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클래식 입문하고 싶어요.

조심스럽게 조회수 : 652
작성일 : 2008-01-27 11:58:29
그동안 음악하고는 담쌓고 살았는데요.  
음치, 박치라 음악하고는 거리가 먼 사람이라 생각하고  의식적으로 멀리했었어요.
그런데, 나이가 들어가니까 삶이 뭐랄까. 양념이 빠진듯 심심해요..  
좋은 음악 감상하면서 책도 읽고 차도 마시고 그러면 좀..   폼날것 같다는 약간 속물적인 생각도 들고.
피아노 배워서 좋아하는 곡 하나쯤 칠 수 있었음 정말 좋겠다 라는 생각도 들구요.
무엇보다 마음이 어지럽고 불편할때 좋은 친구처럼 가만히 귀 기울일 수 있는 음악이 있었음 좋겠다 싶어요.

저처럼 음악에 완전 문외한인 사람이 클래식에 입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쉽게 모짜르트의 무슨 음반을 들어라 하는 식으로 친절하게 가르쳐주세요.  
음악을 듣는 방법, 입문서로 좋은 책이나 네이버 까페 같은거 소개해 주셔도 감사하구요..



IP : 218.38.xxx.112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가장 쉽게
    '08.1.27 12:15 PM (222.98.xxx.175)

    가장 쉽게 접근하는 방법이 라디오인것 같아요. 라디오만 있다면 초기투자비용이 들일이 전혀 없지요.
    93.1 하루종일 틀어놓고 계세요. 듣다가 맘에 드는 곡이 나오면 얼른 곡 제목도 적어두시고요.
    그게 정말 맘에 드는곡이었다면 다운받아서 들으시던지 그 음반을 사시는 경우도 괜찮겠지요.
    그렇게 슬슬 시야를 넓혀가면서 본인의 취향을 발견하시면서 즐기시면 그게 제일 좋지 않을까 싶어요.^^

  • 2. ㅎㅎ
    '08.1.27 12:16 PM (211.206.xxx.87)

    음악을 많이 들으세요. 그리고 악기 하나쯤 하시면 훨씬 더 클래식과 가까워지실겁니다. 나이 탓 말고 어떤 나이라도 상관없으니 피아노 시작해 보시구요, 그러다 보면 자연스레 클래식을 즐길 수 잇게 되실겁니다. 모짜르트 곡은 너무너무 많으니까 피아노 하시면 자연히 알게 된답니다. 모짤트음반..인터넷 교보에서 음반 들어가셔서 모짤트 치면 엄청 나오는데 그 중에 아이네클라이네 나하트뮤직..같은 건 첨 듣기 좋죠,,근데 어디서 어디서 많이 많이 듣던 곡일거예요.^^

  • 3. ㅎㅎ
    '08.1.27 12:18 PM (211.206.xxx.87)

    맞네요, 가장쉽게 님 쓰신글. 케이비에스 에프엠,,하루종일 틀어 놓으세요, 그러다보면 자연히..

  • 4. 그리고
    '08.1.27 12:29 PM (61.83.xxx.136)

    귀에 익은 음악들을 모음집으로 해서 많이 나와어요. 귀에 편해서 적응하기 쉽고. 그 다음부터 차차 넓혀 가면 될거 같아요. 저도 몇년째 입문자입니다.^^

  • 5. ..
    '08.1.27 1:29 PM (121.145.xxx.187)

    제목 ' 피아노 명곡명반 100' -일신서적공사- 이책은 피아노 소나타.협주곡등 이 수록되어 있고
    작곡가와 곡의 이야기 듣는 방법등이 자세히 나와 있어서 음악을 선곡할때 도움이 됩니다.
    일단 한곡을 선택한후 그 음악만 1달동안 계속 듣습니다.
    자연히 그 곡을 다 외우게 됩니다. 그후에 다시 한곡을 선택하여 또 한달을 계속듣는 방식으로 하면 클라식을 들으면서 조는 일은 없습니다.
    자신도 모르게 음악을 좋아하게 되고 좋은 취미생활이 될수 있습니다.

  • 6. 그래요.
    '08.1.27 2:45 PM (211.173.xxx.227)

    저도 아침에 눈 뜨자 마자 하는 일이 FM93.1파워 넣는 일입니다.더욱이 아침에 93.1은 더욱 더 좋아요. 조용히 들으면서 아침을 준비하면 한결 좋아요.저도 그냥 들어요.

