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세 식구 살기에 옛날 아파트 20평대는 좁네요

복작복작 조회수 : 6,769
작성일 : 2011-10-06 11:37:45

30평대 전세 살다가 20평대로 이사왔어요. 요즘 넓게 나온 그런 20평대가 아니라 20년 된 좁은 복도식 20평대요.
짐 엄청 버리고 (반은 버린듯 -_-;;) 베란다 트고, 붙박이 달거 달고 나름대로 공간 효율성을 높여 수리하고 들어왔는데
절대적으로 공간이 너무 좁아요. 안방도 침대, 옷장, 화장대 넣고 나니 거의 발 디딜 틈 없이 꽉 차고. 저랑 딸이랑 침대에서 자고, 아빠는 바닥에서 자는데 맨날 쭈그려서 새우잠 자고 저러고 담날 회사가려니 하니까 불쌍해요. 아이 방도 옷장, 피아노, 서랍장, 책장 놓으니까 꽉 차서 이제 학교가는데 침대, 책상은 놓을 자리도 없고...그리고 창고공간이 모자라니 창고에 넣을 각종 비품류 등이 수납이 안되네요. 우리 집이 객관적으로 살림살이 많은 집이 절대 아닌데...첨에 이사왔을땐 살만하다 했는데 지금 6개월되었는데 살면 살수록공간이 부족하네요. 어떻게든 되겠지 하면서 덜컥 집 너무 좁혀서 이사하는건 아닌 것 같아요 ㅠㅠ 

1)  빚 와장창 내서 큰 평수로 이사한다
2) 지금 집 전세주고 큰 평수 전세간다
3) 여기저기서 적극적으로 수납 및 공간활용의 비법을 전수받는다
4) 마인드 콘트롤을 하여 공간 따위는 잊어버리고 좁으면 좁은대로 산다

어느 것이 답일까요

 

===============

방 2개예요. 맞벌이라 그리 남편이 주수입원도 아니고, 딸이 저랑 꼭 같이 자려고 해서 남편이 밑으로 내려가게 되었어요.

1/3 정도는 제가 바닥에서 자고 2/3 정도는 남편이 바닥에서 자는 것 같네요.  이럴 줄 알았음 정말 침대를 없앨걸 이사오면서 작은침대로 새로 사왔어요. 근데 가구가 정말 많은가요?

 

안방: 침대, 옷장, 화장대

아이방 : 붙박이 옷장, 서랍장, 피아노, 책장

이게 다인데요? 저희 집 놀러오는 사람들도 가구 없다고 자기네들도 다들 따라 버리야겠다고 하는데 ㅠㅠ

IP : 152.149.xxx.1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3456
    '11.10.6 11:44 AM (119.199.xxx.219)

    3번을 해본후에 정 안되겠다 싶으면 2번 하세요...

    예전 복도식 20평대 아파트 정말 좁죠..
    집이 좁으면 삶의 여유라고 해야 하나 그런게 정말 없어지더라구요.
    3번을 해본 후에 그래도 안되겠다 싶으면 2번 하는 걸로 추천드려요.

  • 2. ..
    '11.10.6 11:45 AM (1.225.xxx.92)

    침대를 치우세요.
    하루에 1/4을 잠으로 보내는건데 새우잠을 자다니요.
    그것도 집안의 주수입원인 가장이.

  • 3. ...
    '11.10.6 11:50 AM (218.236.xxx.183)

    집값 싼 동네 큰평수도 생각해보세요.

  • 4. ..
    '11.10.6 11:53 AM (211.253.xxx.235)

    침대 치우세요. 뭐하자는 건지..
    남편은 바닥에 새우잠, 본인이랑 딸은 침대?

  • 5. 침대
    '11.10.6 11:57 AM (220.116.xxx.39)

    남편분이 안타까워요.
    그리고 아이들방 따로 있는데 왜 딸이 아빠 자리 차지 하고 누워 있데요?
    글구 가구가 좀 많은 듯 하네요.

