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예물.. 시간이 지날 수록 서운한 마음이 들어요
둘다 대학원생일 때 결혼을 했어요
양가에 도움 전혀 안받고 순전히 남편하고 저하고 함께 모은 돈으로 결혼 했구요
보통 결혼할 때 집은 남자쪽에서 살림, 예단은 여자쪽에서 하잖아요
근데 저희는 학교에서 기혼자 아파트를 내줘서 월세 형식으로 살게 됬거든요
그니까 저희는 집장만에 시댁에서 아무런 도움 안받았구요
그래서 저는 당연히 예단을 안했습니다. 저희 결혼할 때 시댁에서 아무런 금전적인 도움 안받는데 저만 예단 갖다 바치는게 이상하잖아요. 제가 조건이 딸리는것도 아니구요..그래도 시부모님 한복은 저희 예산에서 해드렸어요
처음엔 시댁에서 아무것도 안받고 그냥 저희둘이 모은 돈으로 결혼하는게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아무리 제가 예단을 안해갔어도 저희 시댁에서 며느리한테 너무 무관심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 결혼할 때 예복은 해주신다고 했는데 꼴랑 20만원 받았습니다. 창피해서 어디가서 말도 못해요
다른 여자들 결혼할 때 시댁에서 예물, 꾸밈비 받는다는데 저는 아무것도 못받았네요
얼마전 제 시누이는 결혼할 때 그쪽 시어머니가 제 시누이를 얼마나 예뻐하는지 자동차에 꾸밈비 천만원에 난리더군요.. 집도 한채 사줬구요..제 시어머니가 그 얘기를 할 때 정말 서운했습니다.
그런 시누이를 보니까 제가 그리 이쁨을 못받는다는 생각이 팍 들더라구요
저같으면 저같은 며느리 정말 이뻐할 것 같은데요.. 돈 잘벌고 알뜰하고 아들 고생 안시키고...아들 결혼시킬때 돈도 굳었구요
근데 하나밖에 없는 며느리 들이면서 이것저것 예쁜거 사주고 싶은 생각이 전혀 안드시나봐요
물론 저희 시댁이 집한채 떡하니 사줄만큼 잘사는 것도 아니고 기대도 안합니다.
그렇다고 그렇게 가난하지도 않구요
그냥 며느리한테 단 몇백만원도 쓰실 생각이 없구나 하는 생각이 자꾸 드네요
저 처음에는 시부모님한테 잘해드려야지.. 시어머님한테 화장품도 사드리고 싶고 냉장고도 바꿔드려야지 했었는데요
제 시누이 결혼하는거 보고 생각이 180도 바뀌었어요
저희 시어머니가 저한테 그다지 애정도 없고 잘해주지도 않는데 제가 잘해드릴 필요가 없단 생각이 들더라구요
딱 받는만큼만 하기로 생각했습니다.
요즘 계속 속상해서 그냥 주절주절 해봤습니다.
1. ^^
'07.3.18 4:39 PM (222.112.xxx.47)아무리 딸같다 어쩌다 해도 며느리와 '시'어머니와의 관계는 딱 '관계'일 뿐이에요.
식구나 가족이 되기에는 가깝지만 너무 먼 당신;;인게죠.
마음 푸시고 생각하신대로 편히 하세요;;;2. 비교는 금물
'07.3.18 4:44 PM (61.66.xxx.98)원글님께서도 아무것도 시부모님 한복외에는 안하셨다면서요...
원글님께서 그런 생각이 드신다면
시댁에서도 남의집 며느리는 예단으로 뭐뭐 해왔다더라
하면서 원글님이 시댁을 얕잡아 보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 않을까요?
아직까지 예단에 대해 아무런 말씀안하시고 며느리 대접을 해주신담
인격적으로 나쁘신 부모님도 아닌거 같고요...
시누가 시누네 시댁에서 그정도 받는것은 시누복이라고 봐야죠.
아니면 시댁에서 그만큼 예단을 챙겨서 보냈다든가....
