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정말 초등때 독서만 해도 되나요

조회수 : 2,085
작성일 : 2025-11-15 13:12:18

이제 입시끝나신 선배맘들 넘 고생하셨습니다.

아이 다 키워보신분들

초등때 독서만 해도 될까요? 다들 다 필요없다

독서가 남는거다 하시기에요. 

현재 사고력수학 다니고있고(연산만빠른 현재초2)

사고력 수학이 아직까진 효과를 모르겠어 고민입니다.

여기 지방학군지인데 늦어도 초3~4는 빡신 

선행학원으로 돌려 쌍둥이 문제를 미친듯이 

풀리더라고요. 아이들이 집에 10시에와요. 

제가 볼땐 외워서 푸는것에 불과한것같아서

오고가는시간 다 때려치고

앞으로 2년간 빡세게 독서만 붙잡고싶은데요

아이가 이과성향은 분명한데 수학을 티나게 잘하진않고

원리만 깨우쳐 초5까지 연산만 해놓은 상태입니다.

수학적 문해력이 낮을수도있고요 이런애

즉, 5학년때 수학 선행 시작하고싶은데

괜찮을까요? 한마디만 부탁드려요.

IP : 218.150.xxx.232
2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건
    '25.11.15 1:16 PM (175.119.xxx.162)

    애들 나름이죠... 상대적인건데...
    애 상태에 따라 판단하세요.
    충분히 따라온다 하면 앞으로 가는거고...앞으로 가는것도 극심화 까지 할꺼냐 말꺼냐 등등
    독서도 한글책만 읽을꺼냐 원서도 읽을꺼냐..등등

  • 2. ..
    '25.11.15 1:16 PM (210.178.xxx.60) - 삭제된댓글

    애바애입니다.
    독서만 시키라고 누가 그래요?
    본인 아이 그릇을 보고 시키는거지 초5때 수학선행 시작하려면 학군지에서는 들어갈학원 구하기도 힘들거고 선행없이 서울대가는 아이도 있고 천차만별이에요

  • 3. 추가
    '25.11.15 1:16 PM (175.119.xxx.162)

    이과 문과 따지는거 전 별로지만..
    이과라고 수과학 다 잘하는것도 아닌걸요..

  • 4. 아니요
    '25.11.15 1:17 PM (183.107.xxx.211)

    아니요 아니요.. 이번 입시 처음 겪어보니.. 독서만 시키면 망

  • 5. 아니요
    '25.11.15 1:17 PM (223.38.xxx.195)

    누가 그런 소리를

  • 6. 아니요
    '25.11.15 1:18 PM (211.38.xxx.131)

    보통은 독서 많이 한 아이보다
    공부 빡시게 시킨 아이가 최종 성적이 좋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사실은 공부도 타고 난 게 제일 커서요.

  • 7. 원글
    '25.11.15 1:20 PM (218.150.xxx.232)

    아..이런의견 넘 감사해요

  • 8.
    '25.11.15 1:20 PM (222.108.xxx.71)

    독서든 수학이든 뭐하나만 하는건 안좋은거 같아요
    저희 애는 독서 싫고 수학만 좋아했는데 그럴수록 독서를 더 시켰어야 되나 싶지만 그게 강요가 되나요

  • 9. 독서도하고
    '25.11.15 1:20 PM (221.138.xxx.92)

    적당히 적당히 ...

  • 10. 원글
    '25.11.15 1:21 PM (218.150.xxx.232)

    맞네요. 애가 하도 책을 안읽어서 고민입니다.

  • 11. 즐겁게
    '25.11.15 1:25 PM (221.138.xxx.92)

    같이 읽고 내용으로 대화나누세요.
    혼자 읽게 하면 안읽는애들이 태반이랍니다.

  • 12. ..
    '25.11.15 1:26 PM (118.235.xxx.186)

    이과 성향인 애들 중에 독서 안 좋아하는 경우도 많아요. 특히 은유적인 표현이 많은 문학책은 질색하는.