  • 6. ㅇㅇ
    '11.10.6 12:08 PM (211.237.xxx.51)

    저희는 복도식은 아니고 계단식이지만 20평대 아파트 살아요 (10년넘은)
    세식구고요 딸이 중3 이에요.
    집이 한채 더 있어서 그거 팔고 이거 팔고 합하면 더 넓은 평수 가겠지만
    전 20평대가 관리비 저렴, 청소 난방비등 좋은점이 많고 전혀 좁은 느낌도 없어 옮길 생각이 없네요.
    짐을 줄이세요.
    가구와 오래된 짐을 줄이면 아무리 오래된 아파트라도 세식구 살기 절대 나쁘지 않습니다.

    저희집은 딱 필요한 가구 이외엔 없어요.
    사들이지도 않고 2년내 손이 안닿는건 버리거나 나눠주는것을 철칙으로 생각하니까요
    잘 정리해서 살아보세요. 저는 더 넓혀갈생각 전혀 없습니다.

  • ㅇㅇ
    '11.10.6 12:12 PM (211.237.xxx.51)

    안방: 침대 화장대 장롱 벽걸이티비
    거실: 컴퓨터 3인용소파 벽걸이티비
    아이방: 침대 붙박이옷장 피아노
    아이공부방: 책상 책장
    주방: 2인용 식탁 냉장고 전자렌지 쌀통등은 다 빌트인
    이 이외엔 없습니다.

  • 45
    '11.10.6 12:53 PM (119.199.xxx.219)

    가구가 너무 많네요.
    좁은 집에 왔으면 가구도 좁은 집에 맞게 나머지는 좀 처분하세요.

  • 7.
    '11.10.6 12:23 PM (210.206.xxx.130)

    20평대면 방 세개 아닌가요? 방 하나를 옷방으로 하시던가 창고처럼 쓰면 될텐대요.
    제가 옛날 주공 20평정도 되는데 살고 있는데 처음부터 이렇게 살아서인지 좁은거 모르겠어요.
    아이는 아이방에서 재우고 남편분 침대로 올라오게 하세요.

  • 8. 음..
    '11.10.6 1:07 PM (163.152.xxx.7)

    방이 세 개 이실 텐데요..
    아이방에 아이 잘 자리 마련해 주시고,
    아이방 가구 중 일부와 수납해야될 것들을 다른 방으로 빼시고,
    안방에는 부부 둘만 주무세요.
    그리고 필요한 최소한만 남기고 짐을 더 버리세요..
    20평대에 비해 30평대는 많이 넓거든요.
    금방 적응 되실 거예요...

  • 9. 나모
    '11.10.6 2:45 PM (113.76.xxx.42)

    20평대라면 침대는 과감히 처분, 집이 휠씬 넓어보일거예요

  • 10. ..
    '11.10.6 3:25 PM (112.164.xxx.31)

    침대만 버려도 집이 넓어져요. 저희도 중학생하나 세식구인데 방3개에 15년된 24평형 계단식아파트예요. 저희집오면 집 좁다소리 아무도 안하는데 아이방에 책상 붙박이장 주방에 식탁없고 싱크대에 냉장고는 바깥베란다에 김냉없구요 안방 장농 화장대 3단장 이렇게 있어요. 침대없으니 이방저방 훤하구요 방하나엔 작은 거실장하나만 있고 아무것도 없이해놓고 손님방으로 씁니다. 거실에 조그만 서럽장하나 있구요 거실은 그야말로 텅비어있어요. 티비 컴없구요 워낙 뭘 사다 모으는걸 싫어해서 혼수외 새로산 가구는 아이책상말구 없고 버린건 침대네요. 이불깔고 자고 아침에 개켜서 농에 넣어놓으면 좁다는 느낌없이 삽니다.