저는 친정에서 반대하는 결혼 하는바람에 받기만 하고 드리지는 못했는데...
동서들어올때 챙겨오는거 보면서 왜그리 미안하던지...
예단 예물에 관한글 볼때마다 미안하고...물질적으로 못했으니 몸으로라도
때워야지 그런생각이 듭니다.(차남인데요. 나중에 모셔야겠다고 생각하죠.)
시댁이나 남편이 좋은 분들이라서 이런문제는 전혀 언급안하시고
며느리에게 똑같이 대해주시지만,괜히 저혼자 서러워지고 빚진기분이랍니다.3. 너무~~
'07.3.18 4:54 PM (211.193.xxx.14)속상해 마세요~~~
저도 결혼할때 남편 대학원다니고 시댁 결혼시킬 형편 안된다고 해서...
그냥 결혼 했네요~~~
집도 제가 얻고 다 제가하고 남편 학비도 계속해서 제가 맡구요~~~
일이년이 아닙니다....박사까지 계속 밀었드랬죠...
결혼한다하니 시누이가 50만원주길레...
그걸로 남편 양복사주고 시누옷사라고 줘버렸네요....
처음엔 좀 섭섭한 마음이 들더구만요...
그래도 세월이 가고
아이들이 예쁘게 자랑스럽게 자라주고 하니
섭섭한 마음도 사라지고....어쩜 다 받았다면
살아가면서 많은 부담이 되었을거라는 생각도 들더군요...
무슨 일이 있을때마다 내가 감당해야 될 몫의 마음의 부담이 되었을것 같아요...
받은것도 없어서 그런지 지금도 떳떳하고...
다 내가 절약하고 알뜰살뜰하게 이루었다 생각하니 맘 편하구요...
세월이 지나...지금은 이런 생각이 듭니다..
반지도 쌍으로 해서 딸 ..며늘...주고프고
뭐든지 다 두개씩 해서 사용하다가 딸과 며늘에게 주고픈 마음이네요....
다 그런지는 몰라도....
사실 딸도 주고 싶지만 며늘도 주고픈 맘이 들어요...(아직은 며늘이 없지만)
딸의 행복 생각하면 왜 며늘의 행복은 눈에 안보일까요....
저 같으면 ~~~아가야~~미안하다 맘은 다 해주고 싶었지만 형편이 허락지 않아서.....이러 겠어요
사람은 살아봐야 알아요....
지금 부요해서 나중은 알수없고
지금 힘들어도 나중이 부요해질수도 있거든요......
힘 ~~~내세요~~~~ 홧팅4. 저도요
'07.3.18 5:07 PM (82.32.xxx.137)윗분과 같은 상황, 남편 박사하러 멀리고 보네고 저 혼자 시댁에 남아 돈 벌며 남편 외곡 정착금 만들려고 어머님 아는분에 게(이 글짜가 맞는지?)를 들고,,, 하자만 돌아 오는건 시아버지의 서운한말,,,,니가 내 아들 외국 가는데 뭘해줬냐?..... 엄청 울었습니다,아직도 시아버님ㅇ에대한 앙금이 남아있어요
저는 예물은 시간 지나면 그리 중요하지 않게 생각이 드네요,
대신 시어름들의 따뜻한 말 정도는 듯고 싶어요,,,
하긴 저도 잘 하지는 못하지만,,,
시어른도 속으로는 대견하다 생각이 드실꺼에요,
그래도 시댁쪽에서 손 암 내미시는것마으로도 님은 복이지요,
비교하면 나만 맘 아파요,,
속상해하자마세요,시댁과의 관계는 정말 서운한일이 넘 많아요, 그냥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려 보내세요5. 시댁에서
'07.3.18 5:58 PM (210.123.xxx.96)단돈 20만원을 주셨다니 서운할 법도 하시겠습니다만,
예물 많이 받는 경우는 대부분 예단도 많이 해야 합니다. 예단 몇천만원 수준으로 해가야 그 반 정도 되는 금액이 오지요. 물론 아주 부잣집으로 가는 경우에는 얼마 못해가도 많이 받기도 하지만, 그래도 수준 맞추느라 마음고생이 심합니다.