    독서는 사고의 틀을 확장시켜 이해력과 문해력에 도움을 주지만, 그게 학교 성적과 대입에 결정적인 건 아닙니다. 아이가 독서를 좋아하는 경우 아니라면 굳이 빡세게 강요할 건 아니라고 봄요.

  • 13. 기본
    '25.11.15 1:27 PM (211.206.xxx.191)

    국영수과학 충실하게 제 학년 것을 잘 학습해야죠.
    책은 덤이고.

  • 14. 맞아요.
    '25.11.15 1:27 PM (118.235.xxx.121)

    기본머리가 좋은애들은 지적 호기심이 있어서 책을 보는 거에요. 내가 아는 것을 새로운 정보와 연결하는 게 재밌는거죠. 보통의 아이들은 게임하는 거 보단 나으니까 학습만화라도 읽히시면 좋아요. 엄마가 이꿀어주기 보다 아이를 관촬하고 필요로 하는 것만 넣어주세요. 엄마가 앞서가는 아이들 성취의 여부의 문제가 아니라 지속이 문제가 됩니다.

  • 15. 솔직히
    '25.11.15 1:35 PM (58.29.xxx.20)

    독서도 잘 모르겠어요.
    독서 많이 한 애와 독서 하나도 안한 애 둘 키웠는데, 수능때 국어는 독서 많이 한 애가 좀 더 수월했다.. 정도지, 그렇다고 책 안 읽은 애가 국어 못하지도 않았어요.

    뭐든 지나친게 문제에요.
    공부 안시킨다고 너무 놀리거나, 시킨다고 무슨 초3,4에 빡센 선행을...

    그런건 솔직히 별로 의미 없고,
    제 경우는 초등때 규칙을 잘 지키고, 적은 분량이라도 매일 하기로 한 학습을 꾸준히 해내는 습관 들이는것, 초등 교육과정이지만 전 과목에서 빈틈 안생기도록 꽉꽉 채워서 다음 학기 나가고, 이런게 결국 공부 할 나이 되었을때 밑받침이 되었던것 같아요.
    솔직히 책 안 읽고 컸지만 교과서 열심히 읽고 그걸 이해 하고 그런 과정에서도 문해력은 충분히 길러졌답니다.

  • 16. .....
    '25.11.15 1:41 PM (117.111.xxx.193) - 삭제된댓글

    아니요 할수있는거 다 해봐야돼요 특히 예체능 여행가는거
    중학교때는 할 시간이 없어요

  • 17.
    '25.11.15 1:42 PM (124.50.xxx.12)

    영어 원서를 많이 읽히세요
    한글독서 솔직히 안해도 그만 입니다
    좋은대학이 목표시면
    원서읽기 하루 2시간 이상
    2학년 20분씩 3타임 주말 6타임
    3학년 30분씩 3타임 주말 6타임
    4학년 40분씩 3타임 주말 6타임


    중1 70분씩...
    중2 80분씩.. 과학선행 추가
    원서읽기는 중등부터는 매일30분이상 밥이나 간식먹을때

    좋은대학 목표시라면 이정도는 기본

    중3 마칠때
    고등수학선행 고2 11월 모의고사 1등급이상
    고등과학 일반선택 물화 까지
    영어 원서 ar 8점대

  • 18.
    '25.11.15 1:55 PM (223.38.xxx.195)

    한글독서 안해도 그만입니다 ??
    이런 헛소리를

  • 19.
    '25.11.15 2:04 PM (119.192.xxx.30)

    초등 때 독서 많이 해야해요 문제풀이 같은 거 하지 말고요 나중에 독서할 시간이 없어요 여유 있을 때 책 읽으면서 문해력 기르지 않으면 나중에 국어, 영어 지문 못 읽어요 고등학교 성적은 긴 지문을 빨리 읽고 요점을 잘 파악하는게 가장 중요해요 그거 안되는 애들이 태반이고 그거 안되는 애들은 중학교 최상위라도 고등 가서 성적 떨어져요