  • 7. ^^
    '08.1.27 7:11 PM (121.88.xxx.155)

    fm 라디오를 종일 듣기, 이게 좋을꺼 같아요.
    너무 신경써서 첨부터 부담갖지 마시고, 듣다보면 귀에 익은(의외로 아주 많이 나올꺼예요)음악도 많이 나올겁니다.
    그런건 우선 노트에 제목도 적어 놔 보시고....- 이 방법이(?) 나중에 또 들어도 뭐였더라??하는 궁금증을 해결해 드릴꺼예요.

    그리고 기초 클래식 서적을 한권 사서 기본적인 용어를 익혀두시는 것도 좋습니다.
    작품번호, 소타타...이런류의 용어를 알고 들으시면 '제목'익히실때 도움이 되실꺼예요.

  • 8. 음악사
    '08.1.27 10:56 PM (218.39.xxx.234)

    책을 설렁설렁 읽는 것도 도움됩니다..시대별로 죽 훑으면 도움이 되요.
    저는 이성삼 선생이 쓴 책(초록색 표지였는데..)보면 중요한 작품은 다 나와있어요.
    아마츄어 출발로 그 정도만 공부해도 충분할 듯 합니다.

  • 9. 잡지
    '08.1.27 11:35 PM (121.134.xxx.217)

    책으로 접하다보면 딱딱할 수도 있으니 전 클래식 잡지를 권하고 싶네요..
    내한하는 유명 연주자 설명도 나오고 클래식 뒷 이야기거리도 나오고 나름 재미있어 흥미가지기에 좋은 것 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590 설에 시골가기.. 4 ... 2008/01/27 421
169589 대전에 손칼국수 맛있게 하는 곳... 5 손칼국수 2008/01/27 333
169588 혹시 대방동 현대1차 사시는 분... 3 대방동 2008/01/27 348
169587 어떻게 하시나요? 1 야채과일손질.. 2008/01/27 198
169586 직장맘인데, 유치원 엄마모임에서요.. 64 직장맘 2008/01/27 4,520
169585 남편이 바람이 났네요 20 한숨 2008/01/27 5,553
169584 구립 어린이집 사고 아세요? 6 가슴이 아프.. 2008/01/27 1,204
169583 tv 살려고 하는데 lcd,pdp도 아직 결정 못하고 있습니다 5 도와주세요 2008/01/27 803
169582 TV동물농장 같은데에 보면 6 TV 2008/01/27 451
169581 아이를 놀리고 있습니다..지금..ㅠㅠ 6 교육 2008/01/27 1,111
169580 아파트 위아래층에서 트러블... 1 말못하는사람.. 2008/01/27 523
169579 시어머니가 하시는 말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13 새댁 2008/01/27 1,297
169578 목사님은 듀티프리 33 목사님 2008/01/27 2,785
169577 전재산+대출해서 구입한 집이 마음에 안들어요.. 4 속상해요. 2008/01/27 1,087
169576 클래식 입문하고 싶어요. 9 조심스럽게 2008/01/27 652
169575 세뇌된 사람은 스스로 세뇌 되어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지 못합니다. 보배섬 2008/01/27 380
169574 님들, 동서와의 사이가 좋은가요.(내용 지웠습니다) 11 . 2008/01/27 1,164
169573 친하게 지내는 이웃에게서 설 선물을 받는다면? 11 선물어려워 2008/01/27 785
169572 요양보호사... 1 자주오는 아.. 2008/01/27 296
169571 술 안좋아하는 사람에게 아이스와인은 괜찮겠죠~? 4 아이스 와인.. 2008/01/27 452
169570 '분답다'가 무슨 뜻이예요? 16 사투리 2008/01/27 2,329
169569 애들 빼야 하는 이가 어떤걸까요..?ㅠㅠ 2 영구치.. 2008/01/27 219
169568 YB(Yes, But) 화법을 써라 3 블랙이글 2008/01/27 810
169567 치과의사님,노인들 틀니 가격이 어느정도 하나요? 2 asd 2008/01/27 805
169566 루이비통 네오 캐비 MM 갖고 계신 분 봐주세요~ 필이 꽂힘 2008/01/27 689
169565 점 보고 나서... 4 찝찝 2008/01/27 1,351
169564 요즘 코스트코에 아이들용 책상이나 장난감있나요? 4 엄마 2008/01/27 645
169563 상가 준공 전 계약 파기시....(부동산계약 잘 아시는분요~) 이럴때.. 2008/01/27 189
169562 로또복권 잃어버렸어요.. 4 내 머리속 .. 2008/01/27 905
169561 자녀 교육... 도통 답이 없어요 6 지수 2008/01/27 2,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