예단을 안 하셨다니 예물 못 받으신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지 않나 싶습니다. 지나간 일로 속끓이지 마시고 행복하게 사셨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흔히들 남자가 집 해오고 여자가 혼수 한다고 하는데, 이럴 경우 남자의 경제적 부담이 훨씬 큽니다. 그런 것은 당연하게 생각하고 시댁에서 참견하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이율배반이지요.
여자들은 결혼하면 시댁에 더 잘해야 하니 남자가 집 해오는 것은 당연하다는 논리를 펴는 분도 있는데, 결혼해서 시댁에 더 잘하고 말고는 시댁 인품과 자기 할바에 달린 것이지 100% 그렇게 될 것이니 남자가 집 해와야 한다는 것도 말이 안 되구요.
대학원까지 공부하셨다니 남자가 집 해오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을 법도 한데, 으레 그러려니 하시는 것을 보니 마음이 좀 그렇네요. 저는 여자입니다만, 우리 스스로가 이런 부분에서 좀 더 조심해야 하지 않나 합니다.6. 시간이 지날수록
'07.3.18 7:41 PM (213.42.xxx.53)저도 예물 제대로 못받은거 시간이 지날수록 서운하더라구요.
저는 시어머니가 결혼할때 예단대신 집 얻는데 돈 보탰으면 좋겠다 해서 예단 안하고 집 얻는데 몇천 보탰거든요.
예단 보내면 다만 얼마라도 되돌려 오는거 있고 안되돌려보낸다 해도 집값보탠돈은 지금 돈으로 봐도 예단 비용으로 큰 돈을 보탰습니다.
집이 남았다고 할수도 있지만 거기에 또 대출 받고, 신랑 직장 몇년 다닌 돈 계산하면
정작 시집에서 보태준 돈은 한푼도 없다는......
10년 고생해서 이제 웬만큼 돈 모아놨지만 제 것으로 패물이나 시계는 웬지 못하게 되더라구요.
거기다 받는 것과 내가 사는 것은 또 틀리기도 하거니와.....
엄청 결혼할때 싸우고 맘고생했는데 더한것은 그리 한푼도 안보태준 시엄니,
시누남편이 병원 개업한다 할땐 큰 돈 척 내놓더라는....
신랑한테 미친년처럼 울고불고 난리 한번 치고는 맘 딱 접었습니다.
요새도 신랑한테 우리 딸들은 제대로 해주고 제대로 받는 집으로 보낼꺼라고 얘기합니다.7. ..
'07.3.18 7:41 PM (125.177.xxx.7)둘이 학생이고 알아서 하니 그냥 두셨겠죠
예단도 안바라고..
모든게 지복이라고 생각해요 저도 받은거 없거든요 식장비 여행비 하다못해 식당 설렁탕비까지 우리가 마이너스로 냈어요
그러고도 저처럼 맨날 퍼주고 형제들 조카들까지 돌보는사람도 있어요
그냥 여유있으시니 본인맘에 드는거 필요한거 사시고 시집에야 할수있는 만큼 하면되죠
그냥 내 팔자대로 사는구나 생각합니다8. 음..
'07.3.18 8:01 PM (211.176.xxx.12)제가 잘못읽었나 하고 몇번을 다시 읽었는데요..
예단을 안하셨다구요..
그러면 당연히 꾸밈비랑 그런것도 없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서로 아무것도 안하기로 안받기로 하셨다면서..
나는 안줬지만 그래도 며느리는 예뻐해서 줘야 하는거 아닌가. 라고 하신거 같아요.
하지만 시누이는 반대로.. 아무것도 안해갔는데 집도 받고 예물도 엄청 받고 그런거라구요..