  • 20. ….
    '25.11.15 2:13 PM (221.148.xxx.201) - 삭제된댓글

    한글독서 안해도 그만이시라는 분은 애들 대학 보낸거에요?
    애 둘 하나는 서울대 높공,하나는 의대 갔는데 초등때는 독서랑 구몬 하루에 다섯장만 했고 중등 선행은 한학년 선행만 집에서 혼자 개념책으로 했고 고등때는 고3 2학기때만 정시대비해서 수학만 대치동 학원 다녔구요,인강은 많이 들었어요
    영어는 학원 다닌적 없고 중,고등 영어 시험때 시험 범위에 나오는 문법 공부 철저히 한게 쌓이고 독해는 한글책 많이 읽어놓은걸로 그냥 됐어요,애들 중학교때까지도 독서 많이 했는데 다섯살정도부터 중2정도까지 도서관에서 빌려온책이 삼천권이 넘었어요(어렸을때 보는 책은 워낙 짧아서 그때 많이 빌리긴 했구요)
    학원 도움 없이 혼자 공부가 가능했던건 책을 많이 읽으니 어떤 책을 봐도 빠르게 이해가 가서 개념책 보고 스스로 공부가 어렵지 않았구요
    지금도 이과생들이지만 영어 과외도 하는데 모의 5등급 학생 몇개월 안되서 3등급으로 올렸어요(그 등급이 올리긴 쉽긴해요)
    아이 어렸을때 독서를 즐기게 하면 돌아오는게 정말 너무 많아요

  • 21. 기막혀
    '25.11.15 2:17 PM (211.206.xxx.191)

    무슨 영어 원서만 읽히라니.
    언어영역 어떻게 풀라고.

  • 22. ..
    '25.11.15 2:20 PM (211.234.xxx.174) - 삭제된댓글

    독서도 많이 해야 좋은거죠. 수학은 자기 학년 심화를 시켜보고 괜찮으면 고학년때 선행을 시작하는게 좋고요. 너무 빨라도 너무 늦어도 후회될 수 있으니 아이에 맞게 속도를 맞춰서 하세요. 영어도 늦게 시작하면 내신 위주로 흐르면서 좀 아쉬운 부분이 있으니 어려서 원어민 수업 원서 읽기해두면 좋아요. 영수에 몰빵하고 독서가 안되어 있음 아웃풋 나올 시기에 걸림돌이 되니 미리 읽어둬야 하는거죠. 그때는 읽히려면 시간도 없고 습관이 안되어 있어 국어수업 넣으면 선생님이 요약해주고 문제풀고 또 학습이 되버리니까 사교육 끝이 없어요. 지금은 읽고 나중에는 문제풀이 할수 있게 저학년일때 자유롭게 읽게해주세요.

  • 23. ㅇㅇ
    '25.11.15 3:18 PM (211.36.xxx.114)

    우리 아이는 문과 성향이고 책을 끼고 산 결과, 논슬로 대학 갔어요. 논슬학원은 논술시험 일주일 전부터 인강 들은 게 다예요. 정시로 갔으면 좀더 낮은 대학을 갔겠죠.

  • 24. 진짜
    '25.11.15 4:54 PM (222.236.xxx.112)

    뛰어난 애는 책 안읽어도 공부만 잘함.
    책벌레 였는데 공부는 바닥인 애도 있음.

  • 25. 책읽기
    '25.11.15 6:27 PM (59.18.xxx.55)

    아이들이 책을 글자만 읽는지 내용을 읽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책을여러권 읽는 것 보다 한 권이라도 제대로 반복해서 읽어야 문해력이 좋아집니다.

  • 26. 대학
    '25.11.15 6:30 PM (59.18.xxx.55) - 삭제된댓글

    세상이 생각하는 능력이 필요한 사람이 성공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문제 풀이만 잘 하는 아이들로 만드는 교육을 지양해야 합니다. 아직도 영어 수학 학원 숙제하느라고 책 읽을 시간을 못 낸다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 27. 대학
    '25.11.15 6:36 PM (59.18.xxx.55)

    생각 잘 하는 사람이 성공하는 방향으로 세상이 가고 있는데 문제 풀이만 잘 하는 아이들로 만드는 교육을 지양해야 합니다. 아직도 영어 수학 학원 숙제하느라고 책 읽을 시간을 못 낸다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영어 수학에 매여 책을 읽지 못 한 아이들은 생각을 잘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생각도 재료가 있어야 발전하는 것이라 책을 읽으며 생각의 재료를 모아가야 합니다. 영어 독서만 하면 된다는 것은 영어권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에게나 해당 되는 것입니다.