  • 11.
    '11.10.6 9:02 PM (121.162.xxx.48)

    제가 어릴때 잠실 20평대 아파트에 산 적이 있는데
    방 3개였던거 같아요.
    작은 식탁과 소파, 거실장, 티비가 있었고
    안방에 장롱과 부모님 침대,
    작은 방에 책장이랑 서랍장,
    중간 방에 붙박이장과 제 침대가 있었어요.
    나름 베란다도 있었고 거실에 피아노도 놨었네요...
    근데 전 제 방 있는데도 밤마다 안방으로 가서 저랑 엄마만 침대서 자고 아빠는 이불깔고 바닥에 주무셨던 기억이 나요.

    지금 생각해보면 어떻게 그 집에 그 살림이 다 들어가나 할 정도로 꽉꽉 채우고 살았는데
    어려서 하나도 좁다거나 불편한지 몰랐어요.

    저 같으면 화장대를 없애고 서랍장을 안방으로 옮기고 아이 방에서 피아노를 거실로 빼겠어요. 그럼 아이 침대도 넣고 할 수 있을거 같아요. 사실 화장대 꼭 필요 없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7906 민주당 “청와대 직원의 회의 염탐은 야당 사찰” 1 세우실 2011/10/18 2,610
27905 케네스 레이디 라는 브랜드 옷 괜찮은가요? 1 케네스? 2011/10/18 3,562
27904 박진영 코러스 조규찬이 부른 거 아셨어요? 2 ㅇㅇ 2011/10/18 3,903
27903 저 위로해주세요 ㅠㅠㅠ 8 교육 2011/10/18 3,274
27902 수고하셨어요&수고하셨습니다...둘중 어느 말 쓰시나요? 10 .. 2011/10/18 3,155
27901 신생아 아기.... 손탄다고 많이 안아주지 말라는데;;;; 22 흠.. 2011/10/18 9,654
27900 "정봉주 전 보좌관, 나경원과 당시 만남 재구성 공개" 4 와이엠 2011/10/18 3,376
27899 중1성적 보통 끝까지 가나요? 26 중학생 2011/10/18 5,545
27898 남자아이 이름으로요.. 4 dd 2011/10/18 2,503
27897 아들이 헤어졌어요. 5 서운 2011/10/18 3,803
27896 식당에서 쓰는 유아용 키높이 의자 구입처나 이름 아시는분~ 3 서연맘 2011/10/18 2,546
27895 부산에 고급옷 얼룩 잘빼는 세탁소 아시면 좀 부탁드릴께요 뽀로로32 2011/10/18 3,429
27894 청정하기님!! 2 알자 2011/10/18 2,358
27893 이런 애들은 스케이트 그만 해야하는걸까요? 애나봐 2011/10/18 2,324
27892 코코아 가루로 초코칩만드는 방법 ?? 1 ㅡㅡ 2011/10/18 2,385
27891 선생님이 체벌좀 했다면 좋겠다는 딸아이 7 걱정맘 2011/10/18 3,698
27890 5급 공무원 9 달려라하니 2011/10/18 4,340
27889 대형 한의원 믿을만할까요? 1 올리비아 사.. 2011/10/18 2,358
27888 이 옷 드라이 맡겨야 할까요...? 4 속상녀 2011/10/18 2,350
27887 잉글리쉬 무X 괜찮은 가요? 초3아이 2011/10/18 2,085
27886 서울 호텔 뷔페 분위기와 맛 좋은곳 추천해주세요. 10 뷔페 2011/10/18 4,298
27885 산후조리원 ... 1 소절이 2011/10/18 2,296
27884 블루베리 맛있게 먹는법 가르쳐주세요 6 다 잘될꺼야.. 2011/10/18 3,229
27883 작곡과 지원, 상담 좀 부탁드립니다.. 4 가을날 .... 2011/10/18 4,033
27882 혼자 지내는것도 이제 할 만 합니다. 1 포도사랑 2011/10/18 2,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