그건 시누이가 글쓴분 시어머님께 받은게 아니라 본인의 시어머님께 받은거 아닌가요.
그건 비교대상이 아닌거 같은데요..
전 왜 그게 화가 나고 나는 예뻐하지 않는것 같다는 결론을 내리셨는지 모르겠네요..
시누이가 시집갈때 많이 받은것과..
님이 시집올때 많이 받지 않은것은 비교하실일이 아니것 같아요..
많이 해갔는데 많이 못받았다면 서운하지만.. 안하고 안받았는데 도대체 왜 서운하신지 모르겠네요.
보통 예단비용 간만큼 내주시지 않나요.
저는 많이 갔는데 제가 결혼반지도 했어요.
서운한건 저같은 경우가 서운한것이 아닌가 싶네요.9. 흠
'07.3.18 9:28 PM (61.99.xxx.141)윗분들 말씀마따나 서로 안주고 안받고,
합리적인데 뭘 서운하실것 까지야..--;
저희는 안해주고 받긴 하셨습니다. ㅋㅋ
저도 챙피해서 어디가서 말 못해요.
다만 저는 다야반지 하나는 꼭 해주고싶다는 신랑 뜻으로
예물은 신랑이 해줬네요.10. 그건 좀..
'07.3.18 9:47 PM (125.178.xxx.160)예단도 전혀 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래도 20만원이나 받으셨네요 뭘....
시어머님들도 은근히 예단받은거 동네 어른들이나 친지들에게 자랑하고,
또 비교하면서 얼마나 서운해들 하시는데요...
많이 해줬는데 되돌아오는게 적었다면 서운해만할 법 한데
한게 전혀 없는 상태에서 받지않음에 대한 서운함을 갖는다는건...좀...
그전에 하나뿐이 시어머님과 시댁에 한번뿐인 결혼때 제대로못해드린 것에 대한
죄송함 먼저 느끼심이어떨런지....쩝11. 원글님이
'07.3.18 10:11 PM (222.109.xxx.201)예단을 안하셨다면서요.. 그럼 당연히 예물도 없는 거 아닌가요. 예단, 예물이란게 서로 주고 받는 선물 같은건데..원글님은 예단 안하셨으면서 예물 안주셨다고 서운해 하시는 건 도리가 아니죠. 친정에서는 신랑한테 한복, 예복, 예물(반지) 다 해주셨다면 모르겠지만요. 서로 안주고 안 받기로 암묵적으로 얘기가 된 상태에서 결혼하신거 같은데, 그다지 서운해 하실 일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12. 그리고 한가지 더.
'07.3.18 10:14 PM (222.109.xxx.201)본인들이 결혼하는데 왜 아들 딸한테 무언가 해주시는게 당연한지 모르겠어요. 둘이 알아서 새살림 장만하고 부모님한테 손 안벌리면 뿌듯한거지, 30년가까이 키워주신 것도 모자라 결혼할때 왜 예물이며 집이며 선물이며 잔뜩 바라는지... 물론 부모님이 넉넉하셔서 해주면 좋죠. 아주 좋죠. 그렇지만 못해주신다고 서운해할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키워주신 은혜 생각해서 살면서 부모님께 되려 해드려야 옳지요.저도 결혼한지 9년되었고 드린 것도 받은 것도 별로 없지만, 저는 정말이지 하나도 서운한거 없습니다. 부모님한테 바라고, 안해주시면 서운해 하는 신혼부부들.. 저는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철이 덜 들었다는 생각입니다.
13. 근데여
'07.3.18 10:27 PM (121.131.xxx.127)님뿐 아니라
다른 분들도,
왜 시집갈때 시댁에서 해주는게
예쁨 받고 대접 받는 거라고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어요
그거 사실
시집쪽 체면치례 아닌가요?
제 주위에 잘 사는 댁들이 꽤 있어서
정말 억~소리 나게 패물 받고
님 시누처럼 자동차 받고
뭐 그랬어도
그 양하고, 시가에서 이뻐하는거 하고는 완전 별개인데요14. 음..