  • 28. ...
    '25.11.15 6:44 PM (118.235.xxx.209) - 삭제된댓글

    만화책도 독서이고 사회과학책도 독서라 뭉뚱그려 독서라하면 안될걸요? ㅎㅎ
    초등이면 역사 문학 사회 과학 전반적으로 책읽고 독후감쓰고 책도 만들어보는 그런 독서라면 오케이
    거기에 영어 필수 (영어는 무리한 선행보다 쉬지않고 꾸준히 해야함)
    수학은 초등때 연산 마스터해야함( 마스터라하면 구몬이나 눈높이 끝날때까지)
    운동 1개 이상
    애 대학 좋은데 보내시려면 이정도는 하셔야 할겁니다
    무리하게 질리게 공부하라는건 아니고
    초등때 책상에 붙어있는 습관이 있어야 나중에 공부 수월하게 할겁니다
    이렇게 시작해서 비학군지에서 의대 명문대 공대 보냈어요

  • 29. ㅈㄱ
    '25.11.15 8:11 PM (125.142.xxx.144)

    뭐든 적당히. 공부는 그 아이의 재능껏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461 대학 좀 골라주세요 43 ... 19:49:08 2,567
1773460 집 앞 편의점 알바가 자주 바뀌는데요 2 ㅇㅇ 19:46:03 1,079
1773459 꼭 일타강사 커리를 따라야 할까요? 1 궁금 19:44:37 397
1773458 타고 그을린 냄비 닦는 간편한 세제 없나요? 3 냄비 19:42:33 664
1773457 건강식당 있을까요 그리고 조계사옆 스님이 운영하는 식당이름이 뭔.. 1 ..... 19:42:26 634
1773456 텐 핑거 햄버거 19:37:50 240
1773455 우지 삼양라면 후기  17 1963 19:22:48 4,080
1773454 챗지피티로 영어공부도 할수있나요? 6 ... 19:15:17 1,301
1773453 순금 목걸이 팔고 18k 목걸이 살까요?? 7 목걸이 19:14:14 1,323
1773452 시아버지만 계신 경우리면요 6 돌봄부담 19:12:09 1,615
1773451 제시 린가드는 기러기부부인가봐요. 17 나혼자산다 19:12:00 3,017
1773450 까르띠에 탱크 콤비는 요즘 안나오나요? 2 ..... 19:11:40 592
1773449 카이스트. 유니스트 지스트는 정시에한장으로되나요? 1 스트 19:11:35 670
1773448 조지 마이클의 라스트 크리스마스 좋아하시는분 8 그립 19:05:08 942
1773447 고3친구들 수능 잘 봤나요..수능 후 피가 마르는 기분이네요 12 수능수시 19:02:22 2,039
1773446 남편이 이제와 제가 귀찮대요 35 퇴직금은 다.. 19:00:57 8,899
1773445 괜찮아~아빠는 물어도 돼 4 딸바보 아빠.. 18:59:23 1,305
1773444 지방에서 수능본 남조카들 서울에서 옷살곳이 있을까요 18 00 18:50:28 1,632
1773443 7시 정준희의 토요토론 ㅡ 동북아 군비경쟁? 자주국방? 핵잠수함.. 1 같이봅시다 .. 18:40:41 159
1773442 햇반에서 신맛 1 .. 18:39:44 545
1773441 지석진은 친구복이 최고 같아요 26 .. 18:35:52 4,212
1773440 한국은행 총재는 준비도 안 하고 인터뷰 했을까요? 16 ... 18:33:10 2,070
1773439 서울과기대 공대 & 건국대 문과 23 2026대입.. 18:32:55 2,791
1773438 다이소 구매 후기 2탄 2 다이소 18:29:21 2,221
1773437 논술 두군데 다 가야겠죠? 10 미크 18:22:42 896