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울 1학년 아들 수준 좀 봐주세요

답답 조회수 : 975
작성일 : 2006-11-26 07:54:33
1학년 울 아들 이 수학 익힘 책에 쓴 내용 입니다.
11+13=  24  (이건 쉬움)
다음 문제
24가 되는 이유는 무었인가?
원 답 :  10묶음이 2개고 낱개가 4개 니까
울 아들답 : 그냥


이런식의 문제가 5개 정도 나오는데 모두 답은 그냥 입니다..

건데 이문제가 보기 문제로 똑같이 나와있고 숫자만 바꾼게 5문제 거든요
이렇게 응용력이 없어도 되나요?


IP : 211.33.xxx.15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근데요..
    '06.11.26 7:57 AM (68.147.xxx.10)

    원글님은 답안 보시기 전에 그 문제 답 생각 나셨어요?
    저도 봤지만 모르겠더군요.
    그게 무슨 의미가 되고,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문제인지...

  • 2.
    '06.11.26 8:06 AM (61.98.xxx.155)

    그런 문제는 못풀어도 됩니다.
    저 1학년 같은 저학년만 가르쳐 봤는데요...
    이런 문제는 수학문제푸는 스킬만 요구할 뿐이죠.
    그냥이란 답이 이상하신 가요?
    전 아주 귀엽게 느껴지는데요? ^^
    지금 1학년은 아무도 모르는 잠재력을 가진 나이죠.
    나중에 3,4학년에 올라가서도 '그냥'이란 답이 나온다면 그건 상담이 될만하지만 지금은 기냥 엄마가 이래이래서 답이 이런거라더라~하고 설명만 해주세요.

  • 3. miniwoni
    '06.11.26 8:30 AM (220.88.xxx.111)

    넘 귀여워요.
    제 친구 아들, 2학년 수학시험 문제 중 경우의 수 문제였는데,
    문제 : " ~ 몇가지인가요 ? "
    답 : 여러가지 .
    배꼽잡고 웃었는데... 고학년이 된 지금 공부 잘해요. 걱정하지 마세요 ^^

  • 4. 초등교사
    '06.11.26 9:09 AM (58.141.xxx.42)

    귀엽네요^^
    저런 답이 일반적인게 사실이랍니다.
    사실 원답과 같이 논리적으로 답변하는건 어른에게도 쉽지 않은 일이죠.

    하지만 '왜 그렇습니까?'는 고학년이 되도록 계속 되풀이 되고 반복되는 질문이에요.
    수학적 사고력과 논리력을 기르게 하기 위해서죠.
    당장은 "왜" 그렇냐는 시험문제가 나오지는 않지만..
    수학 교과를 통해 기르고자 하는 능력이 단순한 연산능력이 아닌 '무엇이 왜 그렇게 되는가'라는 수학적 사고력에 더 중점을 두고 있으니까요.
    어른들은 저런 답을 보고 의아해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런답을 누가 할 수 있겠냐!!라고 하실 수도 있겠죠..
    실제로 저런 답은 그 전 교과과정에 바탕을 두고 있답니다.
    1학년 교과과정에 의하면 두 자리수의 덧셈을 배우면서
    먼저 산가지(나뭇가지)를 가지고 답을 산출하는 과정을 배웠을 겁니다.
    수학의 기본은 11+13=24가 되는 단순한 연산이 아니라
    나뭇가지를 가지고 10을 묶고 그 묶음을 직접세보는 활동을 통해 두 자리수의 덧셈의 '원리'를
    먼저 가르치는거지요.
    예를들면 11+13은 10묶음 하나와 한 개의 산가지와 10묶음 하나와 세 개의 산가지를 합쳐서 세 보니까
    10묶음 두 개와 네 개의 산가지가 나오더라 라고 가르치는게 두 자리수 덧셈의 '원리'랍니다.
    그 '원리'를 물어보는 문제이지요.

    학교교육의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학원에서는 연산능력 개발을 통해 11+13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고
    반복연습을 통해 실수하지 않도록해서 더 많은 문제를 정확히 맞추고 점수를 높이는 방법을 가르치고
    학교 교육은 '활동'을 통해서 '원리'를 가르치는 것이 목적이죠.