'07.3.18 11:58 PM (203.235.xxx.95)근데 예복도 예물에 포함되는건가요?(제가 잘 몰라서~~)
예복비로 주신거라잖아요...
원글님도 신랑 예복비는 주시거나 사주셨을텐데...
그렇게되면 서로 주고받는 계산은 맞는거죠...원글님이 빚진게 아니란 소리...
글구 원글님이 예단은 안드려도 시어머니께 한복 정도는 해드렸다는데..그럼 성의표시라도 저렴한 패물 하나쯤은 해주실수두 있는건데 그게 서운하셔서 그런거 아닌가요??
전 원글님이 이해됩니다...15. ^^
'07.3.19 9:22 AM (211.51.xxx.193)님 안받으셔도 속상해 마세여,,두고두고 아마 님은 가슴에 남아있을테지만 시댁은 아마 잊으실텐데여,,
솔직히 전 많이 받은 쪽에 속하는데 받고 나니 암것도 아니에여,,,오히려 시어머니한테 넌 머해왔냐는 소리만 들었습니다,남편 시계만 천만원짜리 인데도 말이 나옵니다,,전 오히려 님처럼 예물받고 시댁과 멀리 멀리 살래여,,, 전 결혼한지 6개월밖에 안돼는데도 미치도록 시댁이 싫습니다16. ㅎㅎ
'07.3.19 9:33 AM (203.90.xxx.212)저는 많이는 안되지만 시댁에 드린것 반의 반도 못받아 무지 자존심 상하고 화나고 때려엎고 싶은 생각도 많았어요. 우리나라의 결혼관례만큼 여자쪽한테 모욕적인게 또 있을게 싶네요.
안주고 안받은거 제가 젤 부러워 합니다.
둘이서 알아서 하겠다니까 시부모가 절대로 둘이서 알아서 못하게 하더이다.
이렇게 저렇게 신랑예복맞추는 양복집도 시모가 지정해준 집을 갔고요.
저는 시댁에서 단순히 해주지 않았다고 원망하진 않았을거 같아요. 제가 젤 원하는 거니까요.
제발~ 둘이서 신혼살림 시작하는거 방해만 안받았음 하고 바랬었지요.
시댁에서 집을 구해주거나 전세자금은 주는것도 저는 원하지 않는 스탈이예요.
누가 뭔가를 주면(아무리 가족이라도) 분명히 댓가를 치루어야 할 거 같아서요.
원글님~ 부럽습니다.17. 시어머님ㅇ..
'07.3.19 9:41 AM (211.212.xxx.203)자기 아무것도 안해준 거 예단 못받아서다 그렇게 생각하시나? 왜 당신딸 이렇게 많이 받았다고 자랑하실까.. 어쨌든 서운하시겠어요. 남과 비교하자면 한이 없답니다.
그리고 예물은 상호간에 하는 거예요. 시누이가 그렇게 많이 받았다면 시누이도 제법 보냈을 겁니다.
저도 모피받았지만 (주신돈에 맞춰 싼걸로 제가 산 것) 저도 버버리 트렌치 코트 해줬거든요. 시계도 비슷한 가격대로 사고.. 근데 님은 살림해왔는데 남편은 집을 전세금도 못 받아왔네요.
나중에 집 얻으실 때 남편 찔러서 좀 도움받게 해보세요.
비싼 집 계약하거니 분양받아서 이제 날리게 됐다고..18. 예물
'07.3.19 3:05 PM (141.223.xxx.125)원글입니다. 댓글들 달아주신거 보고 곰곰히 생각을 많이 해봤는데요
제가 결혼할 때 시댁에 예단을 해야된다는 의무감 전혀 없었고 지금도 역시 그렇거든요
저 결혼할 때 시댁에서 금전적으로 전혀 도움 안주는데 제가 시댁에 예단 몇백만원 갖다바치는게 저는 도저히 이해가 안됐거든요..
