라고 하니까.... 너무 진지하게.. 엄마 동서남북의 동서야? 그럼 남북은 누구야? 했다네요~

  • 6. 울아들
    '08.9.25 9:11 AM (220.120.xxx.193)

    도 아빠보고 "자기야".. 또는 "**아빠" 이렇게 부릅니다. ㅋㅋ

  • 7. ㅎㅎ
    '08.9.25 9:26 AM (122.32.xxx.149)

    울 조카는 울 친정아부지 보고 아부민~~그럽디다.
    올케에게 저게 뭔소리냐고 물어보니까 올케가 아버님이라고 하는걸 따라하는데 발음이 안되서 그런대요. ㅋㅋ

  • 8. dd
    '08.9.25 9:49 AM (121.131.xxx.251)

    역시 고모들은 조카를 이뻐라 하지요
    원글님 조카사랑이 막막 묻어나네요 ~^^

  • 9. ^^
    '08.9.25 10:37 AM (58.120.xxx.93)

    저 집안의 막내입니다.
    친정가면 식구들이 다 **야~ 하고 제 이름 부르지요.
    4살짜리 제 조카도 고모~가 아니라 **야~라고 부릅니다.
    그래도 정말 귀엽기만 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5107 해태 미사랑에서 멜라민이 검출됐대요...ㅠㅠ 3 서비마눌 2008/09/25 914
235106 영어-초급질문^^ 3 호호 2008/09/25 337
235105 정선희도 사채업자에게 납치된적이 있었다네요. 30 헐~~~~ 2008/09/25 10,902
235104 17개월 아가, 잠을 너무 늦게 자요, 지금도 놀고 있는중.. 6 늦둥이맘 2008/09/25 435
235103 저도 원주 피부과 추천해주세요..(점 빼려고요^^) 3 피부과 2008/09/25 739
235102 30대중반..일년 쉬면 무모한 일일까요..? 13 철없나요.... 2008/09/25 1,179
235101 오늘 아니 어제 참 쓸쓸한 날이네요 5 엄마 2008/09/25 870
235100 '식객'-마쓰모토역 얼굴이 이상해요 9 괜찮다고 생.. 2008/09/25 1,028
235099 왜그리 공무원을 못까서 안달인지.. 18 2008/09/25 1,181
235098 학사면 방통대 4학년으로 편입되나요? 5 방통대 2008/09/25 2,996
235097 조용한 제안 4 화생마당 2008/09/25 469
235096 내생애 최악의 음악회..... 1 강마에 2008/09/25 1,307
235095 노비타 필다임 밥솥 사용하시는 분 손 들어주세요~ 1 밥솥고민 2008/09/25 776
235094 냉장고 고민 한달째 ㅜㅜ 15 10년사용 2008/09/25 1,504
235093 발렌타인 21년산 뚜껑을 따보니 8 너무황당 2008/09/25 2,857
235092 올케하라고 올케지...^^ 9 올케 2008/09/25 1,217
235091 학교를 거부하는 고3 모범생 16 이모 2008/09/25 1,749
235090 피아노조율사 추천할려구요 19 딸둘맘 2008/09/25 851
235089 약사님 말이 궁금해서요. 그리고 오이질문 추가합니다 5 무슨뜻인지 2008/09/25 508
235088 전 알렉스 같은 남자 좋아요 5 메들라인 2008/09/25 790
235087 명동에 충무김밥 2 야참 2008/09/25 711
235086 상담..조언을 듣고싶어요 2 못난엄마 2008/09/25 394
235085 대전 피부과 추천해주세요.(점빼려고요.) 2 2008/09/25 679
235084 소아정신과 검사해보신 분 도와주세요. 10 걱정맘 2008/09/25 1,107
235083 초등학교 2학년 남자아이 생일선물로 뭐가.. ㅠ.ㅠ 11 생일선물.... 2008/09/25 1,355
235082 저도 식기세척기 질문..설치조건이 어떻게 되나요? 1 아기엄마 2008/09/24 364
235081 구매대행 수수료 1 구매대행 2008/09/24 262
235080 장터에 볼풀공 구하신다는 글 보구요 1 뒷북 2008/09/24 413
235079 제가 나쁜 누나인가요? 17 자기껀 자기.. 2008/09/24 1,739
235078 노트북 외국에서 사기 어떤가요? 그리고 소니 노트북... 5 d 2008/09/24 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