    학교에서 선생님이 교과과정대로 잘 가르치셨으면 아이도 아마 답을 쓰는 방법을 배웠을겁니다.
    하지만 배우지 않았다면 아이 입장에서도 엄마 입장에서도 저런 문제는 너무 어렵죠?^^

  • 5. **
    '06.11.26 9:58 AM (59.17.xxx.93)

    저도 이유를 말하라고 하면 참 난감하겠어요.
    이 아이 입장에선 그냥 당연히 계산이 되는 건데,
    그걸 굳이 이유를 대라고 하니 아이가 얼마나 난감하겠어요.
    제 아이도 1학년인데 꼭 이문제는 아니지만
    이런류의 문제를 보면 이유에 꼭 황당한 대답을 하곤해요.
    그래도 별 걱정안해요.
    그러면서 배우는 거죠.

  • 6. 초등교사님쵝오
    '06.11.26 10:06 AM (222.117.xxx.232)

    **^^**어른인 저도 몰랐던 사실을 배웠네요**^^**

  • 7. 원글 맘
    '06.11.26 2:09 PM (211.33.xxx.168)

    답글 주신 분들 고마워요..
    초등샘 말씀은 많은 도움이 되네요..
    경우의수 여러가지도 우리 아들과 비슷한 ㅋㅋ
    좀 심각했는데 지금 생각하니 귀엽네요.
    건데 웃기는건 다른 아이들은 다들 정답을 잘 쓰는거 있죠..역시 반복된 학습으로 인한건지 ..사실 저도 정답지 안보면 이런문제 잘 몰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1927 '라이드'가 3 이런~ 2006/11/26 683
91926 장터질문.. 3 장터질문. 2006/11/26 620
91925 FC 2 컨설팅 2006/11/26 425
91924 남자란 동물에 그본능 14 .... 2006/11/26 2,864
91923 부모에게 상처받은 아이들의 호소문 8 필독 2006/11/26 1,626
91922 겨울동안 계획이예요 8 문화센터 2006/11/26 897
91921 재무상담은 어디서 받나요? .. 2006/11/26 200
91920 요즘애들왜그러나요? 세상에참.. 18 dfs 2006/11/26 2,835
91919 한쪽 눈이 풀려있어요. 1 얼굴 2006/11/26 515
91918 한일고 답글주신분 중에 조카가다님으로 답글주신분에게 1 한일고 2006/11/26 685
91917 유치원 두 군데 중 하나만 골라주세요. 2 유치원 2006/11/26 337
91916 울 1학년 아들 수준 좀 봐주세요 7 답답 2006/11/26 975
91915 결혼하고나니 허무하다고 생각하는건 저뿐인가요?.. 5 헤나 2006/11/26 1,593
91914 2학년 책 추천해주세요 5 데레사 2006/11/26 266
91913 잠귀가 너무너무 밝은 아기.. 2 ㅠㅠ 2006/11/26 1,183
91912 이건 집에 하자가 아닌가요? 5 연졍 2006/11/26 763
91911 인터넷으로 문자보는거 신청해놨음~! 2 걸리기만해 2006/11/26 766
91910 차라리 시누이가 가까운데 살았으면 좋겠어요 17 지친올케 2006/11/26 2,295
91909 짐보리 신발사이즈 알려주세요.. 2 짐보리 2006/11/26 1,130
91908 분당쪽...찜질방 좋은 곳? 5 찜질방 2006/11/26 681
91907 코스코 이번주,담주 세일품목 좀 알려주세요. 2 지갑쿠폰말구.. 2006/11/26 701
91906 저 그 결혼식 갑니다. 14 오늘밤 2006/11/26 3,271
91905 딸아이 소변냄새가 넘 심해요 1 애기엄마 2006/11/26 732
91904 원피스를 수배합니다. 찾아주세요~~~ 1 마음이 2006/11/25 654
91903 미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항공권,한국에서 살 수 있나요? 4 에구~ 2006/11/25 480
91902 피아노 배우고 싶네요 2 피아노 2006/11/25 513
91901 살아 살아...내 살들아. 2 살마담 2006/11/25 657
91900 이런남편. 4 속상해요. 2006/11/25 1,159
91899 여러분들 댁에선 어떠세요? 13 ... 2006/11/25 2,485
91898 강남 쪽에 있는 찜질방.. 3 추천.. 2006/11/25 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