근데 바꿔 생각해보니 제 시어머니도 저처럼 그런 생각 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아들 결혼한다고 며느리한테 예물이나 예복을 해줘야 될 의무는 없는거니까요.
이제 시부모님한테 서운한 마음 접기로 했습니다. 안주고 안받고 서로 간섭없이 사는게 편하겠죠
하지만 금전적인 부분에서 만큼은 받은만큼만 하려구요
착한 며느리 소리 듣겠다고 오바스럽게 시부모님한테 돈 척척 쓸 생각은 버렸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110667 | (급질)샤넬이나 로렉스의 9 | 시계 | 2007/03/18 | 1,091 |
110666 | 대치동근처 국어학원 1 | 국어학원 | 2007/03/18 | 572 |
110665 | 봉달희에서 수술 씬에 나오는 팝송 제목 아세요? 3 | 외봉 팬 | 2007/03/18 | 862 |
110664 | 도배 2 | 이름 | 2007/03/18 | 420 |
110663 | 소파 식탁 문의 드려요 3 | 코스트코 | 2007/03/18 | 729 |
110662 | 무선청소기 괜찮나요? 추전좀.. 1 | 승훈맘 | 2007/03/18 | 177 |
110661 | 임부용 속옷구입처.. 4 | 임신중 | 2007/03/18 | 324 |
110660 | 서른 중반의 결혼 | ^^ | 2007/03/18 | 998 |
110659 | 아파트 구입시...베란다가 많은데... 9 | 봄이 | 2007/03/18 | 1,151 |
110658 | 코스트코 양평점에 딸기있나요? 3 | 딸기가 좋아.. | 2007/03/18 | 467 |
110657 | 이태리와 프랑스에서 사올 만한 것들... 2 | ? | 2007/03/18 | 664 |
110656 | 아기..기어다니지 않는게 좋은 이유가 있나요? 26 | 4개월맘 | 2007/03/18 | 2,107 |
110655 | 예물.. 시간이 지날 수록 서운한 마음이 들어요 18 | 예물 | 2007/03/18 | 2,957 |
110654 | 외동이신분들... 5 | . | 2007/03/18 | 806 |
110653 | 어제 문희에서 이재은 다리 11 | 헉! | 2007/03/18 | 3,875 |
110652 | 외동아이 두신 분들께 조언 구합니다. 13 | 고민 | 2007/03/18 | 1,120 |
110651 | 중학생 과외계획좀 2 | 중2엄마 | 2007/03/18 | 674 |
110650 | 부동산복비 1 | 복비 | 2007/03/18 | 298 |
110649 | 필리핀 유학 가려는데요 2 | 유학 | 2007/03/18 | 528 |
110648 | 올해 7살아이 영어 1 | 답답 | 2007/03/18 | 667 |
110647 | 어제 작정하고 쇼핑했네요 10 | 3개월할부ㅋ.. | 2007/03/18 | 2,299 |
110646 | 우승했네요 3 | 이봉주선수 | 2007/03/18 | 367 |
110645 | 혹 샤워코오롱 카르멘 아시는분? 3 | 카르멘 | 2007/03/18 | 284 |
110644 | 마음도 몸도....집안도 ^^ 3 | 새봄맞이청소.. | 2007/03/18 | 806 |
110643 | 쯔유에 조미료 많이 들어있나요 5 | 초보 | 2007/03/18 | 1,410 |
110642 | 임신 테스트... 얼마 후면 확실한가요? 3 | 답답 | 2007/03/18 | 356 |
110641 | 돈이 뭔지---- 3 | 우울해 | 2007/03/18 | 1,022 |
110640 | 쌀로 만든 빵, 진짜 맛있나요? 9 | 궁금해요 | 2007/03/18 | 1,244 |
110639 | 기분이좋네요 | 희망사랑 | 2007/03/18 | 388 |
110638 | 신혼집과 예단&예물을 제외한 결혼식 비용에 대한 궁금증 6 | 결혼비용 | 2007/03/18 | 